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진경숙-
dc.creator진경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6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6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2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692-
dc.description.abstractThis essay provides teaching methods such as Instructional Design and 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 to help the student have an analytic thought and attitude for looking at an art object. The goal of applications are to provide a foundation for making representation of 2-dimensional or 3-dimensional work and creation of a self-satisfied object, being intellectual training, and development work for the art class. For applying Instructional Design and 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 the target of study are 555 middle-school students that put reappearance of a fine work into 2-dimensional and 3-dimensional object. After making the student reproduce a masterwork, which is investigated and analyzed by oneself, the level of student s satisfaction is found through an inquiring-paper before and after tests. The results of application says that self-regulating study increase the power of expression. Student s creations have made progress in principle and formative arts. Therefore this program will promote effectiveness of art education in art class. ; 본 연구는 미술수업에서 명작의 모방을 체계적이고 체제적인 교수설계(Instructional Design)와 교수 체제 개발(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인 교수 학습 프로그램에 투입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작품에 임할 때 보다 분석적인 태도와 사고를 가질 수 있게끔 도와주고, 이 교수 학습 프로그램의 적용으로 평면작품이나 입체작품을 표현하게 한 다음, 미술수업이 지적인 훈련과 계발을 희생함이 없이 정의적인 영역과 표현 결과물에도 학생 스스로 만족할 만한 작품을 자아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현장 실험 (field experimental research)과 교수 학습 프로그램 처치를 위해 중학교 1학년 555명을 대상으로 하여, 명작의 모방을 통한 창작을 평면작품과 입체작품으로 나타내게 하였다. 즉 학생들이 스스로 명작의 자료를 조사, 분석하여 모방하게 한 다음, 재창출 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 스스로 표현 결과물에 만족된 정도를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질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교수 학습 프로그램의 처치로서, 주 1회 실시로 총 10회의 수업을 통하여 학생 스스로 자료를 조사, 분석하고 적절한 재료를 활용하여 표현한 평면작품과 입체작품에 실험대상들은 우수한 표현력을 보였으며 인지적으로나 정의적으로도 실험 전의 문항 반응 보다 실험 후의 질문 문항에 대한 반응에 차가 있었고 이것을 유형별로 분류한 결과 전체학생의 92.37%가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이 결과는 가설에 입각하여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표5-1~3] 그리고 학생들에 의해 창작된 주제의 표현 결과물 또한 조형 요소 면에서도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8~34]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들에게 명작의 모방을 통한 창작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주제별로 처치를 가함으로서 얻은 결과로 미술수업에 지적인 훈련과 계발을 희생함이 없이 정의적인 영역이나 표현 결과물에도 효과를 얻는 교수 학습 프로그램임을 제시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연구의 내용 = 3 D. 연구의 방법 = 4 a. 연구대상 = 4 b. 연구절차 = 4 c. 실험도구 = 7 E. 연구의 제한점 = 7 II. 이론적 배경 = 17 A. 모방실기 교육의 당위성 = 17 B. 모방활동 의 미술교육적 접근 = 19 a. 모방활동 의 교육적 의의 = 19 b. 효과적인 관찰학습의 조건 = 19 C. 부르너(Bruner)의 발견학습이론 = 21 D. 조형요소 인지의 중요성 = 22 a. 형태를 구성하는 요소(조형요소) = 22 III. 주제별 명작의 모방을 통한 창작 교수 학습 프로그램 = 35 A. 연구방법론 = 35 a. 방법론적 가능성 = 35 B. 연구대상 = 36 C. 교수?학습 체제 개발 프로그램 = 40 D. 연구가설 = 43 IV. 결과 = 44 V. 결론 = 67 참고문헌 = 68 부록 = 71 미술과 상황 분석 및 작품활동 질문지 = 71 2001 학년도 학생이해자료 = 77 Abstract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027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명작의 모방을 통한 창작 연구 : 주제별 활동 교수 학습 프로그램-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