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은주-
dc.creator임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8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2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841-
dc.description.abstract실어증환자의 의사소통능력을 객관적으로 기술하는 것은 실어증환자를 평가하고 치료하는 임상현장에 있어 대단히 중요한 과제이다. 여태까지 이러한 노력은 대부분 공식검사도구의 사용을 통해서만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실제로 언어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체계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은 언어샘플을 통한 분석이며, 이는 표현언어 진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발화 분석방법인 CIU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실어증의 경중도에 따라 (1) 분당어절수에 차이가 있는가, (2) 정보전달량에 차이가 있는가, (3) 정보전달효율성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유창성 실어증환자 30명(중도 10명, 중등도 10명, 경도 10명)이었으며 자발화 유도 과제는 단순그림 설명하기, 연속그림 설명하기, 대화과제의 세 가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실어증환자의 정보전달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CIU(Correct Information Unit)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에 정보의 다양성을 살펴볼 수 있는 분당 DCIU(Different Correct Information Unit)를 첨가하였다. CIU에 포함되기 위해서는 알아들을 수 있을 정도의 명료도를 가지며, 내용이 주제와 과제에 적합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어절이어야 한다. 어절의 수, CIU의 수, DCIU의 수를 계산한 후, 대상자 발화샘플의 전체시간을 계산하였다. 총발화시간, 어절수, CIU수, DCIU수로 (1) 발화량을 측정하는 분당어절수, (2) 정보전달량을 평가하는 총 CIU수, 총 DCIU수, (3) 정보전달효율성을 측정하는 CIU비율, 분당 CIU수, 분당 DCIU수를 산출하였다. 정보전달능력을 보여주는 각 변수에서 경중도에 따른 세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및 Scheffe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분당어절수에 있어 경중도에 따른 경도, 중등도, 중도의 세 유창성 실어증 환자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보전달량을 나타내는 총 CIU수 및 총 DCIU수에 있어 중증도가 낮을수록 정보전달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사후검정 결과 중등도 집단과 경도 집단 사이에서는 정보전달량을 나타내는 두 변수 모두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 중등도 집단이 경도 집단과 비슷한 수준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전달효율성을 나타내는 CIU비율, 분당 CIU수, 분당DCIU수에 있어서는 경중도가 낮을수록 정보전달효율성이 뚜렷이 향상하였으며, 모든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CIU분석방법을 활용한 자발화 분석이 실어증의 경중도를 판별하거나 회복의 정도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특히 정보전달효율성에 대한 평가는 중도 뿐만이 아니라 중등도 및 경도 환자들의 의사소통능력을 분석하는데 민감한 척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forma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connected speech samples in fluent aphasic individuals dependant on severity. Thirty fluent aphasic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ubjects were grouped into three subgroups according to their severity. The verbal picture descriptions and interviews elicited from 10 mild, 10 moderate and 10 severe aphasic speakers were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These samples were compared on the basis of Correct Infor- mation Unit(CIU) analysis. Connected speech sample analysis includes a measure of speaking rate(words per minutes), two measures of amounts of information conveyed(CIUs, DCIUs) and three measures of information conveyance efficiency (CIU%, CIU/min, DCIU/mi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the measure of word per minute among three groups. (2) An invers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severity of aphasia and amount of conveyed information. However, moderate aphasic speakers tended to communicate as much information as mild aphasic speakers did. (3) Sig- 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measure of communication efficiency among three groups. All measures of efficiency can classify groups into mild, moderate and severe. This study made a therapeutic implications that this quantification system is useful to detect the severity as well as the recovery level of the aphasi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질문 = 4 C. 용어의 정의 = 4 II. 이론적 배경 = 6 A. 실어증환자의 정보전달 특성 = 6 B. 실어증환자 자발화 분석의 유용성 = 10 C. 실어증환자 자발화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 11 III. 연구방법 = 17 A. 연구대상 = 17 B. 실험과제 = 18 C. 연구절차 = 19 D. 자료의 통계적 처리 = 22 E. 신뢰도 = 23 IV. 결과 = 24 A. 실어증의 경중도에 따른 분당어절수 = 24 B. 실어증의 경중도에 따른 정보전달량 = 25 C. 실어증의 경중도에 따른 정보전달효율성 = 29 V. 결론 및 논의 = 35 A. 결론 및 논의 = 35 B. 연구의 제한점 = 39 C. 제언 = 40 참고문헌 = 41 부록 = 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63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경중도에 따른 유창성 실어증환자의 정보전달능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