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순화-
dc.creator이순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1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7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3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769-
dc.description.abstract대부분의 정신지체나 뇌성마비와 같은 많은 뇌 손상 장애인들은 신체적인 발달지체나 인지능력의 결함으로 언어장애를 지니고 있다. 이는 제2차, 3차 장애의 요인이 되어 사회, 문화, 정서 등의 전반적인 생활의 장애를 지니게 되는데, 그들에게 있어서 교육은 치료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그들이 사회에 적응하며 살아가는데 있어서 생활의 필수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1년 2월16일부터 4월18일까지 장애인 종합복지관에 거주하는 언어장애청년 32명(정신지체 25명과 뇌성마비 7명)을 대상으로 가창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음성개선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창교육훈련 프로그램은 근육이완과 호흡운동, 그리고 모음발성연습과 노래부르기를 8주간(60일) 동안 실시한 후 호기량, 음량, 음역 등을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는 호기량, 음량, 음역 모두에서 증가가 나타나 가창교육훈련이 언어장애청년들의 폐활량과 음량, 음역증가에 유용함을 보여주었다. 호기량과 음량은 숨을 깊게 들이마신 후에 가능한 한 최대로 호기 할 수 있는 폐활량과 호흡 및 발성근육의 힘을 측정한 것으로 연구대상자 전체의 호기량은 평균 6.13초 증가되었고, 음량은 평균 27.14 dB 증가되었으며, 음역의 최저 음에서는 평균 17 Hz의 증가를 보였고, 최고 음에서는 평균 26.81 Hz의 증가가 나타났다. 이것은 가창교육훈련이 언어장애청년들의 호흡 근육의 힘을 강화시키며 조절함으로써 전체폐활량을 증가시키고, 언어생성의 필수적인 기능을 하는 호흡기관과 발성기관의 근육운동신경이 보다 강해졌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이들의 음성이 개선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실시되었던 가창교육훈련 프로그램이 앞으로 음성개선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적용될 경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Many brain-injured individuals like mentally retarded or cerebrally palsied have speech disorder due to the retardation in physical development or the lack of perceptional ability. Speech disorder develops into the secondary and tertiary agents of disabling, making it hard to get along with the social, cultural and emotional aspects of life, and it is certain that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persons is needed not only as a treating means but also as a requisite of living to successfully adapt to society. So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ee the effects of singing activity by providing a vocal instructional training program to 32 youths with speech disorder - the 25 mentally retarded and 7 cerebrally palsied - at the general care group homes for the handicapped from Feb. 16 to Apr. 18, 2001. The vocal instructional training program included muscle relaxation and respiration trainings, vowel phonation training, and singing. Subjects received those trainings for 8 weeks(sixty days) and then their Maximum phonation time, Sound intensity and Intonation pitch range were measured. As a result, subjects M.P.T., sound intensity and intonation pitch range increased after the program, indicating the usefulness of vocal instructional training program for the young speech disorder. As for M.P.T. and Sound intensity, the capacity of the lungs to expire to the highest degree after a deep inspiration and respiratory intensity or the intensity of phonation were respectively measured; subjects overall duration of expiration increased 6.13sec. in average, sound intensity increased 27.14dB in average, and intonation pitch range increased 17Hz in average in the lowest pitch and 26.81Hz in average in the highest pitch. This means that the vocal instructional training program did improve the voices of the brain-injured youth with speech disorder by intensifying and controlling the respiratory motors to increase the whole lung capacity and by strengthening the motors of respiration and phonation tracheas that are critical for speech production. Therefore, this researcher believes that the vocal instructional training program included in this research could by very effective for improving speech disorder or voice disorder in the future if properly appli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I.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2. 연구의 문제 = 6 3. 용어의 정의 = 7 II.이론적 배경 = 9 1. 정신지체의 기능적 특성과 언어장애 = 9 2. 뇌성마비의 언어적 기능의 특성 = 13 3. 음성장애의 원인과 그 실태 = 15 A. 음성장애의 진단과 원인 = 15 B. 후두와 음성장애 = 17 C. 지능과 발성장애 = 21 4. 언어와 신경생리 = 22 5. 음악과 신경생리 = 25 6. 음성개선을 위한 가창교육훈련의 치료적 효과 = 27 A. 음악의 근육운동 감각적인 접근 = 28 B. 멜로디억양치료(Melodic Intonation Therapy: MIT) = 31 C. 노래부르기 = 34 III. 연구방법 = 37 1. 연구대상 = 37 2. 데이터 수집 및 측정방법 = 38 3. 측정도구 = 41 4. 실험절차 = 42 5. 가창교육훈련 프로그램 = 43 6. 자료분석 = 47 IV. 연구결과 = 49 1. 연구대상자 전체의 결과 = 50 2.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결과 = 55 3. 연구문제의 결과 = 70 V. 결론 및 논의 = 74 1. 결론 및 논의 = 74 2. 제언 = 78 참고문헌 = 82 부록 = 91 부록1 사전 사후 검사지 = 91 부록2 사전 사후검사 측정기 = 94 Abstract =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567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가창교육훈련이 언어장애청년들의 음성개선에 미치는 효과 : 정신지체와 뇌성마비를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