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민영-
dc.creator김민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1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7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3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71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이 일반적으로 보이는 임상 양상과 인지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외상성 뇌손상은 교통사고, 낙상, 산업재해, 폭행 등에 의하여 주로 발생하며 특히 한참 일할 나이인 30-50대의 남자에게서 그 발생빈도가 가장 높고 그 후유증이 만성화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외상성 뇌손상은 기질적 장애 뿐 아니라 손상에 따른 이차적인 심리적 반응으로 인지, 정서, 행동, 그리고 사회적 기능의 장애를 초래한다. 특히 외상성 뇌손상으로 인한 전반적 인지능력의 저하는 다른 영역의 장애들보다 훨씬 지속적으로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더 큰 사회적 및 직업적 문제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뇌손상 환자들이 보이는 인지 능력의 저하는 기억 장애, 주의력 장애, 문제 해결 장애, 조직화의 어려움 등의 여러 영역에 걸쳐 일어나는데 본 연구에서의 인지 재활은 이러한 인지 기능에 대해 체계적으로 개입하여 정보처리를 방해하는 인지 기능의 결함을 호전시키는 것이다. 인지 재활 프로그램은 본 연구자가 제작한 것으로서 언어 기억과 시각 기억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로그램 실시 시간은 50분, 실시 기간은 4주 12회기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광주에 있는 S 병원의 외상성 뇌손상 환자 중 지능에 비해 전반적 인지 능력 및 기억 능력이 유의하게 저하된 환자를 대상으로 2-3명의 소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각각 다른 시기에 세 집단에 실시하여 전체 실험 환자군 8명, 전체 통제 환자군 8명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로는 한국판 웩슬러 지능검사(K-WAIS)를 screening test로 사용하였고, 한국판 기억 평가척도(Korean version of Memory Assessment Scale: K-MAS)와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을 사전 사후 검사로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자가 작성한 인지치료 평가지를 평가의 보조도구 및 내용분석 도구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재활 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실시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전반적 인지 능력의 향상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MMSE의 평가 결과로 검증되었다. 둘째, 인지재활 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실시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기억 능력에 있어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이는 K-MAS의 평가 결과로 검증되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실험집단의 환자들은 프로그램이 자신의 인지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판단하였으나 프로그램 시간이나 기간에 대해서는 다소 짧았다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뇌손상 환자들의 삶의 질과 관련한 문제에 대하여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구조화된 인지 재활 프로그램이 거의 전무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재활 프로그램에 보호자를 동석시켜 일반화를 가능하게 하고, 환자 자신의 저하된 인지 능력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함께 환자 스스로가 인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도록 돕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clinical conditions and cognitive functions that can be seen commonly in traumatic brain injured patients, and to verify the effect of a cognition rehabilitation program which is perform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examination. Traumatic brain injuries usually occur in traffic accidents, accidental falls, industrial disasters, violence, and so on, and most frequently happen to men in the 30s to 50s, leaving chronic aftereffects in most cases. Traumatic brain injuries commonly bring about not only dispositional disorders but also disorders in cognition, emotion, behavior and social functions as secondary psychological reactions to the damage. In particular, the deterioration of cognitive ability owing to a traumatic brain injury appears to last much longer than troubles in other areas, and to cause generally further serious social and occupational problems. The cognitive ability of a patient with a traumatic brain injury degrades in various areas such as memory, attentiveness, problem-solving ability and organizing ability. Cognitive rehabilitation in this research aims to improve the defect in cognitive functions, which disturbs information handling, by intervening systematically in the functions.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present researcher, is composed of programs to enhance verbal memory and visual memory, and has twelve 50-minute sessions in 4 weeks. For this research, we selected some patients in S Hospital, whose overall cognitive ability and memory ability are significantly impaired, compared to their intellectual ability, among patients with a traumatic brain injury. We performed the program on small groups with 2 or 3 members. Three different group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t different time.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test groups was 8, and that in the control groups was also 8. We analyzed the results of inspections before and after carrying out the program. As research tools, we adopted Wechsler Intelligence Scales in Korean version(K-WAIS) for the screening test, and Memory Assessment Scale in Korean version(K-MAS) and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 for the pre- and post-test. We also employed the cognition remedy evaluation sheet prepared by the present researcher as a subsidiary tool for evaluation and contents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st groups, on which the cognition restoration program had been performed,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overall cognitive 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n which the program had not been performed. The result was verified by the evaluation through MMSE. Second, the test groups, on which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had been performed,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memory 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n which the program had not been performed. The result was verified by the evaluation through K-MAS. The participants of the program considered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cognitive ability but the session time or program term was somewhat short. In a condition that structur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s are hardly found despite of growing concern about the quality of brain-injured patients life, the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is to involve guardians to rehabilitation programs, and to assist the patients to understand correctly their own degraded cognitive ability and to utilize provided methods to improve the abi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 I. 서론 = 1 A. 문제 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 3 C. 연구 가설 = 3 II. 이론적 배경 = 5 A. 뇌손상 환자의 임상양상 = 5 1. 전반적 임상양상 = 5 2. 뇌손상 환자의 인지장애 = 8 B. 뇌손상 환자의 인지재활 = 17 1. 인지 재활의 개념 = 17 2. 인지 재활의 일반적 방법 = 18 3. 각 인지 장애별 효과적 치료 방법 = 21 III. 연구 방법 = 30 A. 연구 대상 = 30 B. 연구 도구 = 30 C. 연구 절차 = 35 D. 실험 설계 = 37 E.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구성 = 37 F. 통계 처리 = 40 IV. 연구 결과 = 42 A. 인구 통계학적 자료 = 42 B. MMSE 결과에 대한 측정 = 44 C. MAS 결과에 대한 측정 = 47 D. 인지 재활 치료에 대한 평가 = 50 V. 결론 및 논의 = 52 참고 문헌 = 55 부록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91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뇌손상 환자의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