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영순-
dc.contributor.author유원선-
dc.creator유원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3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7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3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719-
dc.description.abstract많은 나라들에서 청소년 실업률은 성인 실업률의 2배를 넘는 높은 수준으로 청년층은 경기나 노동시장의 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는 취약계층이다. 또한 청년시기에 고용능력을 개발하지 못할 경우 이들은 안정적인 고용에 머물지 못하고 계속해서 취업과 실업을 반복하거나 장기 실업상태에 머물기 쉬우며 더욱이 청소년들은 생애주기의 초기에 있기 때문에 청소년의 실업 문제는 이후 생애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고용정책을 연구하는데 있어 40년이 넘게 청소년에 특화된 고용정책을 펼쳐오고 있는 영국의 청소년 고용정책을 살펴보고 한국의 청소년 고용정책과 비교 연구함으로써 우리나라 청소년 고용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영국과 한국의 청소년 고용정책을 비교 연구하는데 있어 고용정책의 변화가 어떠한 변화과정을 겪으면서 보완·발전되어왔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현재의 청소년 고용정책이 나오게 된 배경과 기반이 된 요소들을 분석하여 영국과 한국의 청소년 고용정책에 대한 이해를 돕고 한국의 청소년 고용정책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국과 한국의 청소년 고용정책의 변천과정을 정부와 민간간의 역할변화에 초점을 두고 영국과 한국을 각가 3시기, 1시기로 구분하였으며 각 시기별로 정책 대상과 프로그램,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정책내용을 살펴보았다. 영국은 청소년 고용정책의 대상에 있어 학교내의 취학 청소년과 비취학 청소년 모두를 위한 고용정책을 펴 나가는데 처음에는 취학 청소년과 근로청소년에만 초점을 두다가 점차 미진입, 실직 청소년을 포함한 모든 청소년을 위한 고용정책을 펴게된다. 최근 들어 시스템에서 포괄하지 못한 대상층인 취약청소년에 좀 더 초점을 두고 이들을 정책 대상으로 포괄하고자 노력을 기울인다. 프로그램 내용에 있어서는 정부가 자격증을 마련하고, 법을 제정하며 관련기관을 설립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직업교육 및 훈련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여러 시도를 계속하면서 한편으로 취학 청소년과 비취학 청소년 모두에게 진로상담 및 정보제공, 안내 등의 고용서비스를 점차적으로 강화해나간다. 특히 취약청소년들을 위해 직업훈련 프로그램 뿐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고 기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보완하게 된다. 전달 체계에 있어서도 중앙차원과 지방차원에서 모두 통합되고 관련기관의 파트너쉽을 기반으로 한 전달체계를 구축하고 개별상담가를 통한 서비스 전달을 강조하고 있다. 한국의 청소년 고용을 위한 프로그램은 취학 청소년들의 경우 실업계 고등학생들만 직업교육을 받게 되어 그 대상이 제한적이다. 비취학 청소년을 위한 고용정책은 근로 청소년들을 기술인력으로 양성하기 위한 기업의 훈련의무제와 미진입, 실직 청소년들을 위한 공공직업훈련을 실시하여 오다가 1990년대 후반이후 기업의 훈력의무제를 폐지하면서 기업내 직업훈련에서 청소년훈련의 비율이 감소하게 된다. 1990년대 후반의 경제 위기 이후에 인턴제, 적성검사, 성취 프로그램 등 새로운 프로그램을 마련하였으나 프로그램들이 단기적이고 직업훈련 프로그램이나 진로상담과 연계되지 못함으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전달체계 역시 중앙 및 지방 모두에서 각각 분산적으로 프로그램을 전달하고 있고 직업안정기관에 직업상담가를 두고는 있으나 업무과다로 청소년을 위한 상담을 기반으로 한 개별적 서비스 전달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상기의 연구를 통해 한국의 고용정책에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먼저 청소년 고용정책은 교육정책과 떨어져서 생각할 수 없기 때문에 학교에서 직업교육 ?I 진로지도를 통하여 청소년들의 고용능력을 향상시키고 교육과정을 통하여 직업에 대한 준비를 시키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시된다는 것이다. 비취학 청소년을 위한 고용정책에 있어서도 효과적인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일 뿐 아니라 취약계층을 위한 프로그램과 전달체계 마련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이들을 고용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직업훈련 프로그램 뿐 아니라 이들이 가진 문제를 해결하고 기초능력을 향상하고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종합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청소년 관련기관들이 모두 연계되고 중앙차원에서도 통합적인 전달체계 구축이 필요하고 개별상담가를 통한 개별적 서비스전달과 지속적인 관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고용프로그램들이 성과를 보이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일이 중요할 것이다. 영국이 정책 및 프로그램들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관련기관 설립, 학교체제의 변화, 자격증제도, 기업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등을 마련하는데 노력을 기울인 것은 단기적인 프로그램 마련에 급급한 우리나라의 청소년 고용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 Young people is the most powerless stratum that is highly influenced by the change of either business conditions or the labor market in terms of the fact that their unemployment rate is twice higher than adult people s in many countries. Moreover, unless the young people develop their own employability during adolescence, it is difficult for them to obtain stable employment, or they can be easily confronted with long-term unemployment. Additionally, now that youths are in the beginning of a life cycle, their unemployment can have a great impact on their later life. Therefore, this research primarily focuses on employment policies of young people in the United Kingdom, which the country has carried out specialized employment policies over 40 years in relation to the research on youth employment. Through comparing South Korea s youth employment policies with UK s, the research tries to attain a new direction for South Korea s policies. In terms of this comparison, this paper not only helps comprehend both countries youth employment policies by researching on how the alteration of the employment policies have been modified and developed and analyzing a background and base about how current policies were established, but also tries to deduce a direction that South Korea s policies should follow. In order to do this, highlighting the role change between a 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s, the research divides the process of change of both the United Kingdom s and South Korea s policies into three periods and one period respectively and analyzes the policies, based on t he objects of the policies, programs, and delivery systems in each period. The United Kingdom, in terms of the object of youth employment policies, firstly paid attention to working youth among young people who are left school, and later on tried to execute policies on every youth including unemployed young people. Recently, they pay more attention to disadvantaged young people, whom the system could not include, and make an effort to cover them as an object of the policies. With respect to programs, the UK government provides a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and prepares infrastructure, such as enacting a law and establishing relevant institutions, and based on this situation, they keep attempting to provid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effectively. Furthermore, the government reinforces employment service for every youth, such as careers council, giving information, and guidance. In particular, for disadvantaged young people, job training as well as programs that enable young people to solve problems and to promote basic skill is supplemented. As for service delivery systems, both national level and local level are all coalesced, the delivery systems based on the partnership among related institutions is founded, and the service delivery through personal advisers is emphasized. The programs for youth employment in South Korea had promoted enterprises obligatory system for training in order to foster working youth as skilled technical hands and had operated public job training for jobless young people. However, as the enterprises obligatory system was abrogated since the late of 1990s, the rate of youth training among job training in enterprises was abated. Since the economic crisis in the late of 1990s, new programs, for example, the intern system, aptitude tests, and accomplishment programs, were provided, yet the consequence of the programs is not satisfactory since the programs are a short period and are not connected with job training programs or careers council. Additionally, the delivery systems convey programs separately in national and local areas, and whereas job stability institutions have careers advisers, excessive caseload prevents individual service delivery founded on youth counsel from being achieved. The suggestion that youth employment policies in South Korea can give on this paper is the fact that due to the inseparable relation between employment policies and educational policies, it is extremely significant to enhance young people s employability through both vocational education and careers guidance at school and to encourage them to prepare for jobs in the course of education. In terms of employment policies for young people who left school, creating efficient job-training programs and arranging both programs for the disadvantaged young people and delivery systems are emerging as important. In order to lead them to employment, it is essential to provide comprehensively job-training programs as well as programs that can resolve their own problems and give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ir basic skills. At the same time, pertinent institutions for youth should be linked, integrated delivery systems should be established in national level, and it is necessary for personal advisers to deliver individual services and to control them incessantly. Besides, in order that diverse employment programs obtain good results, it can be requisite to found a infrastructure primarily.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s that can execute policies and programs effectively, the change of school systems, the system for a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and the creation of a scheme to encourage enterprises participation are imperatives for South Korea s youth employment policies that are seeking for short duration progra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A.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 3 II. 이론적 배경 A. 청소년 고용정책 = 5 B. 분석틀 = 12 III. 영국의 청소년 고용정책 A. 정부개입기 : 1960년대 ~ 1980년대 후반 = 14 B. 정책확장기 : 1980년대 후반 ~ 1990년대 후반 = 18 C. 정책보완기 : 1990년대 후반 ~ 현재 = 24 D. 분석 = 31 IV. 한국의 청소년 고용정책 A. 정부개입기 : 1960년대 ~ 현재 = 34 B. 분석 = 41 V. 영국과 한국의 청소년 고용정책 비교 및 시사점 = 43 참고문헌 = 52 ABSTRACT =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766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subject.ddc300-
dc.title영국과 한국의 청소년 고용정책 변천과정에 관한 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