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3 Download: 0

조선초기 소상팔경도 연구 : 사천자소장 소상팔경도를 중심으로

Title
조선초기 소상팔경도 연구 : 사천자소장 소상팔경도를 중심으로
Authors
이상남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Eight Views From the Xiao and Xiang Rivers(瀟湘八景)" are a series of paintings popular in East Asia which depicted the beautiful scenary around the Xiao and Xiang Rivers in Chinese Hunan province. "Eight Views from the Xiao and Xiang Rivers" was first painted by Sung Ti(宋迪) during the Northern Song period and it was during the southern Song period when Hui-hung(惠洪) wrote poems of the Eight Views from the Xiao and Xiang Rivers that its painting and poetry became known as poetry without sound (無聲詩) and painting with sound (有聲畵) resulting in its popularity as a painting subject. Because each painting titles of "The Eight Views from the Xiao and Xiang Rivers" had their own icon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tudy of this subject in terms of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East Asia during different periods is suitable. However, study of Yuan and Ming paintings on this subject which we assume to related to early Choson subjects is extremely rare and their relationship hitherto has not been discussed. Thus this thesis traces back to the Yuand and Mmg paintings on this subject for the study of early Choson paintings on "The Eight Views from the Xiao and Xiang Rivers". However, as there are very few paintings on "The Eight Views from the Xiano and Xiang Rivers", study from this period will extend also to the extant Poems written on paintings (題畵詩) and literary records of this period. From this we understand that paintings on "The Eight Views From the Xiao and Xiang Rivers" during the Yuan period was quite popular. During King Choong-sun s reign, Chao Meng-fu(趙孟類), Chu Te-jun(朱德潤), and Wu Jie(虞集) who met with Koryo scholars in Wan-kuan-tang(萬卷堂) which was built in Peking, have left records on this subject. Lee Jae-hyun of Koryo also has left three poems on "The Eight Views from the Xiao and Xiang Rive". The popularity of this subject during late Koryo and early Choson is assumed to have been under the direct influence of Yuan. The exant paintings on "The Eight Views from the Xiao and Xiang Rivers" dates back to the early sixteenth century. But literary records and the poem written on painting subjects show that the subject was popular even during the fifteenth century. This thesis will discuss the aspects of the subject in terms of poem titles for paintings as one specific genre. The late fifteenth century which is in painting history an empty period, has left considerable number of poems written on paintings by scholars such as Seo Keo-jung(徐居正) when poems written on paintings was popular and its contents are extremely narrative and descriptive. Therefore, this thesis traces back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s on "The Eight Views from the Xiao and Xiang Rivers" of the late fifteenth century by analyzing the poems written on paintings and the extant paintings on this subject. Among extant works, a Sa-chun-ja(泗川子) painting on this subject reflects a high probability that it may have been executed in the late fifteenth century. The Sa-chun-ja painting has many similarities with the Daikanji(大願寺) painting which can be dated back as late as 1539 and thus has been attributed to the early sixteenth century albeit stylistic comparison has not been studied. Therefore this thesis has taken a more detailed comparison between the two works and speculates that the two works were probably painted by copying(範本) the same painting which resulted in its similarity. This thesis reasons the possibility that the original work could have come from an early Chosou painting on "The Eight Views from the Xiao and Xiang Rivers". The painting style of the Sa-chun-ja painting displays many characteristics with the late fifteenth century early sixteenth century Muromachi landscape paintings. Thus, the extension of the far distance, painting objects in an unclear manner, and the organic connection from near to far distance all contribute to representing an extended space. These characteristc painting styles can be seen throughout the Sa-chun-ja painting and it is a characteristic style change for the Japanese who do not usually prefer the northern painting styles. If this change in painting style results from the influence of Choson, the characteristic style from the Sa-chun-ja painting much have prevailed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fifteenth century. Early Choson paintings on "The Eight Views from the Xiao and Xiang Rivers" including the Sa-chun-ja piece reflect Yuan iconographic influence but carries on its own characteristic style. Early Choson painting on this subject has laid its foundations on Ahn Kyon whose style comes from the Li-Kuo styles. Thus Ahn Kyon style is the major painting style of the early Choson period.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hitherto on the stylistic developments of Ahn Kyon style but few on the Chinese stylistic origins of Ahn Kyon style. Thus this thesis also discusses the stylistic origins of Ahn Kyon style in ladscape painting by analyzing "Eight Views from Four Seasons" painting attributed to Ahn Kyon. As a result, the foundations of early Choson Ahn Kyon styles come from Yuan styles of Li-Kuo styles and the Yuan Che-chiang styles. The Sa-chun-ja painting has laid its foundations on Ahn Kyon style and yet portrays active influence from early Ming painting styles. It has been thought that the popularity of Li-Kuo style during the early Choson which was a unique trend, influenced by the studies on ancient traditions and ancient literature during King Se-jong s reign. However, this thesis disucsses that the popularity of Li-Kuo styles outwardly comes from the influence from early Ming court painting and inwardly from the continuing traditions from the Koryo period. For this, this thesis has actively reviewed the painting styles of early Ming court and has shown an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oson and early Ming court painting. This thesis has sought to discuss early Choson poem titles for paintings, the Chinese and Japanese painting trends, and close analysis of extant sixteenth century works. All this reflect that the characteristics that were thought to be from the sixteenth century only were in fact prevailing in the latter part of the fifteenth century. Through this study, we find that the popoularity of "The Eight Views from the Xiao and Xiang Rivers" was not only a unique trend in early Choson period but also an international trend in East Asia in terms of painting style exchange and influence. ; 본 연구는 朝鮮初期의 瀟湘八景圖를 통하여 朝鮮初期 畵壇의 경향을 살펴보고, 당시의동아시아 삼국간의 화단의 관련성을 논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瀟湘八景의 畵題는 각각의 특징적 도상이 있기 때문에 각 시대와 국가간의 회화의 공통성과 특수성을 연구하는데 적합한 주제로 여겨진다. 그러나 韓國 瀟湘八景圖와의 관련성이 추측되는 元代와 明初 瀟湘八景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어 현재까지는 이러한 영향관계를 논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朝鮮初期 瀟湘八景圖의 연구를 위해 中國 元代와明代의 瀟湘八景圖를 추적하였다. 그러나 현존하는 元·明代의 瀟湘八景圖가 거의 없기때문에, 이 시기 문집에 실린 題畵詩와 문헌기록을 통해 元代와 明代 瀟湘八景圖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元代 後記에 瀟湘八景圖가 유행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元末의 문인들이 쓴 다수의 瀟湘八景 題畵詩를 찾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忠宣王이 燕京에 지은 萬卷堂에서 高麗의 文人과 교유한 趙孟□, 朱德潤, 虞集 등이 瀟湘八景에 대한 기록을 남기고 있음이 주목된다. 이들과 교유한 李齊賢 역시 세편의 瀟湘八景時를 남기고 있었다. 이는 麗末鮮初 瀟湘八景의 유행에 元의 직접적 영향력이 있었음을 보이는 것으로 瀟湘八景의 유행이 독자적 흐름이 아닌 양국간의 긴밀한 교류 관계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日本에서도 朝鮮初期와 동시기인 室町時代에 瀟湘八景이 애호되었고, 따라서 瀟湘八景의 유행은동아시아 삼국의 긴밀한 관련성 속에서 언급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현존하는 대부분의 朝鮮初期 瀟湘八景圖는 16세기 전반의 작품으로 편년되고 있다. 그러나 문헌기록과 題畵詩를 통해보면 15세기에도 瀟湘八景의 제작이 활발했던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15세기 瀟湘八景의 양상을 추적하였고 현존작품이 없기 때문에題畵詩라는 문학장르의 도움을 받았다. 15세기 후반은 회화사에서는 공백시기이지만 題畵詩의 최융성기로, 현재까지도 많은 작품이 남아 당시 화풍의 양상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있다. 또한 당시 지어진 題畵詩의 성격이 상당히 묘사적이고, 당시 회화를 향유한 많은 문인들이 題畵詩를 직접 지었으므로 이시기 제화시를 통해 당시의 화단의 경향을 살필 수있었다. 이를 통해 보면, 15세기 瀟湘八景圖는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었고, 일반산수의화풍과도 긴밀히 관련되며 또한 소상팔경도의 특징적 모티브들이 일반 산수도에 등장하기시작한다. 題畵詩의 분석에 의한 화풍 추적과 현존하는 朝鮮初期 山水畵와의 양식분석을 통해 보면 현존작 가운데 泗川子所藏 <瀟湘八景圖>가 15세기 후반의 양식적 특성을 많이 가지고있었다. 泗川子本에는 당시의 題畵詩에서 나타나는 공간의 확대와 확대된 공간의 빛과 안개에 의한 미묘한 대기표현등이 그대로 나타났으며, 경물구성의 면에서도 16세기 전반의瀟湘八景圖와는 다른 요소가 있었다. 현재까지 泗川子所藏 瀟湘八景圖는 1539년의 하한을 갖는 大願寺所藏 <瀟湘八景圖>와의 양식적 유사성 때문에 16세기 전반으로 편년돼 왔으나 구체적인 양식비교는 행해지지않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 작품과의 면밀한 양식비교를 행하였으며, 그 결과 泗川子本과 大願寺本의 유사성은 같은 範本의 사용에 의한 도상학적 유사성에서 비롯된 것임을 추정하고 朝鮮初期 瀟湘八景圖의 범본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泗川子本의 畵風은 室町時代인 15세기말과 16세기초 山水畵風의 변화와 유사점이 있다. 즉 後景에서의 주산의 확대, 화면의 평판화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어슴프레한 경물군, 전경에서 후경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화면에 넓은 공간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畵風上의 특징은 북방의 畵風을 애호하지 않았던 日本 水墨畵의 독특한 양식변화로 사천자본에서 두드러진 양식적 특징이기도 하다. 元代 瀟湘八景圖와의 도상학적 유사성이 인식되기는 하지만 朝鮮初期 瀟湘八景圖는 조선초기 화단의 독특한 安堅派 畵風으로 그려졌다. 安堅派 畵風은 李郭派畵風을 기반으로성립된 화풍이다. 지금까지 安堅派 畵風의 전개에 대해서는 많은 논고가 있었지만 安堅派화풍의 양식적 원류를 추적하는 연구는 행해진바 없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존 최고의安堅派 山水 작품인 傳 安堅 筆 <四時八景圖〉의 분석을 통해 朝鮮初期 安堅派 畵風의 양식적 원류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朝鮮初期 安堅派 畵風의 성립 기반이 된 李郭樣式은 元代의 李郭樣式이었으며 여기에 元代의 浙江樣式도 적극적으로 인식되어 있었다. 泗川子所藏 瀟湘八景圖는 이같은 安堅派 畵風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明初의 畵風의 영향이 적극적으로 인식되고 있었는데 이를 통해 보면 당시 양국간의 긴밀한 관련성을 추측할수 있다. 또한 朝鮮初期 李郭派 畵風의 유행이 현재까지는 世宗代의 古制硏究에서 비롯된 古典主義의 영향하에서 생겨난 조선초기 화단의 독자 경향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李郭派 畵風의 유행을 외부적으로는 中國 明初 畵壇에서의 李郭派 畵風 유행과 내부적으로는 麗末鮮初 畵風의 계승이라는 관점으로 해석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까지 다소 모호한개념인 明初의 院體畵風을 적극적으로 재고하였고 이를 통해 朝鮮初期와 明初의 화단이긴밀한 관련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필자는 朝鮮初期의 題畵詩 中國과 日本의 화단의 경향 16세기 작품의 면밀한 양식분석을 통해 15세기 후반의 화단의 경향을 살피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보면 현재까지 16세기적인 특징으로만 인식되던 畵風上의 특징이 15세기 후반에 이미 나타나고 있음이 주목된다. 지금까지 朝鮮初期 繪畵史 연구는 주로 한국 작품간의 양식비교나 문헌고찰이 중심이되어 왔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韓·中·日 회화의 양식적 비교를 통해 다각적 연구를 시도 하였다. 또한 朝鮮初期 畵壇에서 일어난 현상 자체 만이 아니라, 그 원인과 배경을 中國과 日本 화단의 여러 경향을 통해 추적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성과를 통해 보면 朝鮮初期 瀟湘八景圖의 유행이 朝鮮初期의 독자적 전개라기 보다는 동아시아 화단의 교류를 통한 영향 관계 속에서 논의될 수 있는 국제적 양상이었다고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