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6 Download: 0

매스미디어가 청소년 통일의식에 미치는 영향 : 서울 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Title
매스미디어가 청소년 통일의식에 미치는 영향 : 서울 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Authors
양미화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의 매스미디어는 부분적으로 한반도 관련 보도에서 상호 화해와 신뢰 분위기 조성에 기여한 점이 없다고는 볼 수 없으나 전체적으로 상호체제 유지와 불신 대결 의식을 조장하기도 하였었다. 이와 같은 결과 신세대 청소년들은 정치적 이데올로기, 교육, 미디어를 통해 북한과 통일에 거의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었다. 그러나 남북 정상회담 이후 한반도는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청소년들이 기존에 지니고 있던 통일과 북한에 관한 의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통일을 위한 준비는 여러 가지 관점에서 검토 되어야하나 앞으로 통일 한국을 이끌어 갈 주역이 현재의 청소년임을 생각할 때, 현재의 우리 청소년들이 어떤 모습을 하고 있으며 어떤 마음 자세를 가져야 하는지를 알아보는 것도 통일 준비의 중요한 요소라 생각된다. 또한 현대의 가장 중요한 사회 교육 매체 중의 하나인 매스미디어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매스미디어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내용과 방향은 청소년들의 의식 형성과 태도에 중요한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의 의의는 크다고 생각된다. 통일 의식 형성에 있어 매스미디어의 노출 정도와 개인적 배경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지역의 인문계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매스미디어에 대한 노출 정도와 통일 의식과의 관계를 연구·조사하였다. 먼저 여러 문헌과 선행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우리 나라 고등학생들의 통일 의식 문제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선행 연구들에 따르면 우리 나라 청소년들의 통일 의식 형성은 매스미디어의 영향을 받았다. 통일 의식은 매스미디어의 노출 정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북한 이미지, 김정일 이미지, 북한에 대한 친근감, 북한과의 이질감, 북한과 통일에 대한 관심도의 수준과 이와 같은 의식은 매스미디어의 영향을 받았는지를 중심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매스미디어의 노출 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이라 생각되어 부모와 조부모의 고향이 이북 인지의 여부와 그리고 성별을 함께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등학생들의 통일 의식은 통일과 북한에 대한 괸심도는 아직도 낮은 편이다. 통일을 위해 자신과 전체 국민들의 참여와 희생에 대해서도 조금은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통일 정책의 수립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는 북한 청소년들에게 큰 이질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직까지도 북한과 김정일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게 나타났다. 북한 관련 지식 수준은 매우 낮은 편이였다. 개인적 배경에 따라 청소년의 통일 의식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스미디어의 노출 정도에 따라 통일 의식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자가 사회적 현실구성이론에 근거하여 설정한 <가설 3>과 <가설 4>는 채택되었다. ; The Korean society has been experiencing a noticeable change in its stance and attitude toward North Korea after the historic summit meeting between two Koreas. The summit meeting itself brought a cultural and mental shock that changes the deeply rooted way of thinking and national consciousness toward North Korea from the Cold War. According to various researches, people in South Korea now have much more positive image of North Korea and its supreme leader, Kim Jeong Il. In the event of separated family reunion, most people from NK are those who found their national identity in NK and defected to NK during the Korean War. Now their families in South Korea neither feel shameful nor try to hide the fact that they are one of their families, which means there exists no more prejudice on them. Under the post cold war circumstances, we are asked to change our cold attitudes, confrontation, conflict and distrust to compromise, coexistence and trust. Even though there are some people who view these changes as danger, it is generally regarded as a consequential phenomenon to change the way of thinking in an era of peaceful coexistence. The existing mass media used to play a role to keep the permanent regime and to evoke the current mood, distrust and conflict rather than to encourage reconciliation, exchanges and cooperation. As a result, our youngsters had the negative response to political ideology, education and media. The on-going change in North-South relations, however, influences on our juveniles consciousness toward reunification and North Korea. Undisputably, reunification is our first and most important task. In this vein, we need a gradual step-by-step approach to unification through inter-Korean personal and material exchanges, economic cooperation and expanded trade. Considering our youngsters as expecting leaders of post-unification era, we need to review what they think of unification and North Korea. The thesis is focused on the impact of mass media, one of the most important tools for social education in modern times. What the mass media says and how it indicates about North Korea and unification have great influence on our youngsters, which is of vital significance to this study. In order to figure out how much the mass media would influence our youngsters in terms of building up the consciousness of unification, this thesis is based on the survey from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Seoul as to the level of exposure to mass media, their attitude and awareness of unification. First of all, various documents and previous studies are added to consider our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unification. To figure out whether the mass media has influence on our youngsters consciousness of unification as indicated in the previous studies and, if any, what kind of mutual relation is there between mass media and awareness of unification, the study focuses on the students image of NK and its leader, their friendliness and unfamiliarity with NK, and their level of interest on NK & unification. The gender and hometown of students parent and great parent are also reviewed since they are one of variables to influence on exposure to mass media. While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 pay a little attention to NK & unification, they respond positively on the nationwide participation and devotion for unification. They react negatively on establishing unification policy. It is remarkable that most students show extreme unfamiliarity with youth in NK. Still they show negative image of NK & JI Kim with a little knowledge on NK. As a result, the survey points out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circumstances and consciousness of unification, and the mass media influences on the awareness of unification. As these findings show, the mass media and students surroundings have great influence on fostering awareness of unification. The more the youth are exposed to the mass media on unification, the more they show their interest on unification and NK, which indicates how important the role of mass media is in terms of enhancing cooperation between two Koreas. Therefore, the mass media has to perceive its role to contribute to upgrading the level of mutual cooperation in two Koreas and lead our juveniles to build up desirable consciousness of unifi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