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9 Download: 0

신촌지역 여대생의 하숙, 자취생활 분석을 통한 여성학적 시각의 도시주거환경 분석과 개선 방향에 관한연구

Title
신촌지역 여대생의 하숙, 자취생활 분석을 통한 여성학적 시각의 도시주거환경 분석과 개선 방향에 관한연구
Authors
차은아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과학기술대학원 건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근대 산업 사회 이후 남성과 여성의 역할이 고정되면서 도시 공간의 형태는 주로 남성들에 의해 만들어지고 소유되고 통제되어 왔다. 가부장적 관념, 지배 체제와 권력 구조, 성(性) 역할의 고정화에 따른 남성의 경제권 독점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으로 공간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또한 건물 형태의 미적, 사회적 가치, 건물을 만드는 과정, 건물의 소유와 사용까지도 남성 중심이 될 수밖에 없는 요인이 되었다. 이것은 도시의 구조, 공간의 형성에 있어서 여성의 시각이 배제되어 왔음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여대생들의 하숙, 자취 생활과 공간 경험을 통해 가부장적 사회에서 소외되거나 대상화되어온 여성들의 공간 문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공간에 대한 여성의 주체적 시각으로 여성들의 공간 문화를 살펴보기 위해서 여성학적 접근 방법과 가치관을 토대로 여대생의 하숙, 자취 생활과 공간 경험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시 및 주거 환경이 여성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알아보고 이러한 여성들의 요구를 고려하는 도시 주거 계획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심층 면접을 통한 공간 경험의 사례는 도시 공간, 신촌 지역 근린 환경, 하숙 및 자취 공간의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도시 및 주거 환경에서의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3장의 사례 분석과 이를 통한 4장의 개선점 제안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도시 공간에 대한 경험 분석과 개선 방향 1) 도시 공간에 대한 여성들이 경험으로는 소극적인 공간 인식, 건물이 주는 심리적 위압감과 부적절감의 느낌, 관공서 건물에서 느끼는 위압감과 부담감, 여성으로서 느끼는 행동의 제약, 보기 싫은 거리의 모습들, 지하철에서의 경험, 녹지와 공원에 대한 생각, 보행자로서의 불편, 도시 공간의 포르노그래피 문제, 매매춘 공간에 대한 시각적인 경험, 여자 화장실에 대한 불편함 등으로 분석되었다. 2) 이를 통해 도시 공간 계획에서는 친근한 건물 형태와 공간 구성, 여성 보행자를 위한 공간 계획, 이용하기 쉬운 공원과 녹지의 구성, 여성의 특성을 고려한 화장실 계획, 참신한 간판이 만드는 정리된 도시 경관 등을 제안하였다. 2. 신촌 지역 근린 환경에 대한 경험 분석과 개선 방향 1) 신촌 지역 근린 환경에 대한 여대생들의 경험은 주변 환경으로부터 받는 스트레스, 어둡고 위험한 골목길, 편리한 근린 환경에 대한 관심, 급경사의 길이 주는 불편함, 근린 환경으로부터 느끼는 소외감, 이사 스트레스에 의한 주거지 선택의 제한 등으로 분석되었다. 2) 근린 환경에 대한 개선 방향으로는 근린의 길을 안전하게 계획하고, 편리하고 안전한 근린 시설 공간 계획, 정체성을 표현하는 근린 환경의 구성을 제안하였다. 3. 하숙, 자취 공간에서의 경험 분석과 개선 방향 1) 하숙, 자취 공간의 공통적인 경험으로 신변의 안전과 도난의 위험, 프라이버시 침해의 문제, 주거 공간에서 ‘집’이라는 느낌이 들지 않는 심리적 스트레스, 주거 공간 분위기의 중요성과 정체감의 표현, 부족한 수납 공간에 대한 경험, 갖추어지지 않는 기본 가구에 대한 경험, 빨래 널기에 대한 경험 등으로 분석되었다. 하숙 공간에서의 경험은 독립된 공간의 필요성, 하숙집 주인과의 관계, 화장실, 욕실, 세탁실 등의 위생 시설의 문제, 하숙 내부 시설의 수준과 주방 사용의 자유, 편안한 거실 공간의 부재로 인한 폐쇄감 등으로 분석되었다. 자취 공간에서의 경험은 건물 주인과의 관계, 여성적 역할과의 갈등, 심리적 고독감의 극복, 주방 공간의 불편함 등으로 분석되었다. 2) 하숙, 자취 공간에 대한 여대생들의 경험을 통해 여대생의 문화를 담을 수 있는 학생 주거 계획이 필요하며 이러한 주거의 계획에 있어서 다양한 삶의 형태를 지원할 수 있는 선택의 다양성과 부대 시설의 복합적 계획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여대생들의 경험을 통한 학생 주거 계획 요소의 개선 방향으로는 안전하고 개성 있는 출입구 계획, 독립적인 개인 공간의 확보, 편리한 수납 공간의 설치, 필수 가구의 완비, 프라이버시와 안전을 고려한 창문 계획, 화장실, 욕실, 세탁실의 분리와 여학생을 위한 시설의 개선, 빨래 너는 공간이나 빨래 건조기의 설치, 그룹별 조리 시설, 편안한 거실 공간, 안락하고 편리한 공동 식당의 계획을 제안하였다. ; Since the roles of men and women became fixed after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urban forms have been designed, possessed and controlled mainly by men. The economical monopoly of men caused by patriarchal ideas, governing system and structure of authority, and fixation of gender role, influenced the designing of physical environment by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al ways. This also made the aesthetic and social value,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d even the usage and possession of buildings be focused on man. This means feminist perspective has been excluded on urban form and designing of physical environment. By the experience of women in boarding house or self-boarding house, this study tried to inspect the women s environmental experience which has been excluded or treated as otherness in the patriarchal society. To inspect the experience with the subjective view of woman, this study analyzes the experiences on physical environment and lives of women in boarding house or independent residence and finds out how the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have influences on women. Finally, this study proposes a new direction on urban housing plan considering these needs of women. The case study analyzes as subsections of urban physical environment, community environment of Shin-chon and boarding or self-boarding environment. Improvement guidelines for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are proposed through this case study. Here are the summaries of chapter 3. (case studies) and chapter 4. (proposing the improvement guidelines). 1. Experiences on urban environments and improvement guidelines 1) Passive perception of space / mental coercionary and inappropriate feelings that structures and government offices give / limitation on behavior as a female / unpleasant sceneries of streets / experiences in the subway / ideas for green zone and park, inconvenience as a pedestrian / pornography in urban spaces / visual experience on prostitution area / inconvenience of toilets for female, are shown as the experiences of female on urban environments. 2) With this inquiry intimate shape of buildings and space structure / space planning for female pedestrian / construction of convenient park and green zone / toilets with concern for female users / arranged urban scenery with novel design of signs are proposed for new urban environment guidelines. 2. Experiences on neighborhoods of Shin-chon and improvement guidelines 1) Stress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 dim and dangerous alley / concern about convenient neighblrhood / inconvenience from a steep slope / estrangement feelings from neighborhood / stress on moving with the limitation on residential area, are shown as the experienc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neighborhoods of Shin-chon. 2) Plan for safer roads in neighborhood / space plan for convenient and safe community structures / construction of community with revealing identity, are proposed for the improvement of neighborhood. 3. Experiences on boarding and self-boarding and improvement guidelines 1) Safety of oneself and being in danger of theft / invasion of a persons privacy / mental stress caused by residential area which does not give the feeling of home / impotance of residential area s atmosphere and revealing of identity / experience on insufficient closet space / experience of residential area without basic furnitures and experience of laundry, are shown as common experiences on boarding and self-boarding of female college students. Need for individual space, relationship with boarding host or hostess / the problem of toilet / bathroom and laundry room, the level of interior equipment / freedom of using the kitchen / the feeling of closure caused by comfortable livingroom, are shown as experiences on boarding. Relationship with building owner / confliction with others caused by gender role / conquest of loneliness and inconvenience of kitchen, are shown as experiences on self-boarding. 2) With this experienc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boarding and self-boarding, need for student residential design guidelines to include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o support the variety of living form and need for complex planning of incidental equipments are proposed. Safe and creative entrance planning / securing independent private area / convenient closet / basic furniture / window plan with the concern of privacy and safety / separation of toilet, bathroom, laundry room / improvement on equipments for female / space for laundry or installation of drying machine / cooking equipments for each group / comfortable livingroom / convenient public dining room, are proposed as the improvement guidelines for student residential planning from the experienc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과학기술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