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2 Download: 0

쟝 피에르 레이노의 작품에 나타난 자기치유적 특성

Title
쟝 피에르 레이노의 작품에 나타난 자기치유적 특성
Authors
김영애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장 피에르 레이노(Jean-Pierre Raynaud, 1939 - )의 작품에나타난 자기치유적 특성에 대한 연구이다. 레이노의 작품은 1960년대 이후미술계의 흐름을 고루 반영하며 오브제, 건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었으나 소재나 색채를 통해 개인적인 상징을 부여하고 관객들의 심리적 반응을 유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누보 레알리즘, 팝 아트, 미니멀아트, 대지미술 등과 구분되는 특징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레이노 작품의 배후에는 언제나 그의 개인사적 배경과 함께 예술을 통해 상처를 치유하려는 심리적동기가 자리하고 있었다. 예술을 통해 희구하는 바를 표현하고 그 속에서 카타르시스를 느낌으로써 치유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은 고대의 동굴벽화나 주술적 오브제들에서부터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다, 현대 예술에서도 예술을 통해 예술가나 관객들의 자기만족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태도는 계속되어 왔다. 예술가들은 현실에서 충족되지 못한 욕망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자 일부러 광인의 상태를 가장하기도 하였으며, 예술작품을 통해 병적인 상태로발전할 수도 있는 억눌린 욕망들을 사회가 받아들일 수 있는 방식으로 승화시킴으로써 치유의 효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레이노의 예술창작의 동기는 4살 때 겪은 아버지의 죽음과 관련된다. 내면에 자리하고 있던 어린 시절의 충격은 22세가 되었을 때에 정신적 공황상태를 일으키기도 하였다. 레이노는 오브제를 통해 상징적인 불멸체를설정하거나 오히려 죽음을 적극적으로 언급하는 방식을 통해 죽음에 대한공포로부터 벗어나게 되는데 이것이 그의 작품 활동의 시작이었다. 따라서그의 작품은 충족되지 못한 내면의 감정들을 조형언어로 형상화시킴으로써개인적인 문제를 예술적인 차원으로 승화시킨 표출물이라 하겠다. 1970년 이혼으로 소외를 겪게 되면서, 레이노는 다시 한 번 외부세계의질서를 위험으로 가득차 있는 두렵고 견디기 힘든 것으로 인식한다. 그는스스로를 외부 세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자신의 거주지를 절대적인 순수함이 존재하는 개인만의 요새로 변모시키고 그 속에 칩거한다. 집의 외부는 모든 출입구가 봉쇄된 채 요새와 같이 변모되었고 내부는 하얀 세라믹타일로 전면이 뒤덮인 공간을 형성하게 되었다. 완벽한 무균의 백색공간으로 제시된 레이노의 집은 거주지이자, 예술작품으로서 외부 세계의 충격을완화시킬 수 있는 도피처가 되었다. 그러나 레이노의 태도는 1975년 이후로 초기의 방어적인 입장에서 벗어나 외부 세계를 받아들이고 그 속으로 나아가는 방향으로 변화하게 된다. 누아락 수도원의 스테인드글래스 창문작업을 통해 외부의 요소들을 통해서도 자신이 지향하는 세계를 실현할 수 있음을 깨닫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태도는 외부 세계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대안적 세계에 대한 희망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먼저 기존의 외부 세계와의 차별성은 정신적인 가치를 지향하는 것으로 구체화되었다. 집의 내부는 중세의 수도원처럼 빛을 통해 정신적인 공간으로 변모하였으며, 화분은 빨간색에서 벗어나 금색으로 채색되었다. 정신적인 가치를 지향하는 태도는1993년 집을 파괴시키는 것에서 절정에 달하게 된다. 그것은 집의 물질적인 현존보다는 집을 짓는 과정과 그 속에서 획득할 수 있었던 의미를 더욱중요시하는 것이다. 같은 해 화분을 보호하던 새장을 파괴시키고 화분의여행을 제안한 것도 영원성이라는 가치를 실현하기 위함이었다. 대안적 세계에 대한 희망은 적극적으로 외부 세계 속에 작품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실현되었다. 절대적인 순수와 정신적인 가치의 표상으로서 레이노의 작품들은 자연이나 도시 풍경 등 외부 세계의 요소들과 조화를 이루도록 고안되었다. 작품을 통해 내부 세계와 외부 세계의 조화를 이루려는 시도는 외부 세계의 공포와 불완전함이 정화된 대안적 세계에 대한 희망을 담고 있는 것이다. 레이노는 이상의 방법들을 통해서 한 개인의 내면에 자리하고 있던 강렬한 감정들을 예술작품으로 승화시킴으로써 의사소통의 창구를 열어놓고그 과정 속에서 자기만족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태도를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레이노의 작품에 나타난 자기치유적 특성을 주목하는 입장은 장르를 넘나들며 다양하게 전개되어온 작품 양상을 이해할 수 있는 근본적인입장을 마련하고, 1960년대 이후의 제 미술경향들 속에서 레이노의 독자적인 측면을 인식할 수 있는 한 방향을 제시해줄 것이다. ; This thesis explores the self-therapeutic aspects shown in the work of Jean-Pierre Raynaud(France, 1939 - ). Raynaud implies both concepts of object and architecture in his art, which was a leading trend of 1960 s art movement that proclaimed to combine art and life. Raynaud, however is distinguished from these movements (Nouveau Realisme, Pop Art, Minimalism, and Earth Art) for he considered art as psychological reflections of his personal symbolization into subjects and colors. Therefore, Raynaud s art reflects his personal history and it motivates to heal him by artistic creation. Therapeutic aspects of art were often found in ancient wall paintings and sculptures. This tradition has continued to show up in modern art in order to satisfy artists and viewers unconscious desires. Artists sometimes pretend themselves to be mad or insane for not finding an alternative way to express their unaccomplished desire in real life. They considered art making another source to relieve their desire and ultimately a healing process in a tolerable manner of the society. Raynaud is a typical case of a latter example; his first step into the art world was caused by a personal background. When he was 4 years years old, his father was killed in World War II bombing raid, and Raynaud s childhood was marked by this early trauma. After all in 1961 when he was 22, this trauma pushes him into a nervous breakdown. However, Raynaud overcomes this state of mental disorder, which lasted for more than a year by creating self images as an immortal or repeated depiction of death in his objects. He used the standard commercial products but the basic element of his visual universe was death. This concept enables him to transform the fear of death into a catharsis. Raynaud, therefore is making art as a means of transcending the difficulties of his own personal history into his self healing process. Raynaud s marriage life wasn t such a stable one either. His divorce from his wife in 1970 was another traumatic event that effects his art life. From then, Raynaud once again identifies the world as a dangerous and intolerable place. In order to protect himself from the outer world he changed his house into bunker like place where only himself could enter. The exterior of the house was closed and the interior covered with white square ceramic tiles. Raynaud considered this house as a laboratory, in which he could work and solve deeply personal problems. Square tiles answered the artist s need for perfection of form and provided with a material that lie could use to create a completely sterile onvironment. For him, the immobile serenity of the white tile synthesized all his dreams of the absolute. Since 1975 Raynaud has turned his interests into an outer reality instead of his usual defensive attitude from it. It is due to an inspiration received from an experience making modern stained-glass windows for the Cistercian abbey at Noirlac. With this he could learn how to accept the outer world and accomplish what he wants by using exterior elements. Raynaud didn t take the exterior world just as it was but he proposed with a vision which could mediate between the outer world chaotic and filled with danger - and his own inner world in perfect order and intended the pure. This differentiation with the conventional outer world reflects his longing for the spiritual one. Interior of his house is filled with light like a Gothic church, transcended into a spiritual space, and the color of his pot changed from red to gold. His flowerpots were painted in gold and signified a sacred vase. Raynaud s attitude towards absolute spirituality reaches at. its zenith when lie begins to destroy his house in 1993. It represented that he takes the meaning of constructing the house more important than it s physical existence. In the same year, this concept of infinity was actualized when he suggested the golden pot to travel around the world by breaking down the cage which was covering the pot for a long time. Moreover, working outdoors made it possible for Raynaud to accomplish a vision for another world. He displayed his work in a public place or in nature, and often combines natural and artificial elements into his work of art. Being set outdoors, his art is a representation of pure and spiritual value arranged to harmonize within natural and cultural atmosphere. That is why he uses white tiles not only on the inside of the work but also on the outside of it. Raynaud s suggestion therefore reflects his desire to purify his fear and instability relieved into an alternative world. As a conclusion, Raynaud presented a self-therapeutic characteristic of art by visualizing his internal desire and fear in various artistic methods. The reason why this aspect of Raynaud lies as a crucial role is because it could combine his various styles into one explanation, which is art as healing. this aspect therefore distinguishes Raynaud from all the other post 1960 s art world with an original interpret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