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형옥-
dc.creator정형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7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1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1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10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고학력 여성의 취업문제가 날로 심화되어 가는 상황에서 취업난을 해결하는 하나의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하향취업’이 고학력 여성의 고용문제를 해결하는 근본적인 대안이 되지 못함을 밝히고자 했다. 고학력 여성들은 해마다 심각한 취업난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눈높이를 낮추어 일자리를 찾으라’라는 하향취업에 대한 권고가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목소리는 취업난이 심화될수록 더욱 커지고, 실제적으로 많은 고학력 여성들이 취업난을 해결하는 개인적인 전략으로 하향취업을 받아들이고 있다. 그러나 고학력 여성들의 노동시장에서의 지위는 나아지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여성의 경우 학력이 높아질수록 경제활동참가율의 성별격차가 커지고 노동시장 이탈율도 높아진다. 이에 본 연구는 낮은 취업률에서부터 높은 노동시장이탈에 이르는 고학력 여성의 고용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향취업이라는 학력과 불일치하는 노동경험을 살펴보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향취업은 학력과 불일치하는 노동을 전제로 한 것이기 때문에 긍정적인 고용경력을 쌓는 것을 방해하여 노동시장이탈을 불러오므로 고학력 여성의 고용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이 될 수 없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하는 중상위권 세 대학의 1995년 신문방송학과 남녀졸업생의 취업경로를 추적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학력 여성들의 핵심노동시장에 대한 빠른 현실적 포기는 성차별적 노동시장구조에 대한 간파와 대졸신입사원 공채시의 제도화된 ‘연령제한’에서 비롯된다. 둘째, 고학력 여성들은 직간접적인 구직활동을 통해 성에 의한 고용차별을 경험하면서 학력가치를 포기하지 않고서는 노동시장 진입자체가 어렵다는 것을 깨닫고 하향취업을 받아들이게 된다. 이 과정에서 기업의 여성채용인원제한과 공식/비공식적인 연령제한은 여성들의 핵심노동시장 진출에 대한 현실적 포기를 강제하는 실제적인 영향력을 발휘한다. 셋째, 하향취업한 고학력 여성들은 불만족스러운 업무와 임금 등 열악한 노동조건에서 일하면서 일상적으로 고학력자로서의 정체성을 위협받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발생하는 심각한 노동문제는 더 이상 노동을 지속하기 어려울 정도로 갈등을 심화시킨다. 그로 인해 여성들은 일상적인 고용불안을 경험하게 된다. 넷째, 하향취업은 잦은 이직을 불러오고, 잦은 이직은 나이와 경력의 불일치 현상을 가져온다. 그 결과 하향취업한 고학력 여성들은 높은 이직율이라는 부정적인 고용경력을 갖게 되어 노동시장에서 더욱 주변화되거나, 노동시장을 이탈하게 된다. 부정적인 고용경력을 소유한 고학력 여성에게 남아있는 취업의 가능성은 또다른 하향취업이나 교육기간연장 또는 결혼을 통한 비경제활동인구화 뿐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하향취업이 낮은 취업률에서 높은 노동시장이탈로 이어지는 고학력 여성의 고용문제를 해결하는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오히려 노동시장진입 초기의 하향취업은 부정적인 고용경력을 형성하게 하여 노동시장 주변화를 가속화할 뿐이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고학력 여성의 취업난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인 관심이 단지 취업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 뿐만아니라 취업의 질을 담보하여 긍정적인 고용경력을 쌓을 수 있도록 해야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모집·채용과정의 성차별을 제거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안을 제시한다. 첫째, 기업은 대졸신입사원 공채에 있어서의 연령제한과 여성채용인원제한을 폐지하고, 채용의 전과정을 공개하여 어떠한 기준에 의해 누가 채용되었는가를 밝혀야 한다. 둘째, 정부는 성차별적인 고용관행을 규제할 수 있는 법을 강화하고 이러한 법이 철저하게 시행될 수 있도록 해당 법적기구의 권한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여성운동의 차원에서는 고학력 여성실업자를 조직화하고 모집 · 채용상의 성차별적 행위를 감시, 고발하는데 힘써야 한다. ;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in order to pointing out that downward employment, which is increasingly being regarded as a way out of the serious job deficit for high-educated women, is not a fundamental solution to their employment problems. Each year, high-educated women come upon grave job shortage and the advice most often given to them is ‘lower your standard’, namely downward employment. Such advice gains more power as the employment situation becomes worse, and there actually are many women who accept it as a personal strategy to survive in this competitive society. But the fact remains that the status of high-educated women in the labor market is not getting any better. On the contrary, the higher the educational level, the wider the gender gap in the economic participation rate, and the retirement rate as well. This research started out with the awareness that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high-educated women’s employment such as the low rate of employment and high rate of retirement, it is crucial to deal with downward employment, in which women have working experiences that are in discordance with their educational level, It is the main point of this research that downward employment impeding long-term accumulation of job career and accelerating retirement from the labor market, can’t be a fundamental solution to the problems of high-educated women’s employment. To explain this point, women and men who graduated in 1995 from the department of journalism in 3 middle to high-ranking universities in Seoul were tracked down as to their employment paths and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quick renunciation of the high-educated women for the main sector of the labor market comes from the women’s seeing through the gender-discriminatory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and the systematized ‘age limitation’ of the university graduated personnel recruitments. Second, through direct and indirect job-hunting activities, high-educated women realize that without giving up their own education value, they can hardly make it into the labor market at all. Thus, the downward employment. In this process, the industries’ restrictions on women’s age have quite an influence on keeping the high-educated women out of the main sector of the labor market. Third, the high-educated women of the downward employment, working within the poor conditions of unsatisfactory duties and wages, are threatened of their identity as a high-educated laborer. In such a situation, the problems that occur within work aggravate matters to the extent that continuing to work becomes difficult. As such, these women are under constant employment insecurity. Fourth, downward employment causes frequent walk-offs, which in turn lead to the discordance between age and the accumulation of job experience. High-educated women of downward employment, with their high rate of walk-offs and less than superb career records, become more marginalized in the labor market or leave markets all together. For most of these women, the only choice left is another downward employment or the prolonging of job training period. Or they may just get married, becoming part of the non-economic population. This research shows that downward employment cannot be an alternative for high-educated women’s labor. As a matter of fact, it leads to a disadvantageous job career, accelerating marginalization in the labor market. It is evident that policies for high-educated women’s employment should not only concentrate on increasing the amount of employment, but also improve the quality of employment so that solid job careers may be formed. In order to carry though this task, the abolishment of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recruiting and hiring process must be worked out. The following may be appropriate alternatives. First, the industries should do away with age limitations on women in public recruitments of university-graduated personnel, and make public the whole hiring process, including the specific criteria for appointment.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reinforce laws that regulate gender discriminatory employment practices and give strong authority legal organizations so that these laws may be thoroughly implemented. Third, the women’s movement should organize the unemployed women and make efforts to guard against and report discriminatory actions in recruiting and hir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 1 1.1 문제제기 = 1 1.2 기존논의검토 = 4 1.3 하향취업 의 개념 = 9 1.4 연구방법 = 12 1.4.1 연구대상선정 = 12 1.4.2 연구방법 = 18 제 2 장 고학력 여성의 취업실태 = 21 2.1 고학력 여성의 취업실태 = 21 2.2 연구대상학과의 취업실태 = 27 제 3 장 고학력 여성의 하향취업화 과정 = 33 3.1 대학재학시절 진로결정과정 = 34 3.1.1 성차별적 노동시장구조에 대한 간파 = 35 3.1.2 핵심노동시장 진출 포기하기 : 빠른 현실적 포기 = 37 3.1.2.1 여성들의 현실적 포기 : 취업준비직종의 성별화 = 38 3.1.2.2 빠른 포기를 강제하는 연령제한’ = 44 3.2 취업준비 및 구직경험 = 48 3.2.1 남들하는 만큼 의 취업 준비 = 48 3.2.2 구직경험의 성별화 = 51 3.2.3 한심한 곳 떨어지기 = 58 3.2.4 취업유예기간확보 : 교육기간연장 및 실업자되기 = 61 제 4 장 고학력 여성의 하향취업 경험 분석 : 초기의 고용경력을 중심으로 = 64 4.1 하향취업 받아들이기 = 64 4.2 학력가치와 불일치하는 노동경험 = 69 4.2.1 영세한 규모의 회사에 취업하기 = 69 4.2.2 경력으로 인정되지 않는 미분화된 업무 = 75 4.2.3 학력투자를 보상하지 못하는 저임금 = 79 4.3 하향취업의 결과 : 부정적인 고용경력 형성 = 84 4.3.1 높은 이직율 = 84 4.3.1.1 일상적인 고용불안 = 85 4.3.2.2 잦은 이직 = 87 4.3.2 나이와 경력의 불일치 현상 = 91 4.3.3 반복되는 하향취업 = 95 4.3.4 노동시장이탈 = 96 제5장 결론 = 103 참고문헌 = 111 ABSTRACT = 117 부록 =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220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고학력 여성의 '하향취업' 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