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원혜진-
dc.creator원혜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5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1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550-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도자 예술에 있어서 다양해진 표현 방법 속에 예술가는 자신의 주관과 상상으로 대상의 내면성을 주시하고 조형적 요소를 추출하여 새로운 예술 세계를 창출해 왔다. 특히 자연은 인간에게 있어 삶의 장이며 인간으로 하여금 예술 활동의 장을 만들어주고 자연의 아름다움을 추구하여, 예술가들의 조형의지에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 내는 근원이 되어왔다. 인간은 자연의 일부로 더불어 살고 싶은 욕구와 함께 자연으로 회귀하려는 본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자연에서 지구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바다가 주는 파도의 이미지를 생활과 접목시켜 작가의 상상과 체험을 토대로 파도의 조형성을 Table에 담아 실생활 속에 정서적인 기여를 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주거공간의 한 부분으로 거실의 Table이 갖는 의미를 인식하고 생활 속에 자연친화적인 새로운 조형도자 Table을 독창적으로 표현하고 실내장식에 있어 개성적인 장식성을 지닌 예술작품으로 Table을 연구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바람의 힘에 의해 생겨나는 파도가 주는 속도감에 의한 긴장감과 부드러운 율동적인 이미지를 집약해 변화 있는 파도의 유형을 고찰하고 파도를 주제로 한 조형사례를 살펴보았다. 또한 Table이 지닌 개념과 일상생활에서의 용도와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국내외의 도자 조형 Table 작품의 사례를 수집하여 다양성을 사진으로 제시하고 연구하였다. 작품제작에 있어 작품 4, 5, 8, 10은 파도의 운동감과 자유로움을 표현하는데 반복제작이 용이한 석고틀을 이용하여 이장주입성형을 하였고 태토는 백색토가 뛰어난 Super-White를 사용하여 slip으로 만들어 제작하였다. 작품 10은 Super-White 자체의 백색을 이용하기 위해 무유로 표현하였다. 작품 1, 2, 3, 6, 7, 9는 석기질 점토를 이용하여 판성형, 타렴성형, 가압성형, 물레성형을 하고 색유로 분무시유하였다. 소성은 0.3㎥ 도염식 가스가마에서 마침온도 900℃로 7시간 1차소성 하였고, 2차소성은 마침온도 1250℃로 11시간 산화염 소성을 하였다. 파도의 이미지를 도제 Table에 적용하여 조형성과 기능성을 부여함으로써 주거공간에 실용성과 장식성을 지닌 조형물의 개념으로 변화시키고자 하였고 인간이 지니는 상상과 감성을 파도의 이미지와 접목시켜 작가 내면의 예술성을 조형매체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For many centuries there are variable expressional methods in the arena of the ceramic art and artists have been created new methods by observing the inside of an subject with his own eyes and imagination and abstracting the modeling element from it. The nature has been the major source of this cerative activity because it is the stage not only of human life but also of the art and artists have a desire to express the beauty of the nature by making more developed forms of expression in this field. Human have a desire to live in the nature and an instinet return to the nature, also. In the point of view that more than half of this nature is covered with sea, the author try to join the lines of the wave of the sea on daily life and give emotional effects in the real daily life by incorporating the molding element of the wave in the table on the basis of author s experience and imagination. The author recognized the role of the table in the living room as a part of the housing system and made a new pro-natural ceramic tables originally and study them as an art that have a characteristic capability of ornament in the interior decoration. In this study, the author observed the tension made by the sense of speed of the wave which is formed by the wind in the sea, concentrated it to smooth rhythmical lines and made forms of the variable wave structures. I found the meaning of the table such as the usefulness and the sorts of it in the daily life, gathered examples of the ceramic tables and show the variable expressional ways through the pictures of them in this article. In manufacturing the actual works, the work number 3, 4, 5, 6, 8 which made on the bases of the free motion of the wave by using the slipcasting method by whitemoldthat easy to use repeatedly. In using art clay the stone clay in used on the coiling technique and works 3, 4 is super-white of Goryodo to and Milyang white dayis used on the slipcasting method by the proportion of 1:1. Works No. 5, 6, 8 made of white slip itself only using the superwhite. Works 1, 2, 7, 8, 10 is copper colors glaze were used by using the stone clay. As to the burning, the first burning lasted for seven hours toward 900℃ within a gaskiln of 0.3㎥, and the second burning lasted for eleven hours toward 1250℃ within a gas kiln of 0.3㎥ size. In this study, the author try to adjoin the flow image of the wave to the ceramic tables with molding ability and the functionalsm and change them to terms of works that have the utility and ornamentality. The author hopes that this works of variable ceramic tables which are adjoined with subjects in nature will be developed as a constituent of beauty that sublimate our living environment one step forwar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1. 서론 = 1 1.1 연구목적 = 1 1.2 연구내용 및 방법 = 1 2. 자연과 예술 = 3 2.1 자연과 조형예술 = 3 2.2 파도의 유형 = 4 2.3 파도를 주제로 한 도자조형 사례 = 10 3. 테이블에 대한 고찰 = 15 3.1 테이블의 개념과 용도 = 15 3.2 테이블의 유형(종류) 및 특성 = 17 3.3 테이블에 대한 도자작품사례 = 18 4. 작품제작 및 해설 = 25 4.1 작품의 조형과정 = 25 4.2 제작과정 및 해설 = 38 4.3 작품해설 = 41 5. 결론 = 61 참고문헌 = 62 ABSTRACT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3935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파도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한 도자테이블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도자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