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7 Download: 0

어린이 영자신문을 활용한 초등 영어 읽기 지도 : 지도 효과 및 활용 방안

Title
어린이 영자신문을 활용한 초등 영어 읽기 지도 : 지도 효과 및 활용 방안
Authors
민예구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explicitly states that elementary school English should be taught utilizing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interesting media,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us, in teaching written language (i.e. reading and writing) as well as spoken language, studies on various teaching methods that can maintain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have been constantly conducted. However, studies still need to be carried out more on the teaching methods of reading, which are diverse, interesting, and considered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as a new method of teaching English reading, which is favorable to bo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and which goes beyond monotonous English reading classes centered on only textbooks, the author of this study introduced the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newspapers (NIE, Newspaper In Education), a method began to be widespread in the 1990s. Although the effects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newspapers (NIE) have been studied intensively in each subjec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effects and the application method of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English newspaper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teaching elementary school senior graders reading English using English newspaper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students attitude toward reading English newspapers; the change of students reading skills with their diverse English competency levels; and the consequent efficiency of teaching elementary school English reading, and finally it seeks to propose a teaching method of English reading using newspapers that can be applied to the actual field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eight-week study were sixth grade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 in Il-san.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ading classes were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children s English newspapers i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classes for twenty minutes, excluding the first class. For the control group, they were conducted using previous teaching methods. Both groups were subdivided into superior and inferior subgroups, and then the data collected from pre/post-experiment reading skill tests and the questionnaire on their reading activities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As a result, the effect of reading instructions using English newspapers on the reading skills of learners and their attitude toward reading activitie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reading skills based on the scores of the post-experiment test, the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classes using newspapers showed overall improvement in their reading skills, whereas reading skills of those in the control group didn t improved, or rather deteriorated. Second, in the comparison of the reading skill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within the two superior and two inferior subgroups, both subgroup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er improvement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ird, i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ading skills of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each evaluation area, the experimental group excelled the control group in the four evaluation areas - finding and reading words and sentences;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words; understanding the contents (outline) of the text; and the true or false test, except in only one area -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of sound and spelling. Fourth, the degrees of improvement were compared in each evaluation area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within both superior and inferior subgroup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everal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can be made. First, this study has limitations of generalizing its findings, in that it was conducted on the small population of elementary school sixth graders for a short period of time. Therefore, more long-term studies that can verify general validity should be carried out in order to utilize newspapers as excellent reading materials. Second, more programs using various English newspapers, which are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this country should be developed. And at the same time, the procedure for verifying their effects should also be accompanied. ; 제 7차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에 의하면, 초등학교 영어 교육의 방법은 초등 학교 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교수법과 흥미로운 교수매체를 적절히 활용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음성언어 뿐 아니라 읽기와 쓰기와 같은 문자언어를 지도함에 있어서도 영어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한 교수법의 연구가 그 동안 꾸준히 진행되어져 왔다. 그러나 초등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하고 흥미로운 읽기 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 중심의 영어 읽기 수업에서 탈피하여 부교재로서의 어린이 영자신문을 활용한 교육 활동(Newspaper In Education)이 우리 나라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에게는 어떤 결과를 보일지의 타당성 여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미 신문을 이용한 교육적 활동(NIE)의 효과에 대해서는 초·중·고등학교에서 각 교과별로 많이 연구되어 왔지만,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영자신문을 이용한 교육 활동의 효과나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에게 영자신문을 부교재로 활용한 읽기 지도를 함으로써, 영자신문 읽기에 대한 흥미도와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아동들의 읽기 능력의 변화 및 초등 영어 교육 현장에서 적용 할 수 있는 어린이 영자신문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실험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영어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8주간 12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실험집단에서는 1차시를 제외한 2, 3, 4차시에 각 20분씩 어린이 영자신문을 활용하여 읽기 수업을 하였고, 통제집단에서는 기존의 수업 방식대로 놀이 중심의 읽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통제집단을 각각 상·하위집단으로 구분하고, 실험 이전·이후에 실시한 읽기 능력 평가와 읽기 활동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통계 처리한 결과, 영자신문을 활용한 읽기 지도가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읽기 활동에 대한 태도에 미친 영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이후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읽기 능력의 향상 정도를 살펴본 결과, 신문을 활용하여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학습자들은 읽기 능력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반면, 통제집단의 학습자들은 읽기 능력에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하위집단 내 실험·통제집단간의 읽기 능력 비교에 있어서도, 실험집단의 상·하위 집단 학습자들이 통제집단의 상·하위 학습자들에 비해서 그 향상도가 더욱 컸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실험·통제집단의 평가 영역별 읽기 능력을 비교한 것을 분석해 보면, 소리-철자의 관계 이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4개 영역 즉, 어휘와 문장 찾아 읽기, 단어의 의미 이해, 글의 내용(줄거리) 이해, 진위파악 영역 모두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넷째, 상·하위 집단 내에서 실험·통제집단간의 평가 영역별 향상 정도를 살펴본 결과, 우선 상위집단의 경우에는 실험집단이 소리-철자의 관계 이해, 어휘와 문장 찾아 읽기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다른 3개 영역 즉, 단어의 의미 이해, 글의 내용 이해, 진위 파악 영역에서 통제집단보다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하위집단간의 비교에서도 소리-철자의 관계 이해, 진위 파악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영역, 즉 어휘와 문장 찾아 읽기, 단어의 의미 이해, 글의 내용 이해 영역에서는 실험집단의 하위집단 학습자들이 통제집단의 하위집단 학습자들보다 더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다섯째, 실험 후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 신문을 활용한 수업이 영어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시키고, 나아가서 영어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갖도록 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연구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8주라는 짧은 기간동안 소수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는 점에서 그 결과를 일반화시키는 데 무리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신문이 훌륭한 읽기 교재로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보다 일반적인 타당성을 증명하기 위한 장기적인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앞으로 우리 나라 초등학생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영자신문활용 프로그램이 더욱 많이 개발되어야 하며, 그 효과에 대한 검증 작업 또한 함께 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