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민정-
dc.creator황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8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1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1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115-
dc.description.abstract한국의 고대문헌에는 용에 관련된 기사가 상당수 전한다. 상상의 존재인 용은 중국과 동남아시아 문화권에서 하늘을 날 수 있고 강우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神으로서 숭배되었는데, 고대사회의 특성상 그러한 용의 신성은 제왕과 필연적으로 결부되어 왕은 종종 용과 동일시되었다. 한국 고대사회에서도 건국신화 이래 용의 관련된 기록이 많고, 특히 고대사회의 발전과정에서 중요한 시점에 종종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상대적으로 한국 고대사회에서 용 신앙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관심은 미약했었다. 무엇보다도 역사학에서의 연구가 부족했던 점이 부각되었기 때문에, 역사학적 접근을 통해 그 성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먼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소재 용 기사를 분석 · 분류하여 용의 성격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삼국사기』의 용은 예시적 성격이 우세하며, 『삼국유사』의 용은 불교적 성격이 우세하였다. 그런데 용의 예시적 성격은 다른 고문헌들에서도 나타나며, 고려와 조선의 건국시조신화에 그 기능이 이어지고 있음을 보았다. 『삼국유사』의 용은 크게 건국신화계와 불교계로 나뉘는데, 불교계보다 건국신화계가 시기적으로 앞서기 때문에 호법 · 호국룡 때문에 고대사회의 용을 전적으로 불교적인 존재로 간주하는 견해가 옳지 못하다는 사실을 밝혔다. 보다 구체적인 사례로 신라와 백제에서는 고대사회의 발전과정에서 용 신앙이 일정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신라는 中古期 왕실의 왕권강화의 상징인 황룡사의 창건연기에 용이 결부되며, 중대 무열왕권이 왕권을 신성화하는 사상적 뒷받침이 되어 주었다. 문무왕이 죽어서 동해바다를 지키는 용이 되었다는 만파식적조의 기사는 불교에서 축생에 불과한 용의 권위를 빌려 왕실의 신성함을 강조하였다는 고대사회에서의 용신의 권위를 상대적으로 증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불교 전래 이전부터 있어왔던 용 신앙이『삼국유사』의 기사처럼 불교에 전적으로 융화되거나 복속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용신의 신성을 빌려 왕권강화의 사상적 배경으로 이용하는 것은 백제에서도 보인다. 백제에서는 사비시대 이후 부여계 부족의 공통시조인 동명을 모시는 동명묘 제사 대신 왕실종묘의 성격을 갖는 仇台廟 제사를 강화하는데, 사서에 기록되지 않는 백제의 시조신화를 동명신화로 보고, 무왕의 왕권강화과정에서 부여계의 여타 귀족세력과의 차별성을 부각하는 동시에 마한세력의 융합을 통해 보다 독자적인 사상적 배경을 갖추려한데서 마한지역의 ‘夜來者設話’를 수용하여 새로운 백제계 신화를 생성한 것으로 보았다. 그것이 『삼국유사』의 무왕조와 견훤조의 내용이며 고구려, 신라와는 달리 왕의 부계로 용이 설정된다는 특징이 있었다. ; The records about Yong in Korean ancient texts is handed down in large numbers. The fabulous being, Yong was worshiped in Chinese and Southeast Asian cultural area, as he was the deity to fly in the air and control raining. For the feature of old societies, the divinity of Yong related necessarily with King as made the two identified. In national foundation myths as well, there is also many records about Yong in other ancient texts. Especially in an import situation when ancient states were growing, he often appears not much. Of all things, because few studies in historical science are brought to the fore, in this paper I purposed to grasp its features through historical approach. For this purpose, above all I analyzed and classified the records of the Yongs in Sam-Kuk-Sa-KI(三國史記) AND Sam-Kuk-Sa-KI(三國史記) and investigated the features of them. As the result of that, Found that the Yongs in Sam-Kuk-Sa-KI are sign, and the Yongs in Sam-Kuk-Sa are similar in Buddhism. Now, the indication feature of Yongs appears in other old texts and that functions got connected to the national foundation and founder myths of Corea and Chosun. The Yongs in Sam-Kuk-Sa are roughly classified into two, in Buddhist narratives and in national foundation myths. It is not correct that the Yongs at ancient society is wholly regarded Buddhist beings for the features of Nation-guardian and Constitution-guardian Yong. Because the Yong in national foundation myths precedes Buddhist Yong appearing. As more concrete case, the Yong-Cult played regular parts in the process of ancient states growth in silla and Baek-Je. That is, among the meddle ages of Silla dynasty, in the period of founding Hwang-Yong-Sa(黃龍寺), the symbol of king s authority power related with Yong and the royal power of the King Mu-Yul formed the thought background of sanctifying king s authority. The record that the King Mun-Mu died to be Yong proves it, yong is relatively to have the authority at ancient societies that emphasized the divinity of royal family with the help of Yong s authority, merely an animal in Buddhism. This fact tells us that the Yong-Cult existing befor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didn t integrate or absorb wholly into Buddhism. It appears in Baek-Je to use Yong s divinity as a thought background of building up royal authority. It Baek-Je after the Sa-Bi period, instead of Dong-Myung-Myo[東明廟] rite that deify Dong-Myung the common founder of Pu-Yeo tribes, Ku-Tae-Myo[仇台廟] rite taken on the enshrinement of royal ancestors was firmed up. The founder myth of Baek-Je not to record in a history was regarded as Dong-Myung myth. The distinction from other aristocratic powers is brought into relief in the process of strengthening Mu king s authorities, and besides, Baek-Je intended to have peculiar thought background to themselves through the absorption of Ma-Han s power. That is why they was receptive to Ya-Rae-Ja(夜來者) narrative in Ma-Han region and created new Baek-Je myth. This is a feature in the Mu dynasty and the Kyun-Hwuen, and the Yong is established as the patrilineage of king unlike Ko-Ku-Ryu and Sill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 1 Ⅱ. 한국 고대문헌에 나타난 용 기사의 성격 = 9 A. 「三國史記」소재 용 기사의 분석 = 9 B. 「三國遺事」소재 용 기사의 분류 = 17 C. 한국 고대문헌에 나타난 용 신앙의 의미 = 28 Ⅲ. 한국 고대 사회에서의 용 신앙의 성격 = 31 A. 신라의 전제왕권과 용 신앙 = 31 B. 백제 왕권의 부흥과 용 신앙 = 42 Ⅳ. 결론 = 51 참고문헌 = 53 ABSTRACT =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624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 고대사회의 용 신앙 연구 : 삼국사기,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