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혜령-
dc.creator김혜령-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3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1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355-
dc.description.abstract탈냉전시대에 사는 오늘날의 현대인들은 주체 수정이나 주체 해체와 같은 말들을 아주 자연스레 받아들인다. 보편성과 동일성을 지향하는 근대적 주체성의 폭력을 익히 경험한 탓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주체로 서 본 경험을 해보지 못한 변두리의 사람들에게 무턱대고 주체 해체를 똑같이 강요하는 일은 너무나도 위험하다. 이미 그들의 삶이 권력의 중심에 서 있는 자들에 의해 강제적으로 해체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들에게는 주체됨의 경험이 여전히 소중하다. 바로 그 점을 염두에 두기 때문에, 이 논문은 주체로 서는 경험을 면밀하게 밝히는 칸트 철학에 호의적인 태도로 접근한다. 그런데 이 논문은 곧장 칸트 연구로 나아가지 않고, 전통 존재론으로 멀리 돌아 나가는 길을 택했다. 칸트의 주체물음을 근대적 지평에 국한하여 보지 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사유의 주체성을 확립하려는 칸트의 분명한 목표의식이 저 밖의 초월적 이데아의 세계에 사유의 주도권을 내어주는 전통 존재론에 대한 비판에서 나올 수 있었음을 이 논문은 짚고 넘어간다. 그리고 나서야 칸트 인식론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로 나선다. 칸트는 경험을 잣대 삼아 사유의 대상을 크게 둘로 나눈다. 우선 경험될 수 있는 것에 대한 사유를 인식이라고 정의한다. 반면에 결코 경험될 수 없는 것에 대한 사유를 단지 생각이라고 정의한다. 『순수이성비판』의 감성론과 분석론이 바로 경험될 수 있는 것에 대한 사유, 즉 인식의 과정을 밝히는 연구다. 칸트는 사람의 감성이 시간과 공간이라는 선천적 직관 형식에 따라 인식 대상을 제 나름대로 수용한다고 강조한다. 전통적으로 인식과정에서 배제되어 왔던 경험의 역할을 수정하여, 경험을 인식과정을 여는 첫 단계로 인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칸트에게도 인식은 어디까지나 잡다한 감각적 직관들을 종합하고 통일하는 지성 몫이다. 그는 지성이 선천적으로 종합과 통일을 주도하는 데 사용하는 범주를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음을 강조한다. 이는 인식의 보편성을 저 밖의 초월적 이데아의 이끌림에 근거하지 않고, 오로지 사람의 지성의 능력으로 확보하겠다는 주체적 태도를 칸트가 강력하게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어쨌든 칸트는 범주의 선천성을 강조하는 일을 통해서 사람을 능동적으로 객관적인 인식을 생산하는 주체로 세운다. 변증론에서 칸트는 경험될 수 없는 것들에 대한 우리의 인식들이 사변이성의 이율배반에서 초래되었음을 우선적으로 밝힌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이성의 생각하는 능력 자체를 쓸모 없는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 오히려 이성의 추리능력이야말로 개별적인 인식들을 보다 높은 보편성으로 고양시키는 중요한 능력으로 평가한다. 이를 위해 칸트는 이성에게 무제약자에 대한 개념이 선천적으로 주어져 있다고 강조하고, 이를 선험적 이념이라고 부른다. 이성이 선험적 이념을 푯대 삼아 개별적 인식들을 하나의 논리적인 체계로 주체적으로 엮어낸다고 칸트는 주장한다. 이를 통해 사람이 인식의 당당한 주체에 머물지 않고 생각의 겸손한 주체로 설 수 있음을 선언하는 것이다. 결국 칸트는 사람의 인식능력과 생각능력에서 사람 밖으로부터의 그 어떠한 이끌림도 거부한다. 하나님의 존재를 사람의 사유과정에서 지워버렸다는 말이다. 그러나 이 논문은 다만 칸트 연구에서 멈추지 않는다. 인간 실존을 깊게 파고든 탐욕 혹은 자기애로서의 죄가 우리로 하여금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사유로 나아가는 것을 방해해고 있음을 의식하기 때문이다. 칸트는 너무나도 인간의 사유능력을 낙관한다. 비록 어거스틴이 근본적으로 사람을 사유의 주체로 세우는 칸트의 인식론과 맥을 같이하여 상당히 많은 유사한 개념들을 보여준다고 하더라도, 그는 하나님의 조명에 의한 죄사함 없이는 인간이 바른 지식과 지혜에 이를 수 없음을 강조한다. 칸트가 사유과정에서 하나님을 지워냄으로써 사람을 [홀로-사유하는-주체]로 세운 것에 비해, 어거스틴은 사람을 [하나님과 함께-사유하는-주체]로 세운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칸트의 홀로-주체가 결국 필연적으로 취할 수밖에 없는 오만함을 하나님과 함께 주체됨을 말하는 기독교의 서로-주체 개념으로 극복하고자 한다. ; From the point of the western transcendent ontological view based on Plato, the process of thinking is led by transcendent ideas or God as a transcendent being. It means that people before the modern time didn t have the self-identity as thinking subjects. The absence of the subjective self-identity caused not only the political obedience to the Catholic Church and the despotic monarchism, but also the serious ignorance of nature. Affected from Descartes who had thought up "Cogito ergo sum" enough strong to subvert the transcendent philosophical paradigm founded on ontology, Great Modernist Kant creates a human-centered epistemology in order to build the modern thinking subjectivity. In other hand, he was strongly attracted by empiricism, especially Hume who he respected as a teacher awaking him from a day-dream of arbitrary transcendent metaphysics on Prolegomena, however. As a result of that, he comes to insist on the important role of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cognition(erkennen) which is different from wild-meaning thinking(denken). For our more understanding, Kant separated cognition and knowledge(wissen) from thinking. The former means the concept of phenomenal objects which could be formed by experience through sensibility. But the latter is thinking of noumenon which could be never experienced. Eventually, Kant gives us the boundary of cognition, so it had created a epistemological foundation of empirical sciences, which could develope the techniques to improve the surrounding of our life suffering from violence of nature. In Transcendental Aesthetic, the first part of Critique of Pure Reason, Kant offers the object-acceptability of sensibility with two pure forms of sensible intuition, space and time, given a priori. Then, in the Analytic of Concepts, he refers to the understanding that subjectively produces concepts, very exactly called cognitions, with the 12 categories given a priori in it. In short, Kant thinks that the understanding is both to re-imagine variant sensible intuitions from experiences and to synthesize them and to unite for a cognition. Overall, his epistemology makes a person the subject of cognition. Kant also demonstrates the reason which is thinking ability about something - Freedom, the immortality of the soul, God - out of experience. According to Transcendental Dialectic, the reason is never able to get any cognitions about all three of them and their existences. It can only think them because they also are given a priori as transcendental ideals. However, it is extremely important that they are necessary to deduce a universal knowledge from variant individual cognitions. Upon the apriority of Ideals, he again stands a person as the subject of knowledge. To make a result of Critique of Pure Reason, Kant arranges the modern subjectivity of thinking, including both cognition and knowledge. And his epistemology encouraged developments of empir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It means the technical situation of our life has been improved. But, from the point of theological view, Kant s epistemology misses a very crucial thing, that is the operating power behind the process of thinking. Taking contributions of Marxism and post-modernism which are teach us the diverse cognitive views, we know that absolute universality and objectivity of thinking are impossible due to the invisible power to limit individual thinking. Augustine expresses it as the free will. To explain more, he thinks people with the free will face to the fork of a road, one for virtuous cognition and knowledge and the other for vicious. It s now optimistic that people choose to go to the right way, however. This is the reason that even though we have the free will, all people full of selfish greed and cupidity must go to the evil way rather than to the good. Augustine defines it is the original sin that Christianity has taught from the Mother Church, Not becoming free from the sin, people cannot get the right and virtuous cognition and knowledge. However, he does no give up to get them because he believes on the grace of God to forgive the sin and the light of God to lead the understanding and reason into the good. We find Augustinian epistemology shows main concepts and the process of science(scientia) and wisdom(sapientia) as similar as Kantian does them of cognition and knowledge. But, there is a very different thing although two epistemologies have a lot of similarities. Augustine stands people as thinking-subjects led by God. In contrast, Kant insists that people stand as thinking-subjects for themselves, without any help of God. Therefore, we can say that the latter reaches the exclusive subjectivity, but the former does the mutual subjectiv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ii I. 서론 = 1 1. 연구목적 = 1 2. 연구 범위와 글의 구성 = 6 II. 전통 존재론 : 존재가 사유를 이끈다 = 8 III. 칸트의 사유 주체 : 사유가 존재를 이끈다 = 13 I. 인식의 주체 = 13 A. 인식의 과정에서 경험의 제 자리 찾기 = 14 (1) 경험론과 칸트 = 15 (2) 경험의 제 자리 찾기 : 감성의 능동적 수용 = 19 a. 모든 인식은 경험과 함께 시작된다 = 19 b. 인식이 경험으로부터 생겨나는 것은 아니다 = 21 B. 인식 주체로 [나] 세우기 = 27 (1) 데카르트의 무능력한 [나-의식] = 27 (2) 칸트의 [나-의식]과 인식 주체 = 32 C. 존재를 주도하는 사람의 사유 = 37 (1) 지성에 의해 능동적으로 생산된 인식 대상 = 43 (2) 선천적으로 획득된 지성의 순수 개념들 = 42 2. 생각의 주체 = 51 A. 인식의 체계를 세우는 사변이성 = 53 B. 선험적 이념들 = 57 C. 이성의 월권에 대한 경고 = 61 (1) 절대적 자아의 객관적 실재를 주장하는 것은 오류추리에서 비롯된다 = 63 (2) 전체로서의 세계를 인식의 대상으로 삼는 일은 곧 이율배반에 빠진다 = 65 (3) 신 존재증명이란 불가능하다 = 71 IV. 하나님 없는 사유 주체에 대한 신학적 고찰 = 78 1. 칸트의 인식론과 어거스틴 인식론 = 80 A. 경험 인식-지식의 생산과정 = 81 B. 하나님의 조명과 지혜, 그리고 죄의 문제 = 87 2. 그리스도 : [서로-주체]로 세우시는 사건 = 91 V. 결론 = 97 참고문헌 = 101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84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근대 사유 주체에 대한 신학적 고찰 :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