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0 Download: 0

비서직 종사자의 도덕성 발달수준과 직업윤리 의식에 관한 연구

Title
비서직 종사자의 도덕성 발달수준과 직업윤리 의식에 관한 연구
Authors
윤지영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비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급격한 사회환경의 변화로 인해 기업간 국제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도덕성과 윤리적 문제들이 개별 국가의 범위를 초월하여 나타나고 있으며, 국제화 시대의 도덕성과 윤리는 총론적 도덕론이나 당위론의 범위를 벗어나 국제 경쟁력의 성패를 좌우하는 새로운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비서직은 최근 국제화, 정보화, 경영의 전문화로 그 중요성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새로워지고 있으며, 전문직으로서의 고유영역이 확대되어가는 추세에 있다. 조직 구성원 중 특히 비서직 종사자는 기업 등의 조직을 위해 일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상사와 함께 일하는 직무상의 특수성 때문에 더욱 엄격한 도덕성과 직업윤리 의식이 요구된다. 최근 들어 조직 구성원 특히 전문직 종사자들 사이에서는 전문직 윤리강령 등을 제정하는 움직임을 통해 직업윤리 의식 고취를 위해 노력하고 있고, 이에 따라 대부분의 전문직종이 국내에서 윤리강령을 제정하였고, 비서직 등의 경우도 윤리강령의 제정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아래 조직 구성원의 도덕성과 윤리에 관한 연구도 점차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비서직 종사자의 도덕성 수준의 평가와 영향요인, 도덕성과 직업윤리 의식의 관계 연구는 향후 직업윤리 교육이나, 비서 윤리강령 재정을 위한 사전자료로서 의미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서직 종사자의 도덕성 발달수준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도덕성 발달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후, 그러한 도덕성 발달수준과 비서직 종사자의 직업윤리 의식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덕성과 직업윤리 의식에 관한 기존 이론과 선행연구를 통해 연관성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 수도권 및 부산 지역의 국내기업과 외국인 기업 비서직 종사자 142명을 대상으로 1999년 10월 25일부터 11월 8일까지 15일간 시행하였다. 자료분석은 윈도우용 사회과학 통계패키지(SPSSPC V 8.0)를 사용하였다. DIT 검사 항목은 P(%) 점수로 검증하였고, 인구통계변수별 정리를 위해서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각 변수들의 신뢰도와 구성개념 타당성을 측정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각각 실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가설 검증을 위한 분석 기법으로는 집단간의 차이의 유의성을 살펴보기 위해 T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제시된 가설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와의 상관관계 검증 및 확인을 위해 Pearson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가설의 검증결과를 간략하게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 경력, 교육수준이 비서직 종사자의 도덕성 발달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모두 기각되었다. 즉, 연령, 경력, 교육수준은 비서직 종사자의 도덕성 발달 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 경력, 교육수준이 도덕성 발달수준에 영향을 미친다고 밝혀진 기존의 연구결과와 상반되는 것으로, 이는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 연령별 도덕성 발달수준에 중점을 두고 있는 DIT 검사를 비서직 종사자라는 20세 이상의 성인 대상의 연구에 적용했을 때, 연령, 경력, 교육수준에 따른 집단간 차이를 크게 보이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비서직 종사자의 도덕성 발달수준과 직업윤리 의식은 정의 관계를 가진다는 가설도 기각되었다. 즉, 도덕성 발달수준과 직업윤리 의식간의 상관관계 연구에서 모형의 설명력이 유의미성을 갖지 못하였다. 이는 도덕성 발달수준과 직업윤리 의식에 관한 선행 연구의 부재로 충분한 실증연구의 검토가 이루어 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덕성 발달수준을 나타내는 요언을 P(%) 점수 하나로 한정하여 직업윤리 의식과의 관계에 관한 경로분석이 실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도덕발달수준의 요인으로 P(%) 점수를 포함한 2개 이상의 요인이 선정되어야 한다. 기존 이론, 연구모형의 설정, 표본의 구성, 측정도구둥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제시할 수 있는 시사점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주로 신학과 철학의 분야로만 인식되고 있는 도덕성과 윤리의 문제를 검증 가능한 사회과학의 영역에서 다루었다는 의의를 들 수 있으며, 비서직 직종의 도덕성 발달수준과 직업윤리 의식에 관한 실증연구라는 점이다. 둘째, 비서직 종사자들의 도덕성 발달수준의 검사 결과, 무의미한 문항의 응답자들이 과반수 이상인 것에서 도덕성과 윤리 의식 교육을 통한 충분한 개념 형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 도덕성 및 직업윤리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비서직 종사자의 연령, 경력, 교육수준별 도덕성과 윤리 의식이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결과의 연구를 통해 비서의 직업윤리교육을 위한 사전 자료의 역할을 할 것이며, 제정중인 비서 윤리강령에도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measure the moral development stages connected with secretaries age, experience, and education, (2)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ral development stages and business ethic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research approaches. In the first approach, the secretaries moral development stages concerning their age, experience, and education, in view of Kohlberg s Moral Development theory, were examined through Rest s DIT(Defining Issues Test). In the second approac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ral development stages and the business ethics was conducted The major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found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cretaries moral development stages and their age, experience, and education. In other words, secretaries judge the moral issues with no regard of their age, experience, and education. Second, secretaries moral development stages do not have any correlation with business ethics. For the analysis, business ethics were classified as moral equity, relativism, contractualism. In conclusion, this study attempts to find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e area of moral development and business ethics providing a basis for further stud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