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소일-
dc.creator이소일-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6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5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3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531-
dc.description.abstractIn 1990s,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so called the out-of-coldwar or out-of-ideology influence the Korean Peninsula and we have been recognized and understood the need of the realistic and long-prepared discernment for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Korea. Especially, it is very meaningful for taking a triangular position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that we identify and confirm the attitude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teachers who are the principal body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Korea-unification. In this paper, I survey and analyze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the middle·high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s for the unification education. Especially this research is made by teachers who are related to the guidance and direction which is established from the object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I theoretically analyze by the literature research the concept of the unification and the unification education, the object, the historic transitions, the points at issue, the relation with the social education and so on. By analyzing the literature research and preceding studies, I write out the survey paper. The sample group is composed of the 138 teachers who are working at the 25 schools in the area of Seoul and Kyunggi-do. In this paper, I classify the 4 fields of the overall recognition and attitude of the middle·high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s for the unification education. The 4 fields are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for the unification, the north Korea, the various aspect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and the activation for the unification education. The following is the analyzed result from the survey which is based on 4 fields. First, i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for the unifica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middle·high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s are very high interested. It is the result from the government s recently efforts for the peace settlement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that many teachers have the positive attitude for the unification of Korea. Second, the result shows that the middle·high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s have negative opinions i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for the north Korea. The negative recognition of the north Korea of teachers is influenced by the mass-media. Third, the result shows that they have much attention and the critical mind i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for the unification education. However, they have negative, defensive and passive attitude in the real spot of the class. They also point out the lack of teaching materials related with unification education, and the absence of the agreed direction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Fourth, they emphasize that teaching students the necessary of the unification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han any other thing and the supply of the teaching materials for the unification education is the efficient method for the promotion of that. Also, they propose the extension of the importance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the enrichment of the experience activity, and the opportunity of the unification research about the institutional support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The middle·high school social studies education teachers have the much attention and affirmative attitude for the unification in spite of the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of the unification environment. However, it is a pity that they have defensive and passive attitude in the classroom. This reveals the serious problem in our unification education. The defensive and passive attitude of the teachers affect negatively the realization of the actual and long-term unification education, and impede the formation of the unification consciousness of the students who will be the leading part of the unified Korea. Therefore, we should solve the many problems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order to transfer positively and ideally by the much attention and volition of the teachers in the school. Also, we should suggest and provide the various institutions and schemes to promote the active practice-volition of the teachers. Finally, I think this paper which is made by researching the various institutions and analyzing the problems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will contribute to the discussion for the settlement of the desirable unification education.; 1990년대에 들어서 탈냉전, 탈이념의 국제 환경 속에 한반도 주변을 둘러싼 통일 환경의 변화는 우리에게 현실적이면서 장기적인 안목의 통일교육이 필요함을 인식시켰다. 특히 통일교육의 방향 정립을 위하여 통일교육의 주체인 교사의 인식과 태도를 확인하고 살펴보는 일은 매우 중요하고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통일교육 목표에 따라 설정된 통일교육 지도 내용과 연관된 중등 교사들의 통일교육에 관한 인식과 태도를 사회과 교사들을 중심으로 조사·분석하였다. 우선 문헌 연구들을 통해 통일의 개념, 통일교육의 개념 및 목표, 통일교육 내용 변천, 통일교육의 문제점, 통일교육과 사회과 교육과의 관련성 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조사·연구하였다.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들을 통해 통일교육에 관한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조사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 25개 학교 중·고등학교 사회과 교사를 대상으로 총 150부를 배부하여 회수된 138부를 바탕으로 조사·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 사회과 교사의 통일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태도를 4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즉, 통일에 대한 인식과 태도, 북한에 대한 인식과 태도,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 통일교육 활성화 방안 등으로 나누어 각각의 영역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통일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있어 중등 사회과 교사들은 통일에 대한 높은 관심을 드러냈다. 최근 남북한 평화 정착을 위한 정부의 개선 노력에 의하여 교사들은 대체적으로 통일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북한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있어 중등 사회과 교사들은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특히 북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형성되는데 있어 언론매체의 영향이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셋째,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있어 중등 사회과 교사들은 통일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과 문제의식을 갖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실제 수업 현장에서는 소극적이고 방어적이며 수동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사들은 통일교육의 문제점으로 통일교육관련 학습자료 부족과 통일교육의 합의된 방향 부재 등을 호소하였다. 넷째, 통일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 중등 사회과 교사들은 사회과 통일교육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통일의 필요성 인식 교육을 강조하였다. 또한 교사들의 통일교육 역량 증진 방안으로 통일교육관련 학습자료의 보급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통일교육의 제도적 지원 방안에 대하여 교사들은 사회과 교과에서 통일교육 비중의 확대, 체험활동의 강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통일연수 기회 부여 등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급변하는 통일 환경 속에 중등 사회과 교사들이 통일에 대한 높은 관심과 긍정적 태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교사들은 통일교육에 있어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자세로 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통일교육에 있어 심각한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즉 현실적이고도 장기적인 통일교육을 실현하는데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통일세대의 주역이 될 학생들의 통일의식 형성에 있어서도 상당한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사들의 통일에 대한 높은 관심과 의지가 학교 현장에서 바람직한 통일교육으로 그대로 전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통일교육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극복하여야 하며, 동시에 교사들의 통일교육에 대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실천의지를 고양시킬 수 있는 제도와 방안의 마련이 시급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일교육의 이러한 문제점을 살펴보고 교사들이 통일교육 실천을 위한 인식과 태도 등을 살펴봄으로써 바람직한 통일교육 정착을 위한 논의에 보탬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방법 및 절차 = 3 C.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 6 D. 선행 연구의 고찰 = 6 II. 통일교육의 이론적 배경 = 9 A. 통일의 개념 = 9 B. 통일교육의 개념 및 목표 = 10 1. 통일교육의 개념 = 10 2. 통일교육의 목표 = 13 C. 통일교육의 내용 변천 = 15 1. 반공교육기 = 15 2. 통일·안보교육기 = 19 3. 통일교육기 = 21 D. 통일교육의 문제점 = 24 E. 통일교육과 사회과 교육 = 29 1. 통일교육에 있어서의 사회과 교육의 중요성 = 29 2. 통일교육과 사회과 교사의 자질 = 31 III. 중등 교사의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조사 = 34 A. 조사 대상 및 조사 방법 = 34 B. 결과 분석 = 34 1. 통일관 = 34 2. 북한관 = 47 3. 통일교육관 = 56 4. 통일교육 활성화 방안 = 71 IV. 결론 = 79 참고문헌 = 84 ABSTRACT = 87 부록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40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교사의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 조사 연구 : 중등 사회과 교사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