View : 614 Download: 0

대학 사회봉사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Title
대학 사회봉사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Authors
함수연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Master
Advisors
양옥경
Abstract
The objective of volunteer activities within higher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based on sound civic education that allows college students to be voluntary and moral and enables them to become leaders for solving some problems of a local society. However, it is true that most universities public service curriculum is not cautiously developed by educational efforts, but is adopted by American educational model and it is under operation sporadically in short-term. In spite of educators energetic desire, the implementation of volunteer education curriculum turned out to be negative such as decreasing student enrollment rate and we can find the reason from the shortage of scientific approach and technology in a concret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curriculum. And, the existing research does not have any evidence for the correlation effect between teaching and public service as a learning tool or factor analysis for effective voluntary service education. Due to the absence of such research, it does not have any result that supports the effects of public service education curriculum and consequently the syllabus is consisted of simple principles which do not contain any research data but simple ought to be.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difference of students moral attitude, work satisfaction, and problem-solving skill based on different organization of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implementation of each university. It defines the implementation factors as preparatory level, execution level, and evaluation level in large; it reviews the availability of preventive education and the duration and frequency of preventive education for preparatory level, the availability of full-time staff organization for execution level, and the existence of evaluation and evaluation pattern. More detailed research is based on survey method targeting students of four universities which have public service education curriculum among 4 year colleges in Seoul. This report uses T-Test, ANOVA, categorical regression for analysis and the research result is as it follows; 1)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problem-solving ability studied by educational curriculum, it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result; even if the difference between group who has preparatory education and the counter group who does not have preparatory education i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ose who get preparatory education for over 2 hours showed higher problem-solving ability than the other group who does have preparatory education for less than 2 hours. At the evaluation level factors, the evaluation of combined learning methods is shown better than one methodology. According to this analysis result, we can say that those factors, for example, preparatory education for over two hours, the execution of mid-term and final evaluation and combined learning method such as the combination of discussion and paper-based evaluation can bring better result on problem-solving skill of students. 2) On the moral attitude issue based on education curriculum factors, this report shows significant result; the group who has preparatory education has higher morality than those who do not have it and furthermore the group who get preparatory education for over two hours shows higher moral attitude than the other group who gets it less than two hours. Among groups who get preparatory education for over two hours, the group who has it for over six hours showed higher morality than those who have preparatory education for less than six hours. The organization which has full-time staff shows higher moral attitude than the other that does not have full-time staff The group who runs evaluation process shows higher morality than the other group who does not have evaluation group. In conclusion, the more and longer preparatory education has, the better moral attitude students possess. 3) After the research about the differences of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curriculum, it shows that there are critical differences among groups which took different courses related to voluntary activities. The survey result shows that the group which takes volunteer programs before doing voluntary work responds to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other group which does not have. The group which takes preparatory education more than two hours shows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other group which takes it less than two hours. And whether there are experts in the program or no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survey result. The group with full-time staff shows more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group which gets evaluation shows higher satisfactions than those who do not. As a result of survey, pre-education of more than two hours and the availability of evaluations can be critical factors that influences the sense of satisfactions. 4) It analyzes the influences of eleven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pre -education, time of education, expert groups, number of evaluation, evaluation methods, gender, religion, grade level, experience of volunteer activities, personal voluntary activity and family voluntary work over dependent variables, for example, satisfactions of volunteer work, mora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using a statistical method - categorical regression.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pre-education, evaluation methods and experience of voluntary activities has an impact on problem-solving ability. In case of time of education, number of evaluation, and evaluation methods, it apples to the satisfactions of voluntary activities. The results above indicates the following conclusions (1) It is necessary for every volunteer to take pre-volunteer course before they join volunteer activities. In order to make it efficiently, it should be based on theory-based education that is developed carefully and organized more than two hours. (2) Expert groups should be set up so that they can not only manage and support volunteers more systematically, but als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volunteer activities with students. Therefore, we can expect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nts educational training. (3) Regular evaluation system over voluntary activities should be executed in order to enhance learning effect and to make volunteers evaluate themselves and then find better way of doing volunteer activities. More open communication and cooperative environment will allow students to enjoy better educational results. (4) From now on, more researches and studies over the cause and effect of volunteer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one. When those studies and researches are produced much more, social welfare curriculum will take steady positions in universities. ; 대학의 교과과정 속에서 이루어지는 자원봉사활동은 자발성 성격과 동시에 대학생들을 도덕적 인간으로 키워 나가고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에 앞장설 수 있도록 시민의식을 고양시키는 등의 교육적 성격에 강조점을 두어야 한다. 그러나 경쟁적으로 개설한 각 대학의 사회봉사 교과과정은 교육적 효과를 고려하기보다는 일방적으로 미국의 모델을 본 떠 산발적, 단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왕성한 의욕에 비하여 구체적인 추진방법에 있어서 과학적 방법 및 기술이 충분히 뒷받침되지 못하여, 수강생들의 감소와 같은 부정적인 결과를 산출하기도 했다. 기존 연구들도 교수(敎授)와 학습의 도구로서의 사회봉사 효과를 검증하거나 효과적 봉사학습 요인연구들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연구의 부재로 사회봉사교과목의 효과가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증명한 결과들이 없으며,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과과정 구성요소들도 조사연구로 뒷받침되지 않은 단순 원칙의 형태로만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각 대학별로 차이를 보이는 사회봉사 교과목의 수행과정 요소에 따라 수강자인 대학생들의 도덕감과 봉사활동 만족도, 문제해결능력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수행과정의 요소로는 크게 준비과정, 실행과정, 평가과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준비과정 요인에는 사전교육의 유무, 사전교육시간과 횟수를 살펴보았고, 실행과정 요인으로는 전담조직의 유무를, 평가과정 요인으로는 평가 유무와 평가형태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조사는 서울지역 4년제 대학 중 사회봉사 교과목을 실시하는 4개 대학의 수강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실시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T-Test, ANOVA, categorical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과과정 구성요인에 따른 문제해결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교과과정 구성요소에 따라 집단의 문제해결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사전교육이 있는 집단과 사전교육이 없는 집단의 문제해결력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지만, 사전교육을 2시간 이상 받은 집단의 문제해결력이 2시간 미만으로 받은 집단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평가과정 요인에서는 기말평가와 중간평가를 모두 실시하는 집단이 기말평가만 실시하는 집단보다 문제해결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평가의 형태에서는 토론과 보고서 모두의 형태로 평가를 실시하는 집단이 보고서로만 평가하는 집단보다 문제해결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 분석결과에 따르면 2시간 이상의 사전교육, 중간·기말평가 모두 실시, 토론과 보고서 형태의 평가가 문제해결력에 차이를 가져오는 교과과정 구성요소임을 알 수 있다. (2) 교과과정 구성요인에 따른 도덕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교과과정 구성요소에 따라 집단 간 도덕성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전교육이 있는 집단이 사전교육이 없는 집단보다 도덕성이 높았고, 사전교육을 2시간 이상 받은 집단의 도덕성이 2시간 미만으로 받은 집단보다 높았다. 그리고 사전교육을 2시간 이상 받는 집단 내에서 6시간 이상 사전교육을 받는 집단이 6시간 미만 교육을 받는 집단보다 도덕성이 높게 나타났다. 전담조직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도덕성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평가과정이 있는 집단이 평가과정이 없는 집단보다, 기말평가와 중간평가를 모두 실시하는 집단이 기말평가만 실시하는 집단보다 도덕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평가과정의 형태에서는 보고서로만 평가하는 집단이 토론과 보고서 모두의 형태로 평가를 실시하는 집단보다 도덕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전교육 시간이 높을수록, 평가과정의 횟수가 많을수록 도덕성이 높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교과과정의 구성에 있어 이들 요소들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3) 교과과정 구성요인에 따른 봉사활동 만족도 차이를 알아본 결과, 교과과정 구성요소에 따라 집단간의 봉사활동 만족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교육이 있는 집단이 사전교육이 없는 집단보다 봉사활동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사전교육을 2시간 이상 받은 집단이 2시간 미만으로 받은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담조직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봉사활동 만족도가 더 높다고 할 수 있으며, 평가과정이 있는 집단이 평가과정이 없는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평가형태에서도 기말평가와 중간평가를 모두 실시하는 집단이 기말평가만 실시하는 집단보다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 분석결과에 따르면 2시간 이상의 사전교육, 중간평가와 기말평가 모두 실시가 수강자들의 봉사활동 만족도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4) 문제 해결력, 봉사만족도, 도덕성을 종속변수로 각각 놓고 이들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을 사전교육, 교육시간, 전담조직, 평가횟수, 평가형태, 성별, 종교, 학년, 봉사경험, 개인봉사, 가족봉사 등 11가지를 독립변수로 두고, categorical regression(범주형 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사전교육과 평가형태, 봉사경험이 나타났고, 도덕성에는 교육시간이 영향을 미쳤으며, 봉사활동 만족도에는 교육시간, 평가형태, 평가횟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이 대학의 사회봉사 교과과정 구성에 주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1) 봉사활동기관에 배치되기 이전, 사전교육의 시간이 반드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단순한 교과과정 설명이 아닌 2시간 이상 충실한 이론교육이 뒷받침될 때 사회봉사의 교육적 효과가 담보될 수 있을 것이다. (2) 수강생들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사회봉사 교과목의 원활한 관리·운영을 위해서는 사회봉사 전담조직이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수강생들에게 보다 정확하고 풍부한 봉사활동기관의 정보나 지식을 전달할 수 있고, 교육적 효과를 고려한 수강생들의 지속적 관리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지원이 가능한 전담조직이 반드시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3) 학습의 효과를 증진시키고 수강생들 스스로가 자신의 활동을 평가하고 더 나은 방향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평가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수강생들끼리 보다 공개적으로 경험을 교류하고 대안을 함께 마련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이 마련될 때 교육적 효과는 더욱 배가될 것이다. (4) 이후로 봉사학습의 효과와 요인들을 증명하는 실증적 연구들이 더욱 많이 행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실증적 연구들이 충실하게 이루어질 때 사회봉사 교과목이 각 대학의 교과과정으로 확고하게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