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9 Download: 0

분청사기의 스그라피토 기법을 응용한 패션일러스트레이션 연구

Title
분청사기의 스그라피토 기법을 응용한 패션일러스트레이션 연구
Authors
조은아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의상의 특징과 디자인의 조형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독창적이고 개성 있는 예술 분야로 발전해가면서 고유한 예술성을 표현한 작품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또한, 현대 예술이 순수미술과 실용미술의 한계를 넘어 장르의 구분이 무의미함을 드러냄에 따라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정확한 실제의 재현과 사실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과거의 실용적 기능에서 장식성과 예술성이 극대화된 순수미술의 영역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분청사기의 장식 기법의 하나인 스그라피토(Sgraffito) 기법을 새로운 표현 방법으로 도입하여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 영역을 확대시키고, 분청사기 문양의 독자적인 전통미를 현대적으로 표현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창조함으로써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예술적 가치를 높이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내용 및 방법은 이론적 배경으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개념과 기능 및 사례를 분류 분석하였고 그 표현 기법을 평면적 기법과 입체적 기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스그라피토 기법의 역사를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스그라피토 기법의 원류를 알 수 있는 도자기의 역사와 장식, 채색 기법을 고찰하였으며, 이 기법을 활용한 분청사기를 분석하여 스그라피토 기법의 종류 및 특성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스그라피토 기법을 응용한 작품을 통하여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활용된 사례를 조사하고 참고 작품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작품제작 배경을 위해 스그라피토 기법이 적절히 표현된 분청사기의 양식과 특징적 모티브를 분석하고 전통 문양의 조형적 특징을 모티브로 현대적 감각으로 재구성하여 인물과 패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도록 제작하였다. . 작품제작은 스그라피토 기법으로 제작된 분청사기의 박지 기법을 중심으로 음각기법, 귀얄기법 등을 응용하였고, 장식과 채색기법은 스그라피토 기법으로 제작되는 화장토 칠하기 기법을 기본으로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작품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기능 중 예술적 표현성과 장식성을 중시하여 복식의 디테일한 표현보다는 전체적인 이미지 표현에 비중을 두어 의상을 디자인하였다. 작품의 컨셉(Concept)은 전통문양을 응용하여 현대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Carefree elegance, Erotic elegance, Ethnic elegance의 세 가지 이미지로 분류하여 표현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존의 드로잉 기법에서 탈피한 스그라피토 기법의 독특한 시각적 질감과 회화적이고 섬세한 연출을 통한 총 10점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그라피토 기법은 화장토에 선으로 음각을 하든가 문양을 그리고 화장토를 긁어내어 장식 효과를 낼 수 있는 도자기의 장식기법인 화장토 칠하기에서 응용되었지만, 회화적이고 섬세한 연출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소재 표현과 복식의 독특한 분위기를 표현하는 새로운 방식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스그라피토의 원류인 도자기 장식법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아크릴 판과 석고를 사용한 스그라피토 기법은 독특한 시각적 질감과 선과 면의 효과, 두께를 조절한 질감 표현이 가능하여 입체적이고 평면적인 이중의 효과를 통한 부조적 표현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셋째, 스그라피토 기법은 분청사기의 박지 기법에서 응용된 선회법과 역상감법을 기본으로 음각기법, 귀얄기법 등을 활용하여 장식적이고 독창적인 패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었다. 스그라피토 기법의 조형미를 응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회화와 도자기에서 사용되어 온 기법을 활용하여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 영역을 확대시키고, 독자적인 방법으로 전통미를 표현했던 분청사기에서 그 원류를 찾아 현대적 기법으로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앞으로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우리 고유의 전통미를 계승,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 독창적이고 새로운 시도와 기법들로 표현 영역을 확대함으로써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독창성과 예술적 가치를 높여나가는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Current fashion illustration is being progressed toward a field of creative and unique art that can effectively represent a special feature of clothes and molding tendency of design, and it is a statement of art that transmits fashion message. Also, current art can t distinguish between the pure art and the practical art, so the fashion illestration is being extended to the territory of the fine art that maximazes the territory of decoration and art in practical fuction while the fashion illustration is being pursuing correct reappearance of reality and realistic beauty.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s the scratching technique as a new way of statement, and I tried to extend statement territory of fashion illustration by using gypsum and transparent acrylic board to avoid simple plain draw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value of the fashion illustration through possibility of the scratching technique that transmits fashion image and abundant tendency of decoration. On a theoracal bases of contents and the procedures of this study, I divided in anayzed the notion, capability, and practical use of fashion illustration, and I observed the plain technique and three-dimentional technique as a technical use of statement. In addition, I studied history, decoration, and coloring technique of ceramic ware to find a principle of the scratching technique through concept and origin of scratch, and I studied Bunchungsagi(a chinaware with white slip and greysh-green glaze) which used the scratching technique. Then, I studied a example of a product that applyed the scratching technique in the fashion illustration territory, and I presented a reference product. I studied mode of traditional ceremic ware and special motive which are expressed by the scratching technique, and I made products by reconstructing molding feature od traditional pattern to transmit effectively character and fashion image. I made the products based on Bakgi technique of Bunchungsagi that is made by the scratching technique, and I adapted Eumgak technique and Guiyal technique. Also, decoration and coloring technique is producted by mud coloring technique that is based on the scratching technique. I designed the clothes for image of mysterious and grotesque concept rather than detail statement of dress and its ornaments, and I regarded a matter as important for tendency of artistic statement and decoration. I produced ten pieces of the fashion illustration to creatively and effectively express unique and visual feeling of texture and representation of delicate statement through the scratching technique. The following belows ar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First, the scratching techique is possible to effectively and delicately express a form, material texture, light and darkness, hair, and charater within the fashion illustration. Second, the traditional origin of the scratching technique is come from Bakgi techique of Bunchungsagi that used the scraffito technique, and the scratching technique also can transmit image through using Sunhui technique, Yuksanggam technique, Eumgak technique and Guiyal technique. Third, the scratching technique by using gypsum can be easily corrected by water, and its unique visible feeling of texture can effectively express a line and face. Also, it is possible to express three-dimentional feeling of texture by controling thickness. Fashion illustration that is applyed by the scratching technique expands the territory of fashion illustration s statement by using the technique in which drawings and pottery have been producing, and the scratching technique represents a possibility to succeed and progress in fashion illustration by finding the origin of Bunchungsagi that expressed the traditional beauty. From now on, the statement territory of fashion illustration should be expanded by developing new technique of statement and material which can attempt to adapt with existing techniques, and we should keep trying to enhance originality and artistic value of the fashion illustr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