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3 Download: 0

제주 '호미' 마을 여성들의 생애사에 대한 여성학적 고찰 : '4·3' 경험을 중심으로

Title
제주 '호미' 마을 여성들의 생애사에 대한 여성학적 고찰 : '4·3' 경험을 중심으로
Authors
이정주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 여성들의 ‘4·3’ 경험에 대한 구술 진술에 기초하여 ‘4·3’ 역사를 재구성하려는 여성학적 시도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국가가 국사라는 지배 담론으로 ‘4·3’ 역사를 국유화하는 것에 대항하여, ‘4·3’ 폭력의 피해자의 입장에서 ‘4·3’에 대한 제주 여성들의 기억과 경험을 재현함으로써 실제적으로 제주 민중들의 ‘4·3’에 대한 경험이 ‘공산폭동’이라는 국가의 공식 역사와 어떻게 다른지 드러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성별을 역사 분석의 기본 범주로 설정하여, 여성과 남성이 그들이 가진 성별에 따라 ‘4·3’이라는 동일한 현실을 다르게 경험하였음을 설명해보고자 한다. 기존의 ‘4·3’ 연구는 성중립성을 가장한 채 제주도민이라는 하나의 보편범주로 남녀를 묶어 ‘4·3’을 설명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서술 방식은 남성의 경험과 관점에 기반하여 여성을 남성과 동일시, 일반화하는 것으로써, 여성들의 역사적 역할을 충분히 다루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여성 경험을 왜곡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4·3’ 서술에서 배제되고 주변화 되었던 여성의 경험과 활동을 가시화시키고자 하며, 여기에서 나아가 ‘4·3’ 서술 전반에 걸친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과 남성 중심성을 문제 삼고 이에 도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4·3’을 겪은 여성들을 주된 연구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경험에 대한 원자료를 수집하고자 제주도 중산간에 위치한 한 마을에서 현지조사를 행하였다. 현지조사 동안 연구자는 ‘4·3’ 경험을 중심으로 여성들의 생애사를 기록하였다. 이와 함께 서울과 제주에서 있었던 ‘4·3’ 관련 학술행사와 문화행사에 참여하였고, ‘4·3’을 배경으로 한 문학작품들과 영화 및 각종 출판 자료를 보조 자료로써 참고하였다. 내용은 연대기적 서술 방식을 따라 5부분으로 구성된다. 1장은 연구문제와 연구관점, 연구방법 그리고 현지조사과정에 관한 것이다. 현지조사과정은 ‘4·3’이라는 특수한 주제가 갖는 윤리적 문제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2장은 현지조사지에 대한 일반적 민족지 기술을 통해 조사 마을의 성별분업체계를 다루고 여성의 삶이 전통적으로 어떠했는가를 설명한다. 3장은 여성 경험을 중심으로 ‘4·3’ 발발과 전개과정을 재구성한다. 해방공간에서의 갈등이 조사마을에서는 어떤 식으로 표출됐으며, 이후 ‘4·3’ 전개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이 과정에서 여성들은 어떤 역할을 맡았으며, 어떤 경험들을 하였는지를 분석한다. 4장은 ‘4·3’ 후 마을에 어떤 변동들이 일어났는지, 그리고 ‘4·3’ 생존자들은 변화된 환경에 어떻게 대응하였는지 여성 경험을 중심으로 재구성한다. ‘4·3’으로 마을의 물리적, 공동체적 기반이 완전히 파괴되고 성비 불균형이 극심한 상황에서 성별분업체계와 가부장적 질서가 어떤 식으로 재조직화되고 유지되는지를 분석한다. 5장은 재건된 마을에서 ‘4·3’ 이전의 리더쉽 구조가 어떻게 재편성되었으며, 이에 따라 혼인관행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분석한다. 그리고 ‘4·3’에 대한 이해관계에 따라 ‘4·3’을 중심으로 한 마을 역사가 어떻게 다르게 구성되는지를 드러낸다. ‘4·3’은 제주도 사회의 전 분야에 걸쳐 엄청난 영향을 미친 사건이다. 그러나 기존 ‘4·3’ 연구는 진상 규명이라는 당면 과제 아래 정치사 중심의 역사학에만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여성학적 관점에서 ‘4·3’에 접근함으로써 ‘4·3’ 연구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한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의 ‘4·3’ 연구에서 잃어버린 반이었던 여성을 ‘4·3’ 역사에 포함시킴으로써 ‘4·3’ 역사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도우며, 성별을 주요 분석 범주로 설정하는 역사이론 틀을 만들기 위한 경험적 자료가 된다. ; This study an attempt to remake the history of ‘4ㆍ3’ from the feminist perspective with the help of Cheju women’s oral testimony. This study if also attempting to reveal how Cheju people’s ‘4ㆍ3’ experience differ from the nation’s historiography which has degraded the accident as a mere communist riot, by re-presenting Cheju women’s ‘4ㆍ3’ experience from victim’s point of view. And by going so, this by the governmental authority. And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fact that women and men have experienced, setting up gender difference as a main tool for the history analysis.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is matter have explained the ‘4ㆍ3’ by binding all the Cheju islanders, regardless of their gender, under the universal category, pretending gender neutrality. Such approach on this issue is, however, no more than an overgeneralization of men’s case with women’s historical role, this approach even distorts the facts on women’s experiences. So this study is to question and challenge the stereotype on gender role as the androcentism in the conventional ‘4ㆍ3’ discussions. To achieve these goals and to collect original sources of women’s experience who underwent ‘4ㆍ3’, a fieldwork was conducted in a mountain village. During the fieldwork, I kept the record of individual women’s life history with a focus on the ‘4ㆍ3’ experiences. And as supplementary materials, this study referred to the materials such as printed matter. Literary works, and movies that dealt with related issues. And I participated in several symposiums and cultural performances held in Cheju and Seoul. This content is constituted with 5 parts in its chronological order. Chapter 1 deals with the issues at hand, the perspective and the method of the study, and the fieldwork process. The fieldwork process is described with an emphasis on the ethical problems which is especially sensitive issue in ‘4ㆍ3’. Chapter 2 deals with the gender division of the labor system of researched will age through the general ethnographic description about the field, and explains how traditional women’s lives were like. Chapter 3 remakes the rising an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4ㆍ3’ with an emphasis on the women’s experiences. And it shows how the conflict of the researched village was expressed in the liberated zone, and in what way it affecte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4ㆍ3’, and finally what role the women’s took in that process. Chapter 4 shows what kind of changes were made in the villages after the event, and how the survivals coped with such changes in terms of the women’s experience. Chapter 4 continues to analyze how the gender division in labor and the andocentric order were reorganized and sustained under the situation where the whole village community was destroyed completely and unbalanced sex ratio began to appear due to ‘4ㆍ3’. In chapter 5, I attempted to deal with the issue of how the leadership system of the newly built village was reorganized after ‘4ㆍ3’ and to reveal how history of a village has been dra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rest of the people concerning ‘4ㆍ3’. ‘4ㆍ3’ is the accident that has made a huge impact on almost every part of the Cheju society. The existing ‘4ㆍ3’ studies, however, tend to give more weight to the political history pursuing historical facts because of the social need. At the present situation, this study temps to expand the scope of ‘4ㆍ3’ research and to grope for the possible many different accesses to ‘4ㆍ3’ study by approaching the matter from the feminist perspective. Such work will help to get fuller understanding of ‘4ㆍ3’ by including the ‘lost half’ in the previous studies, and it will also provide the experimental source that will help to make a new paradigm of history that uses gender difference as a major analytic too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