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수형-
dc.creator임수형-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2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9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2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991-
dc.description.abstractCorrelated to nature, human beings have discovered a harmonious discipline in which they have incessantly reffected their own selves and have expressed thelr Impresslon In art. The objective of creating art is not simply to imitate nature but it is a means to express our innermost emotions through naturat imagerY and hence giving a new intorprelation through different transformation and expression in art. This study endeavors to encourage the public to become familiar with decorative coramics in our living envlronment. This study has used flowers to make decorative objects in clay that can be enjoyed in our daily living environment. People are becoming mere and mere intorested in small onlamental objects to decorate their living space. Moreover, the rapid developments, in our industrialized society, have Influenced the public concept on decoration while extending its field. Designs and fundaments in decorative objects have developed to meet the contemporary trends. People are putting mere and mere emphasis on good design. Yet the productiveness of our modenl society has encouraged the uniform mass-preduction of design. This is the typical nature of design today. However, In companson to thls, small handicraft objects are mere comforting and delightful. Therefore, for this study the different images and structure of flowers were examined to make handcrafted small decorative objects to combine function and aesthetics in art. It has focused mainly on making hair accessones and other decoratlve objects. Also the hlstory and background research on decorative objects have been conducted to undorstand and reffect upon the contemporary preferonce in design. The study has observed the many linear qualities found in different floral shapes. It has concentrated particularly on the corves found in flowers. The slip-easting technique has been incorporated and each flower petal has been individually made. The white porcelain clay body has been used to retain fineness. Duncan glazes for coler variations - have been applied on the forms. On some of the work, gold has been brushed on. The first firing was conducted in a 0.3㎡ electric kiln and it was fired to 1230c. The firIng went on for If hours. The second firing reached a temporature of 1000c in an 8 hour oxidation firing. Some of the werk was fired three times. Those that were painted with gold were fired to 700c in a third firing that took 7 hours. In some of the pieces crYstals were attached for decorative purposes. In other pieces, pins and elastics were attached for halr wear. For the brooches, pins were attached. This particular subject provided abundance of possibilities that could be translated into an art expression. Furthermere, clay as a medium proved to be both modest and honest. It encouraged the artistlc to speak In many different ways because of its flexibilit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many researches to come on decoratlve coramlc objects. It has concentrated on including both the functional and aesthetic qualities in decorative objects in ordor to provide a sense of joy in our daily life. Also objects express both the spirit and appearance. Today they possess both physlcal and psychological elements.; 사람은 자연과 더불어 생활하면서 조화로운 질서를 발견하고, 그 속에서 끊임없이 자아를 탐구하면서 얻어지는 감동을 예술작품으로 표현해왔다 자연은 우리에게 삶의 기반을 마련해 주고,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게 하며, 예술적 영감과 창작 욕구를 불러일으킨다. 자연의 수많은 표현 대상 중 아름다움과 화려함으로 상징되는 것 가운데 꽃은 구속되어져 있지 않은 생명력과 함께 자유분방함 속에서도 신비로운 질서와 조화를 지닌 존재이며, 인간의 일상 속에서 기쁨과 여유를 제공한다. 이러한 꽃이라는 소재를 가지고 형상화시키는 과정에서 본 연구자는 우리의 생활 환경 속에서 좀 더 가깝게 접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장신구를 생각하게 되었다. 현대 사람들의 장신구에 대한 관심은 날로 높아가고 있으며, 급변하는 산업사회의 영향으로 장신구의 개념과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장신구의 본질과 디자인이 다각도로 발달되기 시작했으며, 수준 높은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풍요로운 생활 속의 현대인들에게 대량생산으로 인한 획일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각기 고유한 개성의 취향을 반영하고, 타인과 의 차별화를 추구하는 현대인의 심리를 만족시키며, 소규모로 제작하여 수공예로 서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장신구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자는 다양한 형태를 지닌 꽃이라는 소재를 응용하여, 꽃의 편안함과 생 명력을 주관적으로 형상화하여, 우리 주위에서 좀 더 가까이 접할 수 있고 아름 다움을 제공하는 수공예품을 제작함으로써 미의 탐구 및 창조라는 예술의 궁극 적 목적을 달성하고, 장식적이면서 용도를 가진 장신구를 연구함으로서 기능과 예술적 미를 지닌 도자 장신구를 디자인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우선 꽃의 이미지를 디자인하기 위해 꽃의 구조와 형태 를 살피고 또한 장신구의 개념 및 발달과정, 장신구의 종류 및 특성, 장신구의 기본재료에 관한 이론과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 장신구의 작품 사례들을 살펴 봄으로써 현대가 요구하는 감각과 개성을 지닌 조형성 있는 장신구를 연구하는 데 참조하였다. 디자인 과정에서는 꽃들의 여러 가지 형태를 새롭고 주관적인 시각으로 바라보 고자 하였으며, 특히 다양하면서도 부드러운 곡선 표현에 중점을 두어 꽃의 생명력을 이미지화 하였다. 작품제작에 있어서는 꽃잎의 다양한 형태와 부드러운 곡선을 잘 표현할 수 있 고, 수공예로서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꽃잎 하나 하나를 손으로 직접 성 형하는 방법과 반복 제작이 용이한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주입 성형을 선택하였 다. 태토는 백잭도가 뛰어난 백잭 자기질 점토(수퍼화이트 소지)를 사용하였다. 유약은 장신구의 화려함을 표현하기 위하여 중화도 유약인 던컨유(DUNCAN)를 작품에 따라 다양하게 시유하였고, 일부 작품에는 수금을 사용하여 변화를 시도 하기도 하였다 1차 소성은 작품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0.3m 전기가마에서 최 고온도 1330. C로 If시간 동안 소성 하였고, 』차 소성은 0.3m 전기가마에서 최고 온도 1000. C로 8시간 동안 산화염 소성 하였다. 작품에 따라 3차 소성을 하였는데 수금을 사용한 후 700. C로 7시간 동안 소성 하여 완성하였다. 3차 소성까지 마친 후에는 앞부분에 큐빅을 박고, 뒤쪽에는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핀과 고무줄, 꽃이를 부착하였으며, 브로치 됫면에는 옷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안전핀을 부착하여 실용적 기능을 갖춘 장신구로 완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꽃은 풍부한 아름다움과 생명력을 지닌 소재로서 연구자의 상상력과 조형의식을 표현하는데 무한한 가능성을 담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점토는 자아를 표출함에 있어서 소박하고 진실된 언어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가 무엇을 사용할 때 몸으로 사용하는 동시에 마음으로 사용한다 용도는 물리적인 동시에 심리적인 것이다. 이처럼 수공예품은 생활의 중요한 한 부분으 로 우리와 밀접하게 교류함으로써 더욱더 아름다워지며, 보는 것에 그치는 감상 용이 아니라, 경험하고 사용하며 느끼는 생활에서 묻어나는 것이며, 이러한 아름다움과 생활을 결부시키는 것이 진정한 공예임을 인식하여, 앞으로도 도자 장신구 공예가 현대인들의 생활 속에서 더욱 친근한 존재가 되고 많은 가치를 부여받을 수 있도록 많은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II. 꽃에 대한 고찰 = 3 A. 꽃의 이미지의 형상화 = 3 B. 꽃의 구조 및 형태적 고찰 = 5 III. 장신구에 대한 고찰 = 7 A. 장신구의 개념 및 발달과정 = 7 B. 장신구의 종류 및 기본재료 = 10 C. 장신구의 작품사례 = 17 IV. 작품제작 및 해석 = 26 A. 디자인 과정 = 26 B. 작품제작 및 해석 = 45 V. 결론 = 69 참고문헌 = 71 영문초록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447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꽃의 이미지를 이용한 도자장신구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도자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