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6 Download: 0

EFL환경에서 학습성취도가 높은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특성 분석

Title
EFL환경에서 학습성취도가 높은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특성 분석
Authors
박미경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국제화, 세계화 시대인 21세기 현대사회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세계에서 가장 많이 통용되는 언어인 영어를 학습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시대적 중요성을 반영하는 영어 학습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영어 학습이 이루어지기 전에 영어 학습에서 높은 성취도를 보이는 학습자들의 특성과 그들의 학습 방법을 알고 이를 실천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중학교 영어수업의 현실에서 학습자와 교사가 성취도가 높은 언어 학습자의 특성이라고 생각하는 바를 살펴보고, 이 두 집단의 견해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소재 중학교에 재학중인 학습자와 교사에게 성취도가 높은 영어 학습자의 특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성취도가 높은 학습자의 특성에 대하여 순위를 정해 본 결과, 학습자들은 성취도가 높은 언어 학습자는 정의적인 면에서 자신감이 넘치고, 호기심이 많으며, 수업시간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이며,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이들은 실제 수업에서 단어의 의미파악에 중점을 두어 학습하고, 새로운 자료를 학습하는 것을 좋아하며, 내용이나 의미에 초점을 두어 학습을 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성취도가 높은 언어 학습자는 듣는 것보다 말하는 것을 더 잘한다고 대답하였다. 읽기 학습에서 모르는 단어의 뜻을 추측하여 학습하고, 발음을 매우 잘하는 학생이 성취도가 높은 언어 학습자라고 생각하였다. 또한 이들은 전략 사용면에서 반복 학습을 많이 하여 복습에 충실하고, 교사의 질문에 자신이 지적을 당하지 않더라도 항상 대답하려고 시도한다. 그리고 원어민들이 서로 얘기를 할 때에도 항상 그들의 대화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려고 한다. 또, 배운 내용을 입으로 크게 발화하여 언어 학습을 하고 있다. 교사의 관점에서의 성취도가 높은 언어 학습자의 특성도 학습자의 관점과 비슷하다. 교사는 학습자가 좀 더 호기심이 많을 때 성취도가 높으며, 새로운 자료를 선호하고, 문법보다는 의미에 관심을 갖는 학습자가 성취도가 높다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학습자와 교사 모두 성취도가 높은 언어 학습자의 특성에 대해 비슷한 견해를 가지고 있다. 설문의 결과를 요인 분석한 결과, 학생용 설문지에서는 다양한 전략 사용, 언어에 대한 직접 노출과 적극적 태도, 그룹활동 선호, 긍정적인 실수 수정 태도, 수용적 태도, 의존성, 유창성, 수동적 태도, 문법의 중요도, 소극적 전략 사용, 작문 능력, 외향적 성격, 완벽성, 문법과 단어의 중요성, 풍부한 상상력, 상향식 공부방법, 문제 해결력, 암기 능력, 내향성, 모국어 사용도, 비자발적 태도, 그리고 비추측 태도 등의 22요인이 산출되었다. 교사용 설문지에서는 직접 경험 기회와 적극적인 전략 사용, 그룹 활동 선호와 수용적 태도, 문법과 단어 학습의 중요성, 소극적 전략 사용과 수동적 태도, 소극적 수정과 문법 중요성, 외향성, 완벽성, 자발적인 의사소통 욕구, 적극적인 태도와 자신감, 언어에 대한 노출, 내향성, 회피적 전략 사용, 의존성, 언어학습의 고유성, 문제 해결력, 낮은 참여도, 내향성, 작문 활동, 암기 능력, 내용 이해도, 참신성, 유창성, 그리고 개인 활동 선호 등의 23요인이 산출되었다. 위의 요인들과 학습자들의 성적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자들이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고, 수업시간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학습에 임하는 긍정적인 실수 수정 태도 요인, 혼자 문제를 해결하면서 공부하는 것을 좋아하며 읽기 활동을 할 때 단어나 세세한 의미를 중요하게 공부하는 상향식 공부 방법 요인, 그리고 새로운 내용을 배웠을 때 이것을 기억하기 위해 다른 단어와 연관을 시켜 공부하거나, 대화를 지속하기 위해 다양한 의사소통 능력을 보이는 것, 반복 학습을 하고, 글전체의 의미 파악을 선호하는 등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는 요인이 학습자의 점수와 상관 관계를 가진다. 설문조사와 병행하여 성취도가 높은 학습자들의 교실 수업 태도를 관찰하고자 비디오촬영, 관찰 일지와 직접 면담을 실시한 결과 첫째, 우리 나라의 학습자는 영어 학습에서 성취도를 높게 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새로운 내용을 학습하면 이미 학습한 내용과 연관시켜 의미 있는 학습이 되도록 하기 위해 입으로 크게 말하면서 동시에 쓰는 전략을 사용하여 많은 감각 기관을 이용하여 학습을 하고 있다. 학습자들은 또한 외국인과 직접 만나 대화를 할 수 있는 자가 성취도가 높은 영어 학습자라고 생각하였다. 둘째, 성취도가 높은 영어학습자는 교사로부터 수정을 받을 때 적극적으로 자신의 실수를 수정한다. 학습자들은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고 실수를 수정받을 때 자신 있게 큰소리로 발화하여 학습한다. 셋째, 학습자들은 자신감과 모든 언어기능의 학습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는 영어 학습에 대한 자신감이 떨어지며,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것이 좋으나 친구들의 압력에 또한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넷째, 학습자들은 설문 조사에서는 성취도가 높은 영어 학습자들은 언어의 네기능면에서 모두 우수하여야 한다고 생각하는 반면, 개별 면접을 통해서는 발음이 좋고, 외국인과 의사 소통을 잘하며, 성적이 좋은 자가 성취도가 높은 언어 학습자라고 대답하였다. 쓰기 부분에 대한 학습자의 언급은 거의 없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 영어 학습자도 외국의 성취도가 높은 영어 학습자와 비슷한 정의적, 전략적 특성을 보인다. 그러나 회귀 분석결과에서 학생의 성취도와 관계가 있는 요인 중 글을 읽을 때 세세한 내용을 학습하고, 단어, 문법 학습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우리 나라에서는 서양의 언어 학습자보다 내향적인 특성이 있다. 교사로서 영어 학습의 성취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학습자들이 다양한 전략을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하며,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 또한 고려하여 수업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자신 있게 영어 학습에 임하는 것이 언어 학습을 성공적으로 달성하는 데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학생들에게 인식시켜야 할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attitudes towards a good language learner. It is very important to learn English, which is regarded as the world language so one can easi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modern society for the twenty-first century. In order to study English more efficiently in this situation,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how good learners acquire languag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from the viewpoint of a learner and a teacher by considering that a learner and a teacher think differently of what is a good language learner within the reality of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in Korea. From a standpoint of a language learner, this study compares to what we think as a peculiar character with a learner s real class attitude. Furthermore, we will consider how to teach and learn English effectively in order to become a good language learner and a good teacher in Korea, which is under EFL situation to compare that foreign scholars define as the characteristics of a good language learner. Data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tic technique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s. Through factor analysis, twenty-two factors for students and twenty-three factors for teachers were emerged as characterizing the good language learner. The identified factors for students were: the use of many kinds of strategies, direct exposure to language and positive attitude, preference for group activity, positive error correction, acceptive attitude, dependency, fluency, passive attitude, the importance of grammar, rich imagination, the bottom-up method, problem-solving ability, memorization, introversion, the use of mother tongue, non-guessing attitude. The identified factors for teachers were: direct experience opportunity and the use of positive strategies, the preference for group activity, acceptive attitude, the importance of grammar and vocabulary, the use of passive strategies and negative attitude, passive error correction and the importance of grammar, extroversion, perfection, positive communicative need , ppositive attitude and confidence, the exposure to language, introversion, the use of passive strategies, dependency, the peculiarity of language learning, problem-solving ability, low participation, writing activity, memorization, comprehension, freshness, and preference for individual activity. We carried out a direct interview and a case study to see and to analyze who qualified as a good language learner. We videotaped an investigator s real class and wrote a survey list to have more reliability and propriety upon the contents by the direct interview and the questionnaire to know a special characteristics of a good language learner. The conclusion about a good language learner by questionnaires, direct interviews, and observation by videotape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students consider a good language learner as being very proud, curious, active, and are not afraid of mistakes. A good language learner should have a tendency to study focusing on understanding meaning of words, and likes studying new texts in the classroom while a good language learner should be good at speaking rather than listening. They can infer the meaning of new words in the context and be good at pronunciation. They like reviewing strategy and always answer a teacher s question. They try to participate in native speakers conversation. A good language learner also practises orally what he or she learned. Secondly, a questionnaire showed that language learners thought that a good language learner should reach a very good standard in the four major functions of language. On the other hand, an individual interview showed that language learners answered that a good language learner was good at pronunciation and made him or her understood in foreign languages well and had good school records. Language learners hardly any remarks on writing skills. Thirdly, external motivation is to go to college or to get a job he or she wants was a lot stronger than a motive to make friends with foreigners from a learners viewpoint.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a good language learner that foreign scholars defined was not much different from a Korean scholars However, Korean scholars could no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use of strategy. Korean scholars think that a learning strategy to find detailed information more important from a standpoint of strategical use. Korean learners recognize pride and practices of all the language function are required to study a language. However, they lack confidence in learning English and are very sensitive to the pressure put on their friends even though they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class. Teachers have to let students know that mistakes can be naturally accepted in learning a language. In addition students must be made to improve one s language study and understand how to build self-confidence in English lear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