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7 Download: 0

중학교 장애학생과의 통합 모둠활동 공예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중학교 장애학생과의 통합 모둠활동 공예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정귀순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통합교육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관계를 중시하는 것으로 개념이 확대되면서 최근에 장애학생들과의 통합을 통한 상호작용의 경험이 비장애학생들의 사회적 인식과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특히 청소년기인 중학교 학생들은 장애 여부를 막론하고 성인기를 맞이하여 진로교육의 필요성과 더불어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는데 필요한 기술 및 사회적 지원망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다양한 사람들과의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 형성과 사회적 인식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융통성 있는 운영이 가능한 모둠활동을 통합교육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장애학생과 함께 상호작용을 한 경험이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학교 교육 과정 안에 있으면서 여가, 취미, 직업과 관련이 있어서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모두에게 유용한 공예 활동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 시내에 위치한 S 공립남자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 8명과 이들이 시간제로 통합하고 있는 원적학급 비장애학생 80명이었다. 특수학급 학생 8명과 비장애학생 40명으로 구성된 실험집단에게는 통합된 모둠활동 공예프로그램이 제공되었고, 비장애학생 40명으로만 구성된 통제집단은 요리, 미술, 도자기 공예, 만화 그리기, 비디오 감상, 농구, 모형자동차 조립, 영화관람 등과 같은 기존의 모둠활동을 하였다. 실험절차는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로 이루어졌다. 본 실험처치는 특수학급에서 방과 후 모둠활동으로 1회 90분, 일주일에 두 번씩 5주간, 총 10회기가 실시되었다. 장애학생의 장애정도가 비장애학생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을 20명씩 둘로 나누어 경도장애학생들과 활동하는 집단과 중등도/중도장애학생들과 활동하는 집단으로 구성하여 서로 다른 요일에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통제집단간 및 경도-중등도/중도간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회적 인식 척도 사전·사후 검사 평균값의 차이의 차를 t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인식에 있어서 통합 모둠활동 공예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기존의 모둠활동을 한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2. 비장애학생의 요인별 사회적 인식에 있어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그 효과가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요인 2 (대인관계에 대한 원칙의 발달) 요인 4(특수학급 학생과의 긍정적인 관계 증진), 요인 5(인간의 차이점에 대한 수용)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된 반면,요인 1(긍정적 자아개념)과 요인 3(특수학급 학생과의 상호작용에서의 어려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함께 활동한 장애학생들의 장애정도에 따른 실험집단 내 비장애학생들 사회적 인식에서는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장애학생들과 통합 모둠활동 공예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상호작용을 한 경험이 단순한 물리적 통합의 경험 보다 비장애학생들의 사회적 인식을 증진시키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장애의 정도는 통합의 긍정적인 효과를 방해하는 요인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특수학급이 있는 여러 중학교에서 중등도/중도 장애학생들의 통합기회의 확대와 함께 장애학생들과 비장애학생들의 상호작용을 증진할 수 있는 다양한 통합프로그램의 필요성이 강조되며,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기인 중학교 학생들의 사회적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해 통합 모둠활동 공예프로그램을 제안할 수 있겠다. ; As inclusion is a movement that seeks to create school based support in meeting the needs of all students, several studies have concerned about the outcome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an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either the processes or the outcomes of social relationships formed betw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eers without disabilities. Additionally, junior high school adolesc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need transition education and social network for living in community. Therefore, the purpose for this study was to show the impact of participating in an inclusion craft program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fter school on the social cognition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80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ho were in inclusive classes of "S" junior high school in Inchon. An Experimental group was consisted of 40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cluding 8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ile a control group only 40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composed of pre-test, treatment of experiment, and post-test with an inclusive craft program being implemented for 10 90-minute sessions..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ith 4 mildly disabled students and the other with 4 moderate and severely disabled students. T-test was used to test the effect of the inclusive craft program on social cognition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between the two groups(experimental vs. control and mild vs moderate/severe)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n social cognition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showing more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2.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on 3 factors of social cognitions but not on 2 factors. 3.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mild group and moderate/severe group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on social cognition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implementation of inclusive craft program can be the direct and systematic way to improve the social cognition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students who have disabilities regardless of the level of sever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