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시내-
dc.creator오시내-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3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2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368-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초현실주의 여성 미술가 메레 오펜하임 (Meret Oppenheim: 1913-1985)의 오브제 작품에 나타난 경계 위반성 (transgression) 을 조명한 연구이다. 여기서의 경계 위반이란 후기 구조주의 사상가 미셸 푸코(Michel Foucault)가 사용한 개념, 즉 경계 위반적 행동이란 권력이 구성한 지식을 담론적 실천을 통해 벗겨내는 것이라는 정의에 기초한다. 초현실주의에 있어서 경계란, 근대 이성의 산물로서 사회에 존재하는 모든 질서와 위계를 의미한다. 세계 제1차 대전이라는 인류 대학살로 귀결된 서구 문명에 대한 공포와 이로 인한 정신적 외상은 초현실주의 사조로 하여금 기존 사회에 대해 회의적이며 반발적인 태도를 불러일으키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따라서 초현실주의의 경계 위반은 이성적인 질서와 위계에 의해 억제됨으로써 타자화 되어온 것들, 이를테면 무의식, 욕망, 그리고 몸에 대한 탐구로 나타나게 되었다. 1913년 베를린 출생의 메레 오펜하임은 초현실주의가 프랑스를 중심으로 국제적인 인지도를 얻어간 1930년대 무렵 파리의 미술계에 등장했으며, 자신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 <오브제(털위의 점심식사) Object (Luncheon in Fur)> (1936)를 통해 초현실주의의 뮤즈(muse) 로 떠올랐다. 그럼에도 그녀는 초현실주의를 조명하는 대부분의 주요 논문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오직 <오브제(털위의 점심식사)>만이 초현실주의를 대변하는 하나의 부분적 양상으로 소개되어왔다. 이에 본 논문은 메레 오펜하임이 작품의 유명세에도 불구하고 초현실주의 연구에서조차 간과되었던 이유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고 그녀의 작품세계가 여성으로서의 경험과 무의식을 반영함으로써 어떻게 초현실주의의 경계 넘나들기를 실현했는지를 분석하였다. 여성 작가에 대해 비교적 관대했던 초현실주의 사조가 메레 오펜하임을 수용하는 입장에 있어서 어떻게 남성 중심적 사고 방식을 강요했는가를 밝히는 것은 오펜하임이 보여주었던 다양한 작품 세계를 이해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이는 오펜하임이 기존의 연구들에서 왜곡되고 소외되어 해석될 수 밖에 없었던 이유와 깊은 연관을 지닌다. 작품활동 초기의 오펜하임은 남성의 욕망과 이에 투사된 여성 역할의 이분법적 경계를 위반하기 위하여 양성적 인간관과 페티쉬(fetish)의 개념을 적극 이용하였으며, 또한 <오브제 (털 위의 점심식사) Objet (Luncheon in Fur)> (1936)와 같은 작품에서는 서구 문명의 이분법적 토대를 이루는 상반된 개념들인 위생과 불결, 안과 겉, 들어감과 튀어나옴, 보는 것과 보여지는 것, 남성과 여성 등의 은유를 통해 진리와 보편성이라는 경계의 가변성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기도 하였다. 초현실주의자들과의 결별을 선언한 1939년 이후 오펜하임의 활동기는 기존의 연구에서 더욱 간과된 시기이지만, 본 연구자는 이 시기 또한 오펜하임의 경계 위반성이 발전되는 중요한 시기라고 평가하며, 그 이유는 오펜하임이 초현실주의 그룹에서 벗어나면서부터 오히려 자신의 목소리를 찾아가기 시작하고 경계 위반적 태도 또한 더욱 확장되어 젠더의 문제만이 아니라 예술과 정체성의 원본성 논의 까지도 아우르는 다양성을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 오펜하임이 일관되게 자신의 작업을 통해 탐구했던 것은 인간이 만들어 놓은 사회 체계 안에 존재하는 무수한 경계들의 해체였다. 오펜하임은 이러한 경계를 심각한 투쟁과 이분법적 전복으로서가 아니라, 유쾌하게 넘나들면서 탈주 한 작가이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오펜하임과 그녀의 작품 세계는 중요한 미술사적 위치를 차지한다. ; This thesis explores the transgressive aspects of Meret Oppenheim s objets through a feminist perspective. Here, the term "Transgression" alludes to Michel Foucault and his initiative definition, "transgressive act is the uncovering of the discursive practices through which power has constituted knowledge." Transgressive act to the Surrealists was to revolt against the constructed values and systems of the contemporary west, and to achieve liberation through exploring the inner self. The Surrealist s disillusionment with the modern civilization was a common sentiment shared by the European intellectuals after the traumatic First World War. This was how Surrealism as an intellectual movement could flourish with enormous breadth and richness, embracing not only art and literature, but also psychoanalysis, philosophy and politics. Meret Oppenheim, born and raised in this social turmoil, became introduced to the European art scene with her single famous work <Objet (Luncheon in Fur)>(1936). On my process of studying Oppenheim, a troublesome question arose discovering the fact that Oppenheim has constantly been misrepresented only as a Surrealist muse instead of the maker of her own artwork. Through my further studies, I have realized that this alienation of the artist from her artwork in fact, has been a consistent relationship between the women artists and the patriarchal art history. This was also the case for Meret Oppenheim, and regardless of her seriousness toward art making, her reputation as an attractive muse has underrated her qualification as an artist, and has situated her only as a symbolic icon of the rebellious Surrealist spirit. Although Surrealism has elevated positions of women artists, it was still a movement mainly functioned by patriarchal values. Gender was not an issue for male Surrealists, thus it was hardly possible for the movement to be completely transgressive as they preached it to be. The male Surrealists sought change in all aspects of life, personal as well as political. They championed the cause of an unfettered imagination, and attacked the restraints that served to censor the human spirit. However, this was inevitably depicted with unconscious misogyny portraying their heterosexual desire by fetishizing the female body. Distortation and mutation of female body parts were with this reason one of the most common forms of their objets : in Hal Foster s words, a talisman for the autonomous male subject. In her earlier works, Meret Oppenheim utilized this concept of male fetish by transversing it into an aggressive phallus disturbing the male autonomity. Also, Oppenheim s interest in hermaphrodites and androgynies has been a strong aspect of her gender transgression that male artists have not explored. Her <Objet (Luncheon in Fur)> was the zenith of her transgressive interest depicted into a work of art. This piece of work questions the polarized concept that maintains the society-such as vice vs. virtue, hygiene vs. pollution, inside vs. outside, etc.-constructed and divided by the Western Culture. Oppenheim questions how truth after all is not true but rather an invented knowledge in order to instruct what should be excluded in this category of order. In order to elaborate this analysis to a further level, I have explored the later career of Oppenheim that has most been neglected for her estrangement from the Surrealist Group. I have tried to prove that this period was equally-or even more-significant for her relevant interest of transgression in a maturer manner. Eventually, what I have discovered through the process of this thesis was that Meret Oppenheim was an artist constantly questioning all remaining social regulations. Although she has been represented only as a Surrealist muse who assisted male artists and their creative inspiration, this was not even close to the case. Oppenheim was a feminist who has searched her own ways of interpreting the experience of the female body and unconsciousness. Oppenheim was twice in exile since she was a woman and a woman artist. However, this was how she could see the things that her male colleagues could not see, and this is where Meret Oppenheim should be revisited in the history of a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I.서론 = 1 II.초현실주의의 경계 위반적 태도와 오펜하임 = 5 A.초현실주의 사상에 나타난 경계 위반성 = 7 B.오펜하임의 탈경계적 성향의 형성 배경 = 15 III.작품에 나타난 경계 위반적 양상 = 21 A.일상적 오브제: 이분법적 성역할에 대한 도전 = 21 B.털 오브제: 사회 질서에 대한 위반 = 38 C.여성주의적 구조물: 성차별에 대한 정치적 발언 = 50 IV.결론 = 64 참고문헌 = 67 abstract-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470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젠더 개념으로 본 메레 오펜하임의 경계 위반성-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