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정희-
dc.creator정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3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3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2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363-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90년대 여성작가 소설에 대한 비평담론을 통해 여성의 경험이 어떻게 의미화되는지를 검토한 것이다. 90년대에는 소설 부문에서 여성작가들의 작품 활동이 두드러짐에 따라 문단 내에서 여성작가들의 존재가 급부상하게 되었다. 이는 여성작가들의 소설이 많은 여성독자들에게 호응을 얻었기 때문이다.90년대 여성작가들의 소설은 주로 여성의 경험에 기반하여 씌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여성독자들과의 의사소통에도 성공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비평가들은 여성작가들의 소설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이 소설들이 어떠한 기반 위에서 씌어지고 있으며 어떤 사람들에게 읽히는지의 문제를 간과하고 있다. 때문에 여성작가 소설에서 주되게 다루어지는 여성 경험의 의미가 포착되기 어려운 것이다. 문학작품의 의미를 형성하고 그것을 담론화하는 데 있어서 비평가들의 역할이 크다는 점을 고려할 때 90년대의 여성작가 소설에 대해서도 어떠한 비평담론이 형성되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이처럼 여성작가 소설에 대한 비평담론을 검토하는 것은 여성작가들의 소설이 어떠한 기준에 따라 평가되며, 이 과정에서 어떠한 의미가 만들어지는지를 보기 위해서이다. 여성주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여성의 경험을 사회적으로 가시화하고, 남성중심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새롭게 평가하는 작업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90년대 여성작가 소설에 대한 비평담론이 여성의 경험을 의미화하는 방식을 비판적으로 살펴보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90년대 여성작가 소설에 대해 비평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두 가지측면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첫 번째는 여성작가 소설이 여성소설 로 범주화되고 평가되는 과정에서 여성의 경험에 어떤 의미가 부여되는지를 보는 것이다. 그리고 두 번째는 페미니즘 이라는 언설이 비평담론에 의해 전유되는 과정에서 여성작가 소설을 비평하는 데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보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측면에서 검토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여성작가 소설이 여성소설 이라는 범주로 평가되는 과정은 여성에 대한 고정적 의미를 바탕으로 여성작가들의 소설을 일반화시킨다. 비평가들은 90년대의 여성소설 을 사소설이나 풍속·통속소설로 규정함으로써 여성소설을 폄하하는 시각을 드러낸다. 또한 여성소설 에서 드러나는 여성중심적 시각을 문제삼아 그 재현방식이 객관성을 결여하였다는 점에 비판을 가한다. 비평담론에 의해 페미니즘이 전유되는 방식은 그것이 작품 평가의 긍정적 인식들로 작용하거나 부정적 인식틀로 작용하는 두 가지의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페미니즘이 소설비평의 긍정적 인식틀로 전유되는 경우 여성작가들의 소설은 주로 페미니즘의 문제의식과 지향점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 때의 페미니즘은 전통적인 여성의 이미지를 탈피하거나 현실의 성별 질서에 전복을 감행하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대중적인 여성작가들의 소설은 이러한 페미니즘의 틀에 못미친다는 점에서 비판받는 경우가 많다. 페미니즘이 부정적 인식틀로 전유되는 경우, 페미니즘은 보편성을 결여한 특수한 문제에 매몰되어 있고, 이데올로기적 편향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비판된다. 여성작가들의 소설에서 이러한 페미니즘의 경향이 발견된다는 것은 문학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준 위에서 여성의 경험을 다루는 여성작가의 소설은 성별을 초월한 것으로 의미화 되거나 페미니즘의 정치적 성향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는 평가를 받을 때 비로소 비평가들의 인정을 받을 수 있다. 이처럼 여성의 경험을 읽어내는 데 있어서 기존의 비평담론이 가지는 한계를 고려할 때 여성주의 시각에서 여성작가와 여성 경험을 새롭게 사고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90년대 여성작가들이 어떠한 상황에서 소설을 쓰고 있는지, 여성작가들의 소설과 여성 경험이 어떠한 관련을 갖는지, 여성작가 소설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페미니즘은 어떻게 개념화되어야 할 지에 관련하여 기존의 비평담론에 대항하는 담론을 생산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The experience of women shown in the novel written by women has been examined especially focusing on how it was implied through critique discourse in this paper. Since 1990s, there has been significant growth in numbers of women writers so that their position on literary world also attracted the public attention, which was mainly attributed to favorable response by women readers. The topic of the women s literature in 1990s has focused on the experience of women which communicated well with the women readers, and therefore can be considered a success. However, while the critics are revealing the women s literature, they failed to notice on which ground the novels were written and by whom they were read. Because of this, the meanings of women s experience, which were dealt mainly in the women s novels, has been lost. It is necessary to see what kind of critique discourse has been formed for the women s novel in the 1990s considering the important role of critics in analysing and discoursing the meaning of literary work. The examination on discourse of women s novels is to see on which criteria their novels are evaluated, and what kind of meanings have been consisted of in this process. On feminist perspective, it is very important to visualize socially and to evaluate newly women s experience apart from androcentric views. Based on this viewpoint, this paper is intended to review critically the way critique discourse extracts meanings from the women s experience in their novels in 1990s. This paper has examined the criticism on the novels written by women into two ways. The first is to see the meanings conferred to the women s experience through their categorization into women s novel and their evaluation process. The second is to see the role of Feminism, which has been appropriate by critique discourse in evaluating the novels written by women. Two points have been examined as follows. Based on stereotype of the women, the process of categorizing the novels written by women into women s novels generalizes those novels. Critics have a tendency to undervalue women s novel in 1990s by stipulating them for only I novel or popular novel. They call to account the woman-centered perspective shown in the women s novel and criticize the representing way, which is alleged to be lacked the objectivity. The feminism appropriately possessed by the critique discourse is viewed sometimes positively and sometimes negatively. In the former case, the point of critics goes that they reached far less than the extent to which the issue and direction of feminism should do; feminism here entails escape from conventional image of women and a roll-over of gender roles in reality. On the other hand, in the latter case, the feminism is regarded ideologically based and lacking universality; feminism here simply means a negative point in literature assessment . It is required to have a close look at the women writers and experience from feministic perspective considering the limit of the existing critique discourse in understanding the women s experience. This study has its meaning in a sense that it creates the counter-discourse against the existing critique discourse in relation with under what circumstances women writers produce novels, how the women s novels are related with their experience, and how feminism should be conceptualized on evaluating women s nove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 1 1.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1.2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 5 1.3 여성주의 문학비평의 전개 과정 = 7 1.3.1 여성 중심적 비평의 의의와 한계 = 8 1.3.2 여성 저자에 대한 후기구조주의와 여성주의의 논의 = 11 1.3.3 여성주의 미학 = 14 제2장 여성작가 소설의 부상을 둘러싼 90년대의 상황 = 19 2.1 소설을 수용하는 사회적ㆍ문화적 환경의 변화 = 19 2.2 페미니즘 담론의 대중화 = 24 제3장 여성소설 에 관한 비평담론 : 여성소설 의 주변화 = 30 3.1 여성소설 에 대한 폄하 = 30 3.1.1 사소설(私小說) = 30 3.1.2 풍속소설ㆍ통속소설 = 34 3.2 여성소설 의 재현기법에 대한 비판: 객관성 결여 = 38 3.3 소결 = 43 제4장 여성작가 소설 비평에 전유되는 페미니즘 = 44 4.1 긍정적 인식틀로서의 페미니즘 = 44 4.2 부정적 인식틀로서의 페미니즘 = 50 4.2.1 보편성이 결여된 특수성의 재현 = 50 4.2.2 이데올리기적 편향성의 반영 = 55 4.3 소결 = 62 제5장 결론 : 여성 경험, 여성작가 그리고 페미니즘 = 64 참고문헌 = 70 영문초록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297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1990년대 여성작가 소설에 대한 비평담론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