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4 Download: 0

빈곤한 조부모손자녀세대 아동의 우울 및 불안에 관한 연구

Title
빈곤한 조부모손자녀세대 아동의 우울 및 불안에 관한 연구
Authors
성지혜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옥경
Abstract
인간은 혼자서 살아갈 수 없는 환경속의 개인(person in environment)이다. 특히 아동은 가정내의 여러 가족원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얻게 되는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성장 발달함으로 가정은 아동에게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부모의 사망, 이혼, 별거, 가출 등으로 인한 부모의 결손은 아동에게 성격 및 적응상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아동기에 보이는 부적응의 징후는 결코 일시적인 것이 아니고 나중에 어른이 되어서까지 심각한 장애로 진전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고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의 사망, 이혼, 가출, 별거 등으로 조부모와 함께 살고 있는 아동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사회적지지를 통한 심리적 적응을 도울 수 있는 사회사업적 개입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 졌다. 본 연구의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조부모손자녀세대 아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어떠한가? 2. 조부모손자녀세대 아동의 사회적지지 지각, 우울 및 불안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3. 조부모손자녀세대 아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우울 및 불안이 어떻게 나타는가? 4. 조부모손자녀세대 아동의 사회적지지 지각수준에 따른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5. 조부모손자녀세대 아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할 경우 사회적지지가 우울 및 불안에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가지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의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서비스를 받고 있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대상 조부모손자녀세대의 초등학교 1-6학년 아동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는 한미현이 번안, 제작한 사회적지지 척도와 Kovacs이 개발하고 한유진이 번역한 Children s Depression Inventory(CDI) 척도, Spielberger가 제작한 상태-특성불안검사(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를 번안한 김정택의 검사중 특성불안검사(STAI-II)을 사용한 이윤경의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통계프로그램 10.0으로 처리되었으며, 기술통계기법과 t-test, ANOVA, 단순상관관계분석(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다단계(stepwise)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아동의 사회적지지에 관한 일반적 경향으로, 사회적지지는 총점 120점에 평균 89.11이었으며, 최소값은 43점, 최대값은 120점으로 나타났다. 친구지지 영역은 40점 총점에 평균 29.35이었으며, 가족지지 영역은 40점 총점에 31.09이었으며, 선생님지지는 영역은 40점 총점에 평균 28.66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영역별 지지 지각 평균이 제일 큰 것은 가족지지, 친구지지, 선생님지지 순이었다. 연구대상 아동의 우울 및 불안에 관한 일반적 경향으로, 우울은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함을 나타내는데, 연구대상 아동의 우울은 총점 54점에 평균 15.65였으며, 최소값은 0점, 최대값은 40점으로 나타났다. 이 점수는 정상집단의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외국의 선행연구들이 본 연구와 같은 우울척도(CDI)를 사용했을 때 평균점수 4.98-14.8로 보고한 것과 비교해볼 때 비교적 높은 점수이다. 불안은 점수가 높을수록 일상생활에서 불안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서, 연구대상 아동의 불안은 총점 80점에 평균 43.96이었으며, 최소값은 23점, 최대값은 68점으로 비교적 불안수준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 아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 종교에 따른 우울은 무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순으로 유의수준 .05수준에서 우울의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Duncan test를 통해 천주교와 무교의 차이에 의해 이러한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종교에 따른 불안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성적에 따른 우울과 불안의 차이는 모두 유의미했으며 성적이 좋을수록 덜 우울하고 덜 불안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조부모의 연령과 조부모 동거원인, 동거기간, 직업유무에 따라 우울 및 불안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부모와의 동거형태에 따른 우울의 차이는 조부모와 함께 사는 아동이 조부 혹은 조모와 사는 아동보다 더 우울하다고 나왔으나, 동거형태에 따른 불안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부모님을 만날 수 있는 아동들이 만나지 못하는 아동에 비해 더 우울하고 더 불안하였다. 셋째, 연구대상 아동의 사회적지지 지각과 우울의 관계를 보면, 우울은 전체 사회적지지와 선생님지지, 친구지지, 가족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감소하는 부적관계에 있으며, 사회적지지의 하위영역별 우울에 대한 영향력은 약 26%의 설명력을 가지며, 선생님지지, 친구지지 지각 순으로 우울에 대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 선생님 지지가 우울을 예측하는데 상대적 영향력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가족지지가 갖는 우울에 대한 영향력은 유의확률 .234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대상 아동의 사회적지지 지각과 불안의 관계를 보면, 전체 사회적지지와 선생님지지, 가족지지, 친구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불안이 감소하는 부적관계에 있으며, 사회적지지의 하위영역은 불안에 대한 약 11%의 설명력을 가지며, 사회적지지의 하위영역별 불안에 대한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할 경우 사회적지지의 우울 및 불안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다단계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성적, 선생님지지, 친구지지가 우울에 설명력을 가지는 유의미한 변수였으며, 불안에 설명력을 가지는 유의미한 변수는 선생님지지, 성적이었다. 따라서 성적 및 선생님지지 지각은 우울과 불안에 모두 유의미한 변수로 분석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사회적지지가 우울 및 불안에 갖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하여 다단계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성적 및 선생님지지 지각은 우울과 불안, 즉 심리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의 경우 과도한 입시경쟁으로 아동기때부터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빈곤한 조부모손자녀세대의 경우 아동이 성장할수록 성적을 지원해줄 지지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학교 및 지역사회복지관에서 빈곤한 아동들을 위한 방과후공부방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야 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아동 및 청소년기의 집단따돌림 현상이 한창 이슈화가 되고 있는 현실에서 친구지지가 아동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친구들과의 건강한 관계형성을 위한 프로그램이 학교, 지역사회복지관 등 사회복지현장에서 구체적으로 계획되는 것이 필요하다.특히 선생님지지 지각이 모든 분석에서 유의미한 변수로 밝혀짐으로써 전문적인 상담 및 지원을 하는 학교사회사업이 구체화되어 이러한 요보호아동에 대해 전문적인 개입을 할 수 있는 사회복지사가 상주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마련으로 심리적 부적응을 예방하고 적절히 개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각 학교마다 실시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etter comprehend about grandchildren who are parented by their grandparents due to absence of parents caused by their death, divorce, runaway or seperation, etc. It further strives to search for a social work intervention in their psychological adjustment through social supports. The subjects of study are 117 elementary school children(first to sixth graders) living under the parental care of their grandparents who are recipients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nd at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Kyungi provinces. The data is analyzed by statistical measures of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ests of t-test, ANOVA,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PC^+ 10.0. Major finding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average social support value of total subjects is 89.11(total score 120). The average peer support value is 29.35(total score 40), the average family value is 31.09(total score 40), and the average teacher support value is 28.66(total score 40). It was found that higher the score of drepression, more depressive children were and the average depression value of the subject group is to be 15.65(total score 54). In comparison to the average value of 4.98-14.8 found in some of prior overseas studies done on this topic, this score runs relatively higher, using the same scale, CDI. In the light of the tendency that the higher the anxiety score, children were found to be more anxious in their living condition. But the result that the average anxiety value of the subject is 43.96(total score 80) proves that children are not relatively scoring high anxiety. Secondly, in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religion,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scores for depression values ran higher in order of no religion, Buddhism, Protestant Christianity, Catholic Christianity. Via Duncan test, the significant difference resulted due to the difference of score between Catholic Christianity and no religion groups. The depression and anxiety scores depended on their academical performances in schools. The higher the grades, lesser the depression and anxiety children experienced. In comparison to children who were not able to meet their parents, ones who could were more depressed and anxious. Thirdly, in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s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depression scores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greater perception of social supports, teacher supports, peer supports and family supports. Each of social supports has .264 of R2 value to the prediction of depression. Next in order of children s perception of teacher support and peer support, greater their effects on their depression scores. Teacher support sore was found to be relatively effective in the prediction of depression in children. But family suppor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rediction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nd anxiety sores, greater the overall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teacher support, family support, a decrease in anxiety score. Anxiety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overall perception of social supports. Different types of social support in total can explain 11% of prediction in anxiety, but each type of the support i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diction of anxiety. Fourthly, controlled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egrees of academic achievement, teacher supports and peer supports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prediction of depression. But only degree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eacher supports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prediction of anxiety. One meaningful implication from the above results is that, in order to assist these children at risk effectively in realm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we must consider degree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eacher supports as they play key roles in prediction of depression and anxiety. Therefore, it seems more than adequate to state that various programs and policy targeted these children at risk need to be accompanied with means to prove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suppor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