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지영-
dc.creator이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6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4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2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441-
dc.description.abstract감각신경성 청각장애아동은 무수한 말오류를 보인다. 이들의 말오류는일차적으로 말소리의 음향학적인 정보에 대한 경험과 피드백의 부족에서 비롯된다. 말을 듣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청각기관을 통해 주파수, 강도, 길이 등 말소리의 음향학적인 정보를 종합하고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이들은 청각의 손상으로 말지각에 장애가 생기고, 이로 인해 말산출에서도 어려웅을 겪게 된다. 청각장애아동의 말지각과 말산출에 대한 연구들은 초분절적인 요소보다는 분절적인 요소에서, 모음보다는 자음에서 더 많은 오류가 나타남을 보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청력손실과 말지각 또는 청력손실과 말산출 간에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난다. 그러나 청력손실이 심도에 달할 때에는 이러한 체계적인 관계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심도 감각신경성 청각장애아동의 자음지각과 자음산출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분석하고 청력손실, 자음지각 및 자음산출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거주하는 청각장애아동 20명과 정상아동 20명을 대상으로 자음지각검사와 자음산출검사를 실시하였다. 목표음소인 75(25 × 3)개의 무의미 1음절어는 초성에서 산출가능한 18개의 자음과 종성에서 산출가능한 7개의 자음을 각각 3개의 모음(/a/, /u/,/i/)과 결합시켜 만든 것이다. 자음지각검사에서는 녹음된 무의미 1음절어를 들려주고 글자로 쓰게 하였고, 자음산출검사에서는 인쇄된 무의미 1음절어를 자발적으로 읽게 하여 녹음한 후 음소전사(broad phonetic transcription)를 하였다. 먼저 자음지각과 자음산출의 분석을위해 음소, 조음위치자질 및 조음방법자질을 기준으로 정반응율을 계산하여 각각 자음, 조음위치자질 및 조음방법자질의 지각정확도와 산출정확도를 구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청각장애아동이 정상아동과 자음의 지각정확도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산출정확도에서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각각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청각장애아동이 모음환경, 음절 내 위치, 조음위치 및 조음방법에 따라 자음의 지각정확도에 차이를 보이는지, 산출정확도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각각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청각장애아동이 조음위치자질과 조음방법자질의 지각정확도간에 차이를 보이는지, 산출정확도 간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각각 두 종속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청각장애아동의 PTA, 자음의지각정확도 및 산출정확도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Pear-son 단순적률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아동은 정상아동보다 자음의 지각정확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조음위치와 조음방법에 따라 자음의 지각정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모음환경과 음절 내 위치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음위치자질보다 조음방법자질의 지각정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청각장애아동은 정상아동보다 자음의 산출정확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모음환경, 조음위치 및 조음방법에 따라 자음의 산출정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음절 내 위치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음방법보다 조음위치자질의 산출정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청각장애아동은 PTA와 자음의 지각정확도, PTA와 자음의 산출정확도 및 자음의 지각정확도와 산출정확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consonant perception and production in Korean by children with profound sensorineural hearing loss, and to inver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nsonant perception, consonant production, and degree of the hearing loss. Twenty hearing-impaired (HI) children and twenty normal-hearing (NH) children, whose age ranged from 7 to 13 yea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HI and NH children were matched in school grade and sex. All the subjects were given two tests: (1) the consonant perception test, in which each subject was to write down the recorded speech stimuli presented through the loud speaker in the free field, (2) the consonant production test, in which each subject was to read the printed speech stimuli. Seventy-five (25 X 3) nonsense syllables of the form of CV and VC, where each of the 25 consonants was combined with 3 vowels (/a/, /u/, /i/) were used as stimuli for each test. Twenty-five (18+7) consonants represent 18 consonants produced i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yllable and 7 consonants produced in the final position of the syllable in Korean. HI children were tested with their hearing aids 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were as follows: (1) HI children s perception scores of consonan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NH children s, (2) HI children s perception scores of consona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spect to the articulation places and articulation manners, but were not different with respect to the vowel contexts and positions of the syllables, (3) HI children s perception scores of articulation place featur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articulatin manner features, (4) HI children s production scores of consonan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NH children s, (5) HI children s production scores of consona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spect to the vowel contexts, articulation places, and articulation manners, but were not different with respect to the positions of the syllables. (6) HI children s production scores of articulation place featu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rticulation manner features, (7) Pearson s Simple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showed that the correlations were not significant between any pairs of PTA, HI s perception scores of consonants, and production scores of consona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질문 = 3 II. 이론적 배경 = 5 A. 우리나라의 자음 = 5 B. 청각장애아동의 말지각 = 9 C. 청각장애아동의 말산출 = 13 D. 청각장애아동의 청력손실, 말지각 및 말산출 간의 관계 = 18 III. 연구방법 = 21 A. 연구대상 = 21 B. 검사도구 = 23 C. 연구절차 = 25 D. 자료분석 = 32 IV. 연구결과 = 33 A. 청각장애아동의 자음지각분석 = 33 B. 청각장애아동의 자음산출분석 = 39 C. 청각장애아동의 청력손실, 자음지각 및 자음산출 간의 관계분석 = 46 V. 결론 및 제언 = 47 A. 결론 및 논의 = 47 B. 연구의 제한점 = 56 C. 제언 = 57 참고문헌 = 60 부록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249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심도 감각신경성 청각장애아동의 자음지각 및 자음산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