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재원-
dc.contributor.author신재원-
dc.creator신재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3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6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2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62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social workers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chievement motivatio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1. to measure social workers self-esteem 2. to measure their locus of control 3. to measure their achievement motivation 4. to measure their self-efficacy 5. to measure their job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in sub-scales 6. to assess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variables on job satisfaction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social workers at 60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Korea. The data was collected for two weeks from April 23. Altogether 162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which were 54% of the whole questionnaires distribut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eliability test,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independent variables, mean for self-esteem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ose of locus of control,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in their order, which were all above medium level. Second, mean for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was 3.2883, which was above medium level. Regarding satisfaction in sub-scales, mean for satisfaction with colleagues was the highest, and means for satisfaction with all the other sub-scales were above medium level except for those for satisfaction with reward and for unwillingness to leave the job. Third, the analysis on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gender, age, education, length of tenure, present position, certification grade, and individual variables shows that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positions and education but that gender, marital status, age, and length of tenure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analysis on these variables and sub-scales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satisfaction with marital status, job tasks, promotion and institution. Fourth, the analysis on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represents that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were relatively high with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0.4 and 0.7. Finally, the regression analysis on individual variables and job satisfaction shows that self-efficacy had the most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was followed by self-esteem. Further, the analysis on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d sub-scales indicates that self-esteem variable significantly affected satisfaction with job tasks and self-efficacy affected satisfaction with colleagues. Self-esteem significantly influenced satisfaction with institution and general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supervision, promotion, reward, and unwillingness to leave the job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emotional variables of individuals wer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Therefore, for efficient organizational operation,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ircumstances of social workers as mediators delivering services within an organization should be recognized anew for both the individuals and the organization.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들의 자아존중감, 통제위치, 성취동기, 자기효능감, 직무만족의 수준을 알아보고, 이들 변수와 인구학적 특성이 사회복지사들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설정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사회복지사들의 자아존중감 수준을 알아본다. 2. 사회복지사들의 통제위치에 대한 수준을 알아본다. 3. 사회복지사들의 성취동기수준을 알아본다. 4. 사회복지사들의 자기효능감수준을 알아본다. 5.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및 하위척도별 직무만족 수준을 알아본다. 6. 인구학적특성과 개인 변수들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표본은 서울시내 60개 지역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은 2001년 4월 23일부터 2주간 진행되었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총 162부로 54%가 회수되었다. 자료분석방법은 신뢰도 검증, 빈도분석,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수별 평균은 자아존중감의 평균이 가장 높은 수준이였으며, 통제위치, 성취동기, 자기효능감 평균 순으로 모든 변수에서 중간이상의 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 역시 평균이 3.2883으로 나타나 중간이상의 만족을 느끼고 있었다. 하위척도별 직무만족도는 동료에 관한 만족도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보수와 이직에 관한 만족도를 제외하고 중간이상의 만족도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 연령, 학력, 근무기간, 현 직급, 자격등급, 개인변수 등에 따른 직무만족도 및 하위척도별 만족수준을 분석한 결과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은 직급과 학력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성별, 결혼, 연령, 근무기간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이들 변수들과 하위척도의 분석에서는 결혼과 직무자체, 승진, 기관에 대한 만족에서 집단간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넷째, 변수간 상관관계분석 결과는 변수들간의 상관관계계수는 0.4에서 0.7사이의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섯째, 개인변수와 직무만족도의 회귀분석결과는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순으로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변수들과 하위척도간 직무만족도의 분석에서는 직무자체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아존중감변수가 유의미하였고, 동료에 대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기효능감이 채택되었다. 기관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자아존중감변수가 유의미하였고 일반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자아존중감변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감독, 승진, 보수, 이직에 대한 분석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에서 인구학적 특성과 개인의 심리, 정서적 변인이 사회복지사들의 직무만족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조직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조직 내에서 서비스를 전달하는 중간 매개자로서의 사회복지사 개인의 심리, 정서적 정황의 중요성이 개인 및 조직의 차원에서 재인식되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A. 문제제기 = 1 B. 연구 목적 및 내용 = 3 C. 연구의 한계 = 4 II. 이론적 배경 A. 직무만족 = 5 1. 직무만족의 개념 = 5 2. 직무만족에 대한 선행연구 = 7 3. 직무만족의 중요성 = 13 4. 직무만족의 결정요인 = 14 B. 자기효능감 = 19 C. 자아존중감 = 24 D. 통제위치 = 27 E. 성취동기 = 30 III. 연구의 설계 및 방법 A. 변수의 정의 및 척도구성 = 33 B. 연구질문 및 연구모형 = 39 C.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41 D. 자료분석 방법 = 41 IV. 연구결과 = 42 V. 결론 및 제언 A. 연구결과의 요약 및 함의 = 65 B.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73 참고문헌 = 74 설문지 = 80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370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