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지연-
dc.creator안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5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4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2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496-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최근 들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수행평가에 시행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중학교 과학과 수행평가 개선 발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과학과 수행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수행평가 실시 현황, 그리고 과학과 수행평가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이는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 그리고 본 연구자의 예비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서울과 경기·인천 지역 중학교 과학교사 249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각 문항별로 빈도수와 백분율을 구했고 응답에 대한 변인간의 차이가 있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교직경력을 중심으로 SPSS/P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X₂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평가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함께 수행평가의 특징과 필요성을 자각하고 있었으나, 기존의 실험·실습평가와 혼동하는 등 수행평가의 본질적 개념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 교사도 상당수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행평가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교사가 많음에 비해 실제 시행상의 적극성은 떨어지는 것으로 보아 수행평가의 도입에 대한 이해와 함께 시행의지를 높일 수 있는 제반 여건이 형성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수행평가를 실시 현황에 조사한 결과 교사들은 기준안 작성, 성취수준 진술, 과제작성에 있어 자신에게 맞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고, 수행평가 유형으로는 실험·실습법이나 보고서 서술형 검사와 같은 기존의 지필평가에 많이 의존하고 있었다. 또한 수행평가 관련 연수에 있어서 교사들의 참여의욕에 비해 연수 여건이 이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평가를 실시하는데 있어 교사들은 수행평가 도구개발과 채점의 객관성 확보의 어려움, 방대한 학습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교육과정, 과밀한 학습, 수행평가 관련 자료의 부족, 업무량의 증가 등을 수행평가 시행의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수행평가가 교육현장에서 올바르게 정착하기 위해서는 관계기관과 각 학교에서 다양하고 실제적인 연수 기회를 제공하고, 동료교사들간의 긴밀한 연구체제를 확립하며 교사 스스로가 자기개발에 노력해야한다. 또한 교사 1인당 학생수 감소, 교사들의 잡무 경감, 평가보조원의 수급, 수업시수 감소 등 학교의 환경 변화가 시급하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교사가 외부의 어떤 제약 없이 자율적으로 평가를 실시할 수 있는 제도적·사회적 여건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suggest the basic data which are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 middle school science by the survey and the analysis of the teacher s recognition about the performance assessment. For surveying above study contents, 249 science teachers in Seoul, Kyungy and In-chon wer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y responded to the questionarie items. The data was analys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 of this study as follows. Most teachers kn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exactly. But sometimes they confused the performance assessment with the evaluation of the experiments. Most teachers make the performance assessment task materials on their own. Experiments, writing report and writing test are used as a performance assessment. We need the various kinds of performance assessment Many teachers think the study and training about the performance assessment positively, and they want to take the study and training. But the frequency and the place of the study and training are not sufficient in comparison with the number of the teachers. The problems in execution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are making the instruments for the performance assessment, the difficulty in obtaining the objectivity in scoring, the cumculum including much quantity of learning contents, the class in too many students, the insufficient materials for the performance assessment and too much quantity of work except lessons. The result of this study point out several topics for improve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First, many institutes and schools must give teachers many opportunities of taking study and training for performance assessment. Teachers also must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peer teachers and try to improve themselves on their own. Second, we must diminish the number of the students per teacher. We also need to diminish another work of teachers except lessons and the periods of the lessons per teacher. In addition to we need the helper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Last, teachers must have the power which execute the performance assessment on their ow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3 II. 이론적 배경 = 4 A. 과학과 평가 = 4 B. 수행평가 = 9 C. 선행연구 = 25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 28 A. 연구 대상 = 28 B. 조사 도구 = 29 C. 조사실시 및 자료처리 = 31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32 A. 과학과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 = 32 B. 과학과 수행평가 실시현황 = 38 C. 과학과 수행평가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49 V. 결론 및 제언 = 55 A. 결론 = 55 B. 제언 = 57 참고문헌 = 58 부록 = 62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797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과학과 수행평가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 및 실시현황-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