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1 Download: 0

도자제 다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백자의 형태와 문양을 중심으로

Title
도자제 다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백자의 형태와 문양을 중심으로
Authors
임주연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도자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나라의 차 문화는 삼국시대 말기 중국으로부터 불교 문화의 도입과 함께 전해져 신라 말기와 고려 시대에는 차 마시는 관습이 군신의 연회, 연등회 팔관회 등의 왕실에서도 행해졌으며 귀족뿐만 아니라 승려, 평민들에게 확산되어 매우 번성하였다가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불교 문화의 쇠퇴와 함께 일반인들의 관심에서 멀어지면서 학자들이나 승려들에 의해 그 명맥을 이어왔다. 그후 1980년대부터 전통문화의 계승과 보급으로 차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갔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속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현대인들에게 마음의 여유와 안정을 찾으려는 노력이 많아지면서 여가 생활 속에서 차 문화가 더욱 발전되어가고 있으며 이에 다기의 수요 또한 증가하였다. 또한 현대 생활 속에서 우리의 전통적인 한국적 미보다는 외래의 미적 가치를 더 높이 보는 경향이 많아지면서 우리의 차를 마시기 위한 다기의 형태보다는 커피나 홍차를 담고 마시기 위한 형태가 더 많은 실정이다. 이에 조선 백자의 친근함과 여유롭고 너그러운 형태와 문양에 관심을 가지고, 급증하는 현대인들의 차 문화에 대한 관심과 취향에 맞으면서도 즐거운 실용적 인 다기를 디자인하여, 우리의 심성에 내재되어 있는 전통 의식을 이끌어 내고 다른 문화와 구별되는 아름다운 한국미를 이어나가 우리의 고유한 미를 찾아내 어 도자제 다기 제작에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한국 조형미를 살펴보고 조선 백자에서 느낄 수 있는 자연 스러움과 너그러움의 미학적 형태와 장생, 길상, 부귀영화, 기복, 다산 등 기윈적인 내용의 문양을 연구하고 조선시대 백자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문양을 알아보고 그 의미와 쓰임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국내외 발표된 학술논문과 전문 서적등의 자료를 연구하였다. 또한 조선시대의 차 문화와 다기 도구에 대해 살펴봄으로서 현대의 차 문화의 재정립과 새로운 다기 디자인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표현 방법에 있어서는 조선 백자의 풍만한 형태와 문양을 결합함으로서 전통적 인 아름다움을 더욱 강조하였다. 작품 구성에 있어서는 점차 현대 가정에 있어서 자녀의 수가 감소하고 핵가족 화가 되어가면서 부부 중심의 생활 양식이 많아지고 있다 또한 문명이 발달하면 서 산업적 현대화를 지향하게 되자 현대인들은 차 생활도 절차가 간편하고 쉬운 것을 선호하게 되면서 현대인의 생활 방식과 특성에 부합되는 』인 다기 세트를 구성하여 주전자, 찻잔과 잔받침 그리고 차를 담아드는 차호를 한조로 제작하였 다. 제작방법에서는 전통적이고 수공예적인 이미지를 살리기 위해 물레 성형을 기 본으로 하고 손잡이와 부리 등은 가압성형을 하였다. 태토는 백토와 산백토, 산 청토, 세인토를 이용해서 다양한 흙의 느낌을 살리고자 했으며 유약은 태토의 특지을 잘 나타낼 수 있는 투명유, 백잭무광유, 흑유, 베이지잭유, 재유, 오트밀유 등의 다양한 유약을 만들어 사용하였고 시유 방법으로는 담금 시유와 분무 시유를 해서 섬세함과 자연스러움을 강조하였다. 1차 소성을 0.Sm 가스 가마에서 최고 온도 800 E로 8시간 소성 하였으며 』차 소성은 0.Sm 가스가마에서 최고 온도 1350 E로 If시간 동안 환윈염 소성 하였 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의 도자기는 단순한 사물이 아닌 우리의 의식과 심성이 만들어낸 형태임을 알 수 있는 좋은 계기였고, 조선 백자의 풍만하고 자유로운 형태와 문양의 아름다움은 실용기 제작에 있어서 훌릉한 소재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외형적 요소만이 아니라 공예의 실용적인 미를 더불어 개 발하여 현대인들에게 쓰기 편하고 아름다운 다기를 만들고자 하였으며 점차 서 구화되는 현대인들에게 아름다운 우리 공예를 알리고 우리의 차 문화에 대한 대 중들의 더욱 깊은 관심을 도모하며 많은 후진들의 연구를 기대한다.; The tea dnnklng culture, together with Buddhi[sm, was introduced into Korea by China towards the end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 period which characterized the integrated govenlance of the three kingdoms Kokurye, Baekjae and Shilla). The custom became especially popular doring the close of the Shilla dynasty and at the height of the Korye dynasty; they were served doring coremonies hosted in the royal courts, such as doring the Yunhoi, Yundeunghoi and Palgwanhoi. Moreover, the practice began to spread from the royal palaces to the noble gentry, among Buddhist monks, and to the common people. Notwithstanding, dorIng the Chosun dynasty, the tea drInking culture began to lose its generat popularity. Thus, the customs of tea drinking survived owing to its continued practice among a think population of scholars and Buddhist monks. The appreciation for tea drinking exporienced a resurgence, however, in the 1980s, when the Korean society launched a campaign to preserye its traditional cultures. Today, traditional teas have regained popularity in the stress and anxiety-ridden modern society, many people have begun to seek relaxation and tranquility in a cup of oriental tea. Not only has tea drinking been taken up as a leisurely activity, but the culture of tea drinking has been further onriched in the process. Recently, the rising demand for, and popularity of tea drinking has contributed to an explosive demand for various porcelain tea sets. In addition, the latest tea set products cafer mere to foreign, westenlized designs, rather than to traditional Korean aesthetics For example, the current market puts out tea cups that seem mere appropriate for coffee or English tea, rather than for drInking oriental tea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tea set that will meet two objectives; first, it will preserye the famlliartty and tranquility Inherent In the White porcelain. Secondly, the tea set will serye the pragmatic needs of a contemporarY modern society. As a result, the output of thls project will bring out the traditional Korean conscience, explore the unique Korean beauty which will distinguish itself from all other foreign aesthetical values, and create new coramic art werk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is project focuses on the artistic forms that exude the naturalistic and peaceful beauty inherent in the White porcelain. Secondly, the study examined the various motifs that appear repeatedly in the White porcelain, and forms that praY long live, lucky face, live in splendor, undulation, and fecundity the In an effort to probe the significance and application of such motifs, the author conducted an exhaustive review of various literature publlshed in Korea and atroad. The in-depth study of the Chosun dynasty tea drinking culture, and Its tea sets provided help for a clear appreciation for, and development of, a new tea set design. Consequently, thls preject expressed the voluptuous and round forms of the White porcelain. Furthermore, by integrating the motifs characterizing the Chosun dynasty, the final output succeeded in emphasizing the traditional beauty espoused by Korean aesthetics. Moreover, the desire to simplify and to premote modenl convenience in the industrialized modern society by bring about a nuclear family and a life contering on a married couple, has spilled over Into the lelsureIY activlty of tea drinking. Thus, to meet the demand for simplification and convenience by rising a civilization, the final tea set for 2 persons is composed of a teakettle, a tea-cup, a saucer, and a teapot. In regards to the fatrication process, thls preject opted to preserye the image of traditional werkmanshlp; thus, each piece was created by means of wheel throwing and press molding. The various different clay textures were preserved by using white clay, celadon clay and saint clay Moreover, a wide variety of glazes were used, such as clear glaze, white matte glaze, black matte glaze, ivory matte glaze, blue-gray glaze, and oatmeal glaze. For the coating process, both dipping and spraying processes were applied in ordor to create a finish emphasizing naturalistic finesse. For the firing, the initial process was conducted in a 0.5㎡ gas kiln for 8 hour, reaching a temporature of 800℃ . The second firIng was peformod for If hours by means of oxidized finng; the temporature reached a high of 1250℃ In the same kiln. It could be a good chance recognlze that Korean coramlc art is the form which is not a simply object but a conclusion made by our spirit and ature. Also,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the motifs and forms of the White porcelain could be a good matter. This project set out to explore not only the extenlal beauty of the traditional tea set; it also endeavored to develop the pragmatic aesthetics of the tea drinking culture, which would cafer to the modern desire for simple aesthetics and pragmatic convenience. In doing so, this proj ect also attempted to introduce the traditional craftsmanship to a population inundated by western cultures, and to attract the intorest of the generat public in premoting our traditional tea drinking customs. And it will be expected studies of our junlo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