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희-
dc.creator김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7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1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1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110-
dc.description.abstract한국어 대우법은 한국의 사회와 문화를 가장 많이 반영하는 한국어의 특징적인 현상 중의 하나이다. 대우법을 통해 사회적인 인간관계를 파악할 수 있고 적절한 대우법을 사용함으로써 적절한 자신의 사회적인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한국어를 제2언어 또는 외국어로 배우는 외국인에게는 이러한 대우법의 특성을 잘 파악하여 올바르게 사용을 하는 것이 그들의 한국어 의사소통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나이가 많거나 적은 사람에게 자신을 낮추거나 높이고, 잘 모르는 사이나 잘 알고 있는 사이에서 적절한 대우법을 사용하는 것이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의 한국사회에 대한 이해정도를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대우법의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청자대우, 주체대우 및 객체대우를 사회적 관계인 상하관계(上下關係) 및 친소관계(親疎關係)와 함께 고려하고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대우법에 대한 이해능력을 조사하였다. 한국어 대우법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우법에 관한 문헌들을 살펴보았다. 대우법을 사회적인 관계 안에서 연구한 문헌들을 살펴보고 청자대우, 주체대우 및 객체대우의 특성과 기능에 대하여 앞선 연구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이 사회적인 인간관계와 더불어 대우법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 조사와 평가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의 언어권, 연령, 거주기간 및 학습목적 등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를 평가지에 첨부하여 제시하였는데 이는 대우법의 이해능력이 사회적인 요인과 어떻게 관련되는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었다. 이 조사 결과를 통해 언어권, 연령 및 학습기간은 대우법의 이해능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는 못하지만 거주기간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거주기간이 길어질수록 대우법의 이해능력이 높을 것이라는 일반적인 추측과는 달리 대우법을 배우는 시기에 가장 이해능력이 높았기 때문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대우법에서 지속적인 교사의 지도가 요구된다고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언어권, 연령, 거주기간 및 학습목적과 같은 사회적 요인에 따른 분석뿐만 아니라 각 대우법 항목의 평균에 대한 기술적 통계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친소관계에 대한 이해가 상하관계에 대한 이해보다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청자대우, 주체대우 및 객체대우에 대한 이해능력은 객체대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외국어로서 한국어 대우법 교육에서 친소관계에 대한 사회적인 이해를 더욱 강화시켜야할 것으로 본다. 또한 객체대우에 대한 효과적인 교수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본 논문은 외국인을 대상으로 대우법의 이해능력에 대하여 연구 조사를 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대우법의 효과적인 지도방향을 제시하였다. ; Korean honorific forms of speech are one of the peculiar and critical part of Korean language which reflects Korean culture and society. With honorific forms of speech, Koreans express their relative social position and gain an understanding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Foreigners who learn Korean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acquire complete communicative competence only after they understand how to use various forms of speech that mark the relative social distance between the speaker and the audience. This study is about the KSFL(Korean as a Second/Foreign Language) learner s comprehension ability of Korean honorific forms of speech, in regard to elevation of the hearer, subject, and object in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dimension. Variations in comprehension ability of Korean honorific forms of speech were also analyzed in relation to four social factors: mother tongue, age, residence term, and studying purpose.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evaluate the usage of Korean honorific forms of speech depending on hearer, subject and object elev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rehension of horizontal relationships is worse than that of vertical relationships. Second,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indicate object elevation is not as good as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indicate hearer and subject elev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ing Korean honorific forms of speech to foreigners should focus on demonstrating the importance of social relationships. Second, teaching object elevation is essential to effective learning of honorific forms of speec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i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의의 = 1 B. 연구범위 = 3 Ⅱ. 대우법에 대한 문헌 연구 = 4 A. 대우법의 사회적 관계에 관한 연구 = 6 B. 청자대우의 등급구분에 관한 연구 = 11 C. 주체대우의 대상과 ‘-(으)시-’에 관한 연구 = 19 D. 객체대우에 관한 연구 = 24 Ⅲ. 한국어 학습자의 대우법 이해능력 조사 연구 = 27 A. 조사의 목적 = 27 B. 조사의 대상 및 방법 = 27 C. 대우법 이해능력 평가실험 = 31 D. 평가지 작성의 근거 및 주안점(유의 사항) = 32 E. 조사 결과의 분석 및 검토 = 38 F. 결과요약 = 50 Ⅳ. 결론 = 53 참 고 문 헌 = 55 Abstract = 58 부 록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433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대우법 이해능력 조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