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연경-
dc.creator이연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8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1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1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116-
dc.description.abstractThe teacher’s main role in foreign language teaching is an instructional designer in a language curriculum as well as a guide or a facilitator in a classroom activity. There are lots of obstacles to teach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such as the lack of nationwide official curriculum of Korean, the variety of the target learners, and the cultural deviation in location or country where the lessons are given, and so on. In spite of its importance, teaching Korean in endless effort by systematic design of the Korean lessons and its relevant research are given not so much of atten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proving how efficient and successful it is to design Korean instructions systemically as a method of effective Korean language teaching among the various factors. The instructional design of Korean is considered as the part of Korean curriculum, which contains a broad description of general goals, including developing, implicating and evaluation Korean programs. In order to achieve the efficiency in Korean programs, the followings were discussed. 1. What are curriculum and syllabus in Korean programs? 2. In what way is the instructional design of Korean related to the curriculum? 3. How can teachers of Korean design a program systematically? The three models of Korean presented this study are the negotiated syllabus, the proportional approach, and the fully developed proportional model to course design, based on Yalden (1983) and are applied to Korean programs. However it is teacher’ duty in whole to select and adjust an instruction model to their students’ needs. This study examples a systematic instructional design of ETA training program. It shows how a Korean teacher develops the goals of the program, selects the contents, prepares the classroom activities, and evaluates the program. Although this systematic lesson design process is not verified yet, this example gives some tips to Korean teachers who struggle to manage the class with a variety a variety of students’ needs. ; 교사가 교실에서 수업을 진행하고 학생 활동시에 안내자 및 촉진자의 역할을 하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학습자의 수준이나 요구에 맞는 수업을 설계하는 것이다. 외국어로써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는 공식적인 교육과정의 부재, 대상 학습자의 다양성, 교육되는 국가나 장소의 문화적 차이 등으로 인해 교사의 수업설계가 더욱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수업 설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체제적인 수업 설계를 통한 한국어 교육이나 그것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듯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다양한 변인이 존재하는 한국어 교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체제적인 수업 설계의 활용을 제안하려 한다. 본고는 수업 설계를 교사가 실천하는 수준의 교육과정으로 보는 견해를 취한다. 이 견해에 따라 교육과정의 개념과 수준별 구분에 대한 개괄적인 정리를 하고, 다음으로 수업 설계시에 고려해야할 사항들을 살펴보았다. 교사가 성공적인 수업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요구를 분석하여 목표를 도출하고 이에 따라 체제적으로 수업 활동을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업 체제를 계발하는 단계는 Leshin, Pollock & Reigeluth(1992)에 의하면 요구분석, 내용의 선정과 계열화, 수업 계발, 수업매체 선정과 평가의 순서를 따른다고 보았다. 이에 비해 Reiser와 Dick(1998)은 수업 목적 확인, 수업 목표 확인, 수업활동 설계, 수업 매체 선정, 평가 도구 개발, 수업 실행과 수업 수정이라는 순환적인 순서를 따르면 교사는 보다 쉽고도 효과적인 수업 설계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또한 권낙원(1989)은 4단계의 체제적 수업 설계과정을 설정하였는데, 첫 번째 단계는 수업 프로그램의 설정단계이고 두 번째 단계는 수업설계 모형의 선정단계이다. 세 번째 단계는 프로그램의 계획 단계이고 마지막 단계는 수업의 평가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관계중심 수업 모형, 비례적 수업 모형, 균형적 수업모형이라는 3가지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 이것을 한국어 수업설계에 이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효율적인 한국어 수업을 위해서 교사는 상황과 학생의 능력 수준에 적합한 많은 모형들을 창안할 수 있고 기존의 모형들을 모방, 개조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교사는 어떤 수업모형이 가장 바람직한가를 판단하고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논의했던 수업설계의 실제 예를 하나로 들어 한국어 수업 프로그램의 설정, 계획, 실행과 수정의 체제적인 과정을 보임으로써 이러한 체제적인 수업설계가 얼마나 효율적일 수 있는지 보였다. 이러한 체제적인 한국어 수업설계를 경험적으로 검증하지 못한 한계점을 지니고 있기는 하지만 본고는 교사들이 체제적으로 한국어 수업을 설계하게 되면 보다 효율적으로 한국어 수업을 성공시킬 수 있는 지침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한국어 교육 연구사 = 4 C. 연구방법 = 8 Ⅱ. 교육과정과 한국어 교육 = 11 A. 개념 정의 = 11 B. 교육과정 이론의 발달과정 = 13 C. 교육과정 개념의 수준별 구분 = 18 D. 한국어 교육과정 = 22 Ⅲ. 체제적인 수업 설계와 모형별 한국어 교육 = 27 A. 학습자 중심의 수업설계 = 27 B. 체제적인 수업설계 과정 = 30 C. 한국어 수업모형 = 40 Ⅳ. 한국어 수업 설계의 실제 = 56 A. 수업 프로그램 설정 = 56 B. 수업 프로그램의 계획 = 60 C. 수업 실행과 수정 = 70 Ⅴ. 결론 및 제언 = 74 참고문헌 = 77 부록 = 82 ABSTRACT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802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어 수업 설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