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4 Download: 0

淸代 揚州畵派의 人物畵 硏究

Title
淸代 揚州畵派의 人物畵 硏究
Authors
이정은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揚州畵派는 18세기 중국의 양자강 하류의 도시인 揚州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일군의 화가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그 개성적이고 독특한 화풍으로 인해 "揚州八怪"라는 호칭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揚州畵派의 작품은 당대 화단의 주류를 이루었던 정통파와 달리 주로 花卉·四君子, 人物畵, 花鳥畵 등이 주종을 이루며 산수화가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다. 특히 송대 이후 산수화가 주류를 이루어 왔던 중국 미술사에서 揚州畵派에서의 인물화 창작 풍조는 인물화의 재부상이라는 측면에서 주목된다. 실제로 10여 명의 揚州畵派 중에는 黃愼(1687-1772), 閔貞(1730-1788)과 같은 인물화가들이 포함이 되며 羅聘(1733-1799), 金農(1687-1763), 王士愼(1686-1759), 高鳳翰(1683-1748), 李方鷹(1695-1754) 등 매화, 대나무 등 四君子나 花卉畵를 즐겨 그렸던 기타 揚州畵派의 작가들도 공통적으로 수 점에서 수십 점 人物畵를 남기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인물화가 揚州畵派의 화가들이 공통적으로 관심을 보인 주요한 畵目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揚州畵派에 의해 그려진 인물을 소재로 한 그림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현존하는 작품은 약 400여 점에 달하며, 본 논문에서는 揚州畵派의 인물화를 주제에 따라 道釋人物畵, 故事人物畵, 肖像人物畵, 鬼趣圖 5가지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것은 道釋人物畵이다. 먼저 도교적 주제의 인물화를 살펴보면, 소재적으로 鐘규 , 劉解蟾, 八仙, 麻姑仙, 壽星老人등 도교 인물 중에서도 특히 벽사나 壽福康寧을 비는 기복적인 염원을 담은 주제의 神仙圖가 선호되었다. 이러한 소재적 선호나 회화의 도상적 특징은 吳偉와 張路로 대표되는 明代 이래 道釋人物畵 창작 풍조를 잇고 있지만, 揚州畵派의 그림의 속에서 신선들은 보다 현세적이고 세속적인 모습으로 묘사되는 경향을 보인다. 불교적 주제의 인물화의 경우, 羅漢圖, 禪師圖 등과 같이 보다 인간적인 형상이나 배경을 가진 소재의 그림이 주를 이룬다. 명말 羅漢圖로 유명한 吳彬, 丁雲鵬 등의 불교적 주제의 그림에서 나타나는 인간적인 표현과 묘사는 揚州畵派의 그림에서 더욱 극대화되어, 종교적인 예배의 상이라기보다 인간적인 모습으로 작가의 개인적인 정서가 투영되어 표현되고 있다. 揚州畵派의 故事人物圖는 널리 알려진 유명한 역사적인 사건이나 인물의 이야기, 문학작품 속의 주인공, 유교나 도교적 주제의 이야기 속의 인물 등 매우 다양한 주제와 소재를 망라하고 있다. 揚州畵派의 故事人物圖에서 인물은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부각되며, 또 전형석에서 벗어나 인물의 묘사와 과장된 표현으로 고전의 통속화 경향을 보여준다. 또, 揚州畵派의 風俗人物畵는 거리의 걸인이나 악사, 어린이, 어부와 같이 市井의 풍속과 일상을 주제로 하고 있는데, 현실에 대한 사실적인 기록보다는 일상의 장면에 대한 풍자적이고 해학적인 묘사와 변방의 이국적인 風情과 같은 소재들로 관자의 이목을 끌고 있다. 揚州畵派의 肖像人物畵는 한 인물의 시각적 특징을 그대로 전달하여 敎化와 鑑戒의 대상으로서의 제작되던 초상화의 전형성에서 벗어나 인물 표현에 작가의 주관이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되어 작가에 의해 선택된 일정한 설정 안 인물을 그리고 있다. 肖像人物畵에 揚州畵派의 화가 중 여러 명의 화가들이 自畵像을 남기고 있다는 것은 있어 흥미로운 사실이다. 자의식 또는 개성주의 정신의 발현으로 설명되는 17세기 陳洪綏, 石濤의 自畵像의 창작 풍조는 18세기 揚州畵派에 계승되며, 좀 더 적극적인 자기표현을 보이게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통적인 인물화의 소재 외에도 귀신이라는 중국회화사에서 흔하지 않은 특이한 소재로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허구적 존재를 그림으로 형상화한 羅聘의 <鬼趣圖>는 인물화의 소재적 영역을 넓혔다는데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揚州畵派의 인물화에는 蘇軾이나 米불처럼 추앙받는 문인이나 은일을 상징하는 주제에 대한 선호와 문인적인 취미로 여겨졌던 琴棋書畵와 관련한 소재와 함께 그려지는 인물화들은 당시 揚州 지역의 문인문화에 대한 추구와 문인문화의 저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또 鐘규圖의 창작에서 볼 수 있듯이 年畵와 희곡과 같은 통속 예술과 주제적인 일치와 연관성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다시 城市를 중심으로 발달햇떤 서민 문화의 발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이러한 상층 문화로 인식되는 문인 문화와 문인 취향은 그 저변이 확대되었고, 역으로 통속문화는 이러한 문화를 받아들이고 고급화되는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이렇게 揚州畵派의 인물화는 당시 揚州 지역의 문화로부터 영향을 받아 상인층의 문인취향의 추구와 통속성을 결합된 회화를 선보이고 있다. 淸 중엽 揚州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淸代 揚州畵派의 인물화는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주제의 다양성이라는 특징과 함께 揚州畵派의 인물화는 기존 장르가 가지는 전형성에서 벗어나 보다 인간적이고 현실적 이미지로 표현되고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도 鬼趣圖와 같이 인물화의 소재의 영역을 확장하기도 하였고, 자화상의 유행이라는 새로운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는 등 宋代 이후 산수화가 주류를 이루었떤 중국회화사에서 인물화 분야의 영역을 확장하고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고 있는 것이다. 明代 이후 다시 고개를 들기 시작한 인물화 창작의 풍조는 揚州畵派의 화가들에 하나의 현상으로서 유행을 하게 되고 일반화되며 인물화 영역에서의 이들의 성취는 다음 세대인 19세기 海上派에게 이어지게 된다. ; The Yaugzhou(揚州) painters were the numerous painters who were active in lower Yangzi River(揚子江) during the 18th evntury. Some of them later became known as "the Eight eccintrics of Yaugzhou(揚州八怪)" for their destnctive styles. Their painting s differed from the paintngs of the traditionalists in that the Yaugzhou painters usually focused on folwer paintings, paintings on the four than on landsvapes. Because kandscapes comprised a sthe mainstream in Chinese painters present considerable interest. Among the ten or so Yaugzhou pianters, figure painters like Haung Chen(黃愼) and Min Zhen(閔貞), painters who specialized in plum blossom, bamboo and other symbols of literati such as Jin Nong (金農), Wang hi-shen(王士愼), Lui Ping(羅聘), Guo Feng-han(高鳳翰), and Li Fang-ying(李方鷹), all left score of figure paintions, revealing the common interest in figure paintings, among Yaugzhou painters. At predsent, figure paintings by Yangzhou painters amount to some five hundred paintings, and this study shall examine the subject by classfying figure paontings into five groups : Buddhist and Taoist figure paintings, paintings of figures from the past, folk paintings, portrait paintings. and pontings of ghost(guquitu鬼趣圖). Among these, Buddist and Toaist paintings consisted as the predominate subject. Repelling evil spirits of praying for one s well-being by depicting Zhongkui(鐘규), 劉海蟾, Baxian(八仙), Magu(麻姑), and Shouxing(壽星 ), appear to have benn the preferred themes for the Buddhist and Taoist figure paintings. Although prederence for sugh subjects and iconographic characteristicts ahd succeede the Buddhist and Taoist figure painting tradition represented by Wu Wei(吳偉), and Zhang Lu(長路) from the Ming dyansty, the Taoist hermits depicted in the paintings by the Yangzhou painters tend to display more sevular and worldly characteristics, For Buddhist figure aisntings such as paintings on Lohan(羅漢) and on Chan Masters(禪師), Jin Nong and Luo ping were representative painters, and their paintings exhibited humane aspects of the figures in realistic surroundings. The humane description and expression adopted by Wu Bin(吳彬) and Ding Yunpeng(丁雲鵬), renowned for their Lohan(羅漢) paintings in the late Ming Dynasty, found its ulitmate maximum among the paintings of the Yangzhou artists, revealing ehs painter s previte inner sentiment in the painting rather than desplaying as object of worship. Paintings of figures from the past by the Yangzhou painters comprised fo famous historic events, episodes, of figures well known through novels and drama, and literary heroes, figures from Confucianist or Taoist themes. Along with the veriety of themes dealt by the Yangzhou painters in the field of paintings of figures from the past. the stress on figures, and unconventional and the exaggerated depiction of the figures revealed the populariz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In folk paintings , the Yangzhou painters focused on figures like beggars, street musicians, children, and fishermen from everyday lives, reflection the development of market culture at that time, and the interest in populat cusioms. However, the folk paintings of the Yangzhou painters attract our attention not for its realistic portrayal but for it satiric and humorous description, along with exotic backrounds. The portrait paintings of the Yangzhou painters took a different approach from the traditional paintings that conveyed the figure s visual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The paintings departed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of portraying the figure and inlightenting the veiwer, and displayed the painter s subjectivity towards th figure through his choice of the background and the composition. An interesting chracteristic among portrait paintings by Yangzhou artists is that many self-portraits remain. The self-portraits that manifested from individualistic manifestations, by Chen Hongshou(陳洪綏) and Shi Tao(石濤) from the 17th century. were succeeded by the Yangzhou painters in the 18th century, taking on more active self-effacing expressions. Besides the traditional figure paintings as mentioned above, spirits provided a destinctive motif in Chinese painting history by depiction a fabricated biing into reality. Thus, Luo Ping s Guquitu(painting of Ghost) bears sihnificance as ot expanede the motifs in the field of figure painting. The jigure paintings by Yangzhou painters tended to portay hermit-like figures or revered literati figures such as Su Shi(蘇軾) and Mi Fu(米불), predenting the expantion of literati culture. In addition, the paintings coincided with the drama and popular arts of the period as can be seen in Zhingkuitu(鐘규圖). This trend was related to the edvelopment of popular culture centering around the cities, which soon expanede into the upper class culture. Through this figure paintings of the Yangzhou painters predented paintings that united the preference for literati tastes by the merchant class and the populat culture of the period. In all. the study has examined the figure paintings of the Yangzhou painters active during the mid Qing dynasty. The paintings not only peoviede veriety to the field of figure painting but also revealed humane and realistic images that moved away from conventional styles. Moreover, paintings like Huquitu(painting of ghost) ex;anded the motifs in figure painting while portrait paintings gained popularity. breathing in now current into the history of Chinese painting that had formerly been dominated by landscape paintings since the Song dynasty. Figure painting and its execution that began to take rise after the Ming dynasty, popularized among Yangzhou painters and was later suceeded by 19th century Haichang painters(海上派).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