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6 Download: 0

도시호텔의 고유성제고를 위한 환경색채계획 방법에 관한 연구 : S호텔 사례를 중심으로

Title
도시호텔의 고유성제고를 위한 환경색채계획 방법에 관한 연구 : S호텔 사례를 중심으로
Authors
고은경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환경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1세기는 세계화, 국제화의 시기이며 범세계주의라는 무국경 시대를 맞아 전세계가 하나의 도시국가로 변화하며 상호작용이 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세계각국들은 경제, 문화, 복지를 최우선으로 하는 고부가가치의 정보 집약적·지식 집약적 서비스 산업구조로 변모시키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1세기 고도 성장산업의 하나로 일컬어지는 관광산업을 국가 전략적 차윈에서 육성할 것을 천명하고 이를 적극 추진해 왔다. 특히 86년 아시안 게임, 88년 올림픽 이후로 관광사업은 급속한 성장을 가져왔으며, 앞으로 개최될 세계적인 행사인 2002년 월드컵은 한국을 세계에 널리 홍보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관광한국으로서 도약할 중요한 기회이다. 또한 최근 들어 한류 라 불리 우는 아시아에서 부는 한국문화의 대중화 바람은 더욱 거세지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들은 우리나라를 찾는 방문객 수를 급증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들에게 보여줄 문화공간이나 휴식 시설 등은 턱없이 부족한 상태이며, 특히 이들이 수용할 질 높은 호텔시설의 확충은 가장 시급한 문제이다. 관광객들이 여행 중 필연적으로 이용하게 되는 장소인 숙박시설은 최근 들어 급증하는 수요에 따라 양적인 팽창은 이루었으나 질적인 측면에서는 단조롭고 획일화되어 기업 국가차윈에서의 국제간 경잼력 악화현상을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늘날 부가가치 서비스 산업을 대표하는 호텔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차윈에서 환경색채를 계획하고 이를 통하여 타 경잼호텔과 차별화되는 호텔고유의 독자성을 갖게하는 것이다. 이의 구체적인 방법으로 우리 나라의 전통색채를 현대적 입장에서 재해석하여 적용한 환경색채 디자인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호텔은 외국인 이용객에게 그 나라의 전통 ·문화 경제수준 등을 외국에 직접 전달하게 되는 매개체로서 전통성의 고려는 그 의의가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통성이 부여된 환경색채의 적용은 호텔의 경잼력 우위 확보와 궁극적으로는 호텔환경의 질적 향상을 도모함으로서 이용객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관점은 인간과 환경의 상호관계성을 중요시하는 환경디자인 패러다임에 입각하여 다학문적 인 접근방법을 취하였으며, 디자인과정은 환경색채의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는 S호텔 을 대상으로 하 여 색채계획 및 적용과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I장에서는 호텔의 경쟁력 우위 확보를 위한 환경색채계획의 배경과 가치를 서술하고 연구의 범위 및 방법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II장에서는 호텔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관광산업의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호텔산업의 발전방향을 전망한다. 그리고 오늘날 지역사회에서 사회 ·문화적 중심체 역할로 확대된 도시 호텔의 기능 변화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그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다음으로 우리 나라 도시호텔의 현황 분석을 통해 차별화 전략의 부재와 고유성 결여라는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이의 개선방향으로 전통성의 반영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문화적 특성 및 전통성이 반영된 환경색채의 적용은 호텔의 고유성을 제고시키고 긍정적인 환경정보로서 작용하여 이용객에게 재선택의 행동을 유발한다는 마케팅 효과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III장에서는 도시호텔 환경색채계획을 위한 이론적 접근으로 구성된다. 먼저 환경색채의 개념적 이해를 통하여 환경색채는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이해되어저야 하는 환경문제의 한 부분이며 색채·환경의 양자간 관계성 탐구를 통하여 설명되는 개념임을 도출하였다. 다음은 색채와 색채의 관계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자연색첵(NCS)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는 앞절에서 언급된 환경색채의 이해와 같은 맥락임을 확인하였고 그 적용의 필요성을 서술하였다. 3.3 장은 우리나라 전통색채 사상과 오방색체계를 고찰하고 호텔의 고유성 제고를 위한 색채계획의 도구로서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근거에 의한 색체계획을 진행하고자 비렌의 색체 조화론을 고찰하고 이를 색채선정의 체계적인 선택 기준점으로 제시하였다. IV장에서는 환경색채의 기능과 호텔의 공간별 물리적 기능을 살펴보고 색채의 시각적 지윈성 가운데 상징기능, 식별기능, 미적 조화기능, 심리·생리적 기능이 강조되어야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의 결과는 5장의 디자인 과정에서 중점적으로 적용함으로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V장에서는 객관적 통계자료에 의한 대상지 주변환경의 분석을 통하여 그 선정 이유를 밝히고 계획의 타당성을 언급하였다. 다음으로 대상지 색채환경 현황분석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구체화시켰다. 최종 디자인안은 먼저 기본개념을 설정한 후 두 가지 대안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전통 색채계인 오방색 개념과 디자인 모티브를 패턴화하여 외부 및 내부공간에 통합적으로 적용시켰다. 이러한 환경색채 계획과정을 통해 본 대상공간인 호텔에 차별화 된 고유성 및 통합된 이미지를 지니는 장소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Vl장에서는 새로운 환경색채 디자인의 적용으로 제시된 디자인 안의 총체적인 평가와 연구진행을 통해 얻는 결과에 대한 의의를 명시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 및 기대효파에 대해 언급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진행과정을 통해 환경색체계획의 중요성과 가치를 다시 한번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합목적이고 체계적인 이론의 바탕 위에서 이루어진 색채계획이 접근이 보다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미적 질서를 제공한다는 확신을 얻게 되었다. 결국 이는 고부가가치를 지닌 환경으로의 가능성을 제공하며 인간에게 삶의 질적 수준 및 태도를 향상시켜 주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V장에서 제시된 최종 색채계획안은 본 대상자뿐아니라 타 숙박시설에서의 효과적인 적용을 통하여 경영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의 가능성으로 기여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 The twenty-first century is an era of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The whole world has shifted into one city-country in which countries are free of borders and are increasing interactions. Many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have transfigured into added value, information and knowledge intensive service industry structures with first- priorities on economy, culture and welfare. In Korea, tourism, which is believed to be one of the high-growth industries of the twenty-first century, has been actively nurtured as a national strategic industry. In particular, after the f986 Asian eames and the f988 Olympic games, the tourism industry has grown rapidly and the upcoming 2002 FIFA World Cup is a great and important opportunity to promote Korea as a tourist destination. Also, the popularization trend of Korea culture in Asia called "Han-lyu" (Korean made) is gaining momentum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visitors to Korea. However, cultural and leisure facilities for visitors are extremely scarce; in particular, an urging problem is the expansion of high quality hotels. In terms of quantity, the number of accommodations has increased due to demand; however, in terms of quality, the facilities are monotonous and standardized, causing the debilitation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ursue individuality and originality through the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colors as a marketing strategy to increase competitiveness in the hotel industry, one of the leading added value service industries. Concretely, Korean traditional colors have been reinterpreted and reapplied from a modern perspective to present an environmental color design plan. Tradition is a significant concern because the interior of a hotel is a medium where a nation s tradition, culture and economic standards are directly conveyed to foreigners. Through this process, hotels can gain the competitive edge and eventually enhance the quality of the hotel by providing a comfortable atmosphere. The main aspect of this study is based the environmental design paradigm which values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A multi-scholastic approach method was adopted and "S" Hotel was chosen as the model for the case study because of its acute need for an environmental color improvement plan. A color plan and application process is suggested. The organization and contents of this study are in the following order. In Chapter I the background and competitive value advantage of the environmental color plan are described. The scope and method of this study are also mentioned. In Chapter II the trends of the tourism industry, which is the root of the hotel industry, are examined and the developmental path of the hotel industry is forecasted. Also, the role of inner-city hotels as the social and cultural core of the region is examined and its importance is emphasized. Next, the problem of the absence of originality in a monotonous and standardized environment Is deduced through current analysis of inner-city hotels in Korea. 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through the presentation of foreign countries case studies, the direction for the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colors that are endowed with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raditionalism is presented. Applied as positive environmental information, its validity as a marketing effect was onfirmed by evoking the guests actions to reselect the hotel. In Chapter In the theoretical approach to the inner-city hotel environmental color plan is explained. First, through general conceptual understanding, environmental color is presented as one part of an environmental problem that needs to be understood from a social and cultural viewpoint, and is explained through the research into the correlation of color and environment. Second, NCS(Natural Color System), which is evolv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and color relations, is examined and established on the same basis as environmental color. The demand for application is also presented. In Chapter 3, Part 3, the ideology of Korean traditional colors and the five-color system are examined. The appropriateness of applying the color plan to promote originality in the hotel is verified. Also, in order to pursue aesthetic discipline on objective and viable foundation, a forerunning researcher s color harmony theory was examined and presented as the systematic choice standard of colors In Chapter IV the functions of environmental color and the physical functions of a hotel classified by spaces, are studied. For the aesthetic application of colors it was learned that, among the functions, the symbolic, distinguishing, aesthetically complementing, and psychological-biological functions had to be emphasized. The solution is presented through functional application of colors in the design plan in Chapter 5. In Chapter V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odel s surrounding environment based on statistic data, the reason for choosing this model Is presented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plan is substantiat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current color environmental condition, problems and solutions are defin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basic concepts, the final design plan was proposed, divided into two plans, The design motives were formed into patterns and the exterior and interior spaces were applied uniformly. In the visual application process, through a color plan centered on nuance, a diverse but unified space was pursued. In Chapter Vl the design plan that is presented as an application of a newenvironmental color design is evaluated as a whole.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s gained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is described. The limits and the expectations of the research are mentioned The research process offered an opportunity to reconfirm the importance and value of environmental color plan. Because this color plan is founded on a multi-purposeful and systematic theory, it offers a more objective and universal aesthetic discipline. Eventually, the significance lies in the fact that it offers the opportunity for an added value environment, an upgraded quality level and attitude enhancement for human beings. It is hoped that the final color plan presented in Chapter 6 can be applied to not only the model subject but also effectively applied to other accommodations to facilitate busi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환경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