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서린-
dc.creator박서린-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6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4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2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442-
dc.description.abstract조음장애의 치료를 계획하고 이를 운영하는데 있어서 언어임상가가 고려해야 할 점이 많이 있다. 특히 문제가 있는 말소리가 한 개 이상일 경우 치료의 순서를 정하는 일은 임상가가 조음장애의 치료를 계획할때 가장 먼저 결정해야 하는 사항이며 또한 치료의 전반적인 절차에 영향을 주므로 이 문제에 대해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져왔다. 치료할 말소리의 순서를 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중 일상의 말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말소리부터 치료를 시작하는방법이 있다. 즉, 빈도가 높은 말소리일수록 명료도에 미치는 잠재적인영향력이 더 크므로 이러한 말소리부터 치료를 시작하면 전체적인 명료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가 크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일상적 대화에서 나타나는 (1) 말소리의출현빈도 및 순위, (2) 음운변동의 출현빈도 및 순위를 알아봄으로써 여러 개의 오류 말소리를 보이는 조음장애의 치료 시 치료의 순서를 정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어 말소리를 완전히 습득한 성인(남자 25명, 여자 25명)이고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며 표준말을 쓰는 사람으로 제한하였다. 연구자는 이들 50명과 5가지 주제에 대하여 대화를 나누었고 모든 대화자료를 녹음하였다. 녹음한 자료에서 각 연구대상마다1,000개의 음절을 뽑았다. 뽑은 1,000개의 음절을 2명의 평가자가 귀로 듣고 전사하였으며,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말소리의 출현빈도 및 순위를 분석하였고 말소리의 출현빈도가 성(性)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자료(음절 50,000개)에서 높은 출현빈도를 보인 상위 10개의 말소리는 /ㄴ ㄱ ㄹ ㄷ ㅁ ㅈ ㅅ ㅎ ㅇ ㅂ/의 순서로 나타났고, /ㄴ/이11,699개로 전체의 19.78 %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상위의순위에 속한 말소리의 대부분이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의 연음과 비음및 유음이었다. 또한 본 연구결과, 말소리 출현빈도는 성(性)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음절 내 위치에 따른 자음 빈도를 분석한 결과, 음절 초성에서높은 빈도를 보인 상위 10개의 말소리는 /ㄱ ㄴ ㄹ ㄷ ㅈ ㅅ ㅎ ㅁ ㅂㄲ/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말소리는 조음방법 면에서는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그리고 유음의 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고, 조음위치 면에서는 치경음, 연구개음, 양순음, 경구개음, 그리고 성문음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음절 종성에서 나타날 수 있는 7개의 자음의 빈도를 분석한 결과, /ㄴ ㄹ ㅇ ㅁ ㄷ ㄱ ㅂ/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음방법에 따라 분석하였을 때 비음이 가장 많았고 조음위치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는 치경음이가장 많았다. 4. 음운변동의 출현빈도 및 순위를 조사한 결과,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 음운변동은 유성음화 현상이었고, 그 다음으로 종성자음의 미파화, 권설음화, 경음화, 구개음화 등이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frequencies of consonants in the conversational Korean of adult speakers. Fifty subjects (25 males and 25 femal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ir conversations on 5 different everyday topics were recorded, each contributing 1,000 Korean syllables. The recorded data were transcribed in narrow phonettic transcription and were analyzed by two judges in terms of the following categories: (1) the frequencies of the 19 consonants occurring in both syllable-initial and syllable-final positions, (2) the frequencies of the 18 syllable-initial consonants, (3) the frequencies of the 7 syllablefinal consonants, and (4) the frequencies of phonological processes. The major findings from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order of frequencies of the 10 consonants most frequent, in descending order, is /n k l t m □ s h □ p/, (2) the order of frequencies of the 10 consonants most frequent between vowels, in descending order, is /k n l t □ s h m p k /, the order in terms of manners of articulation being plosives, fricatives, affricates, and liquids, and the order in terms of places of articulation being alveolars, velars, bilabials, palatals, and glottals, (3) the order of frequencies of the 7 syllable-final consonants, in descending order, is /n l □ m t k p/, and (4) the order of frequencies of the four most frequent phonological processes, in descending order, is found to be voicing, unreleasing of syllable-final plosives, retroflexion, tensification, and palatalization. In addition,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males and femal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II. 이론적 배경 = 5 A. 영어의 말소리 빈도조사연구 = 7 B. 한국어 말소리 빈도조사연구 = 10 C. 한국어 음운변동 빈도조사연구 = 12 III. 연구방법 = 16 A. 연구대상 = 16 B. 연구절차 = 17 C. 자료분석 = 28 D. 신뢰도 = 29 IV. 결과 = 30 A. 전체 자료에서 나타난 자음 출현빈도 = 30 B. 음절 내 위치에 따른 자음 출현빈도 = 33 C. 음운변동 출현빈도 = 41 V. 결론 및 논의 = 47 A. 결론 및 논의 = 47 B. 연구의 제한점 = 52 C. 제언 = 53 참고문헌 = 55 부록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826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성인의 일상적인 대화에서 나타나는 말소리 출현빈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