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현옥-
dc.creator박현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6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1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0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167-
dc.description.abstract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서의 질적 결함은 자폐아동의 주요 특성으로 알려져 왔다. 최근 이러한 결함들을 사회 인지적 차원인 생각의 원리(theory of mind) 결함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사회 인지란 자신과 다른 사람을 인식하고 자신과 다른 사람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회를 이해하는 것으로 사람과 사람을 둘러싼 일들에 대한 지식이다. 이러한 사회인지의 주요 요소 중의 하나인 생각의 원리는 믿음이나 바램, 의도 등과 같이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없는 정신적 상태를 추론하고 이러한 추론에 의하여 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추상적이고 일관성 있는 체계이다. 이러한 생각의 원리에 대한 인식은 일반아동들에게서는 자연스럽게 발달하지만 자폐아동들은 이러한 영역에서 특정한 결함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에 따라 자폐아동에게 생각의 원리에 대한 이해 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은 사회성 및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폐아동을 대상으로 생각의 원리를 적용한 중재 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믿음과 정서를 중심으로 한 다른 사람의 이해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중재가 심리적 상태에 관련한 표현 어휘 능력과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와 같은 중재 효과와 중재 영향력의 유지 효과도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생활연령이 6-13세이며 정신연령이 5세 이상이며 지능지수가 50 이상인 자폐아동 30명이다.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5명씩 배치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아동들은 서울시와 경기도의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언어치료실과 발달장애아동센터, 일반유치원 등에 소속된 아동들이었다. 중재 내용은 생각의 원리 과제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로 알려진 믿음 이해 과제와 정서 이해 과제의 두 가지 하위 내용들로 구성되었으며 각 요소에는 발달 단계별로 각각 4개 단계의 과제로 구성되었다. 중재 기간은 12주에 걸쳐서 실시되었으며 중재 빈도는 주 3회로 전체 36회기로 구성되었다. 중재의 실시는 3-4명 정도의 소집단으로 실시하였으며 중재 장소는 각 아동이 속한 기관의 빈 교실에서 실시되었다. 중재 프로그램의 중재 효과와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점수간의 차이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내에서의 유지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는 종속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자폐아동들에게 생각의 원리를 적용한 중재 프로그램의 교수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각의 원리를 적용한 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믿음 이해 과제와 정서 이해 과제를 중심으로 한 생각의 원리 과제 수행에서 높은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중재 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생각의 원리 이해 능력에 효과적이었음을 제시하였다. 둘째, 생각의 원리 중재를 적용한 중재 프로그램이 심리적 상태에 관련한 표현 어휘와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실험집단 아동들의 경우 심리적 상태에 관련한 표현 어휘의 빈도와 다양도에서 중재 후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가정과 교실에서의 사회적 기술 측정 체계에서도 전반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중재 프로그램이 심리적 상태에 관련한 표현 어휘의 빈도와 다양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사회성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시시한다. 셋째, 생각의 원리를 적용한 중재 프로그램의 중재 효과 및 영향력이 중재를 마친 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즉 생각의 원리 과제 수행 능력에서 유지 효과를 보였으며 심리적 상태에 관련한 표현 어휘의 빈도와 다양도 및 사회적 기술에서도 유지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생각의 원리에 대한 이해를 촉진함으로써 자폐아동의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회성 및 심리적 상태 어휘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들은 자폐아동을 위한 바람직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추후 연구들은 보다 구체적인 변인들간의 관계를 밝히고 각 변인들의 중재 효과를 밝히는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논의하였다. ; The deficit of social interaction and poor communication skill are primary aspect of autistic children. Over the past decades, a substantial body of research on autism have been focused on social cognition theory of mind. Theory of mind is one of the essential abilities that makes us human. By theory of mind, we would be able to infer the full range of mental states that cause action. In other s minds, we can reflect on the contents of one own and other s minds. Many researches have suggested that core handicaps of autism result from a specific impairment in theory of mind . While a deficit in theory of mind underpins the impairments in social interaction and pragmatics, a successful method for teaching theory of mind may have alleviated the impairments in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that are so debilitating in autism. This study was planned and implemented based on these assumptions.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theory of mind in aspect of the theory of mind tasks performance. The second purpose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intervention program in aspect of expressing mental state words and social skills. The last purpose was to investigate the maintenance of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program. Thirty children with autism attended this intervention program. After having test of IQ, PRES and CARS, they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ith 15 children each.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based on theory of mind but control group was not.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were as follows; CA, MA and IQ were 6~13, 5 and higher than 50 respectively. They were trained in special classes of common elementary school of special school or speech and language therapy center or developmental center in Seoul and Kyunggi-Do. To accomplish this study purpose, theory of mind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including emotional and belief understanding activities.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composed of pre-test, treatment of experiment, post-test, and maintenance test. Experimental training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in a quiet room of the subject school or center. Each session was 30-35 minutes long and was organized and run by one primary experimenter with three assistant. To prove the effects of theory of mind intervention program, pre-test and post-test for control group was designed. The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f two group was analyzed with independent t-test using SPSS 10.0 program. And the maintenance of intervention program s effects in experimental group was analyzed with paired-samples t-test. The result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e performance of the tasks related to the emotion and belief based theory of mind, proving more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 in theory of mind intervention program.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erms of frequency and type of mental state words, showing more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participated in the theory of mind intervention program. Third,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social skills at school and home, providing more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theory of mind intervention program. Forth, In experimental group,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program were maintained from the termination of the intervention program to 6 weeks later.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at the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theory of mind can effectively improve theory of mind tasks performance, mental state words and social skills in children with autis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8 C. 용어 정리 --------------------------------------------------------- 10 Ⅱ. 이론적 배경 ------------------------------------------------------- 12 A. 생각의 원리의 개념적 이해 ----------------------------------------- 12 B. 생각의 원리의 구성 요소 및 발달적 특성 ---------------------------- 16 1. 물리적 상태와 심리적 상태의 차이 이해 ---------------------------- 16 2. 믿음-바램 추론 구조의 이해 --------------------------------------- 18 3. 틀린 믿음 이해의 발달 -------------------------------------------- 22 C. 자폐아동의 생각의 원리 발달 --------------------------------------- 25 1. 심리적 상태와 물질적 상태의 이해 --------------------------------- 25 2. 자폐아동의 믿음-바램 추론 구조 ----------------------------------- 26 3. 자폐아동의 틀린 믿음 이해 ---------------------------------------- 28 D. 생각의 원리와 언어 발달간의 상관관계 ------------------------------ 31 1. 생각의 원리 이해 능력과 전반적 언어 능력간의 상관관계 ------------ 32 2. 심리적 상태에 관련한 표현 어휘 능력의 발달 ----------------------- 34 3. 생각의 원리와 심리적 상태에 관련한 표현 어휘 능력간의 관계 ------- 36 E. 생각의 원리와 사회성 발달간의 상관관계 ---------------------------- 39 1. 가장놀이 및 또래 상호작용과 생각의 원리간의 상관관계 ------------- 40 2. 가족과의 상호작용이 생각의 원리 이해에 미치는 영향 --------------- 43 F. 생각의 원리 중재 효과 --------------------------------------------- 45 1. 생각의 원리 중재의 일반적인 영향 --------------------------------- 45 2. 정서 및 믿음이해 과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 ------------------------- 48 3. 사회적 기술 및 심리적 상태에 관련한 표현 어휘에 미치는 영향 ------ 57 Ⅲ. 연구 방법 --------------------------------------------------------- 61 A. 연구대상 ---------------------------------------------------------- 61 B. 실험기간 ---------------------------------------------------------- 63 C. 실험설계 ---------------------------------------------------------- 63 D. 독립변인 ---------------------------------------------------------- 64 1. 중재 프로그램의 구성 --------------------------------------------- 64 2. 중재 원칙 -------------------------------------------------------- 70 E. 종속변인 및 검사도구 ---------------------------------------------- 71 1. 정서이해 및 믿음이해 과제 수행검사 ------------------------------- 71 2. 심리적 상태에 관련한 표현 어휘 검사 ------------------------------ 76 3. 사회성 검사 ------------------------------------------------------ 80 F. 검사자 훈련 및 기록자간 일치도 ------------------------------------ 82 1. 대상자 선정 검사 ------------------------------------------------- 82 2. 사전검사 및 사후검사, 유지검사 ----------------------------------- 82 G. 중재 장소 및 중재 시간 -------------------------------------------- 83 H. 연구절차 ---------------------------------------------------------- 84 1. 예비연구 --------------------------------------------------------- 84 2. 사전검사 --------------------------------------------------------- 84 3. 중재의 실시 ------------------------------------------------------ 85 4. 사후검사 --------------------------------------------------------- 89 5. 유지검사 --------------------------------------------------------- 89 I. 결과처리 및 분석 -------------------------------------------------- 90 Ⅳ. 연구결과 ---------------------------------------------------------- 91 A. 정서이해 및 믿음이해 과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 ---------------------- 91 1. 정서이해 과제를 중심으로 한 중재 효과 ---------------------------- 91 2. 믿음이해 과제를 중심으로 한 중재 효과 ---------------------------- 95 B. 심리적 상태에 관련한 표현 어휘에 미치는 영향 ---------------------- 98 1. 심리적 상태에 관련한 표현 어휘의 빈도에 미치는 영향 -------------- 98 2. 심리적 상태에 관련한 표현 어휘의 다양도에 미치는 영향 ------------101 C.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 -----------------------------------------103 1. 교사가 측정한 사회성 기술에서의 집단 간 차이 검증 결과 -----------103 2. 부모가 측정한 사회성 기술에서의 집단 간 차이 검증 결과 -----------104 D. 생각의 원리 과제 수행 및 심리적 상태 어휘와 사회성에 미치는 중재의 유지 효과 --------------------------------------------------108 1. 생각의 원리 과제 수행에 미치는 유지 효과 -------------------------108 2. 심리적 상태에 관련한 어휘에 미치는 유지 효과 ---------------------110 3.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유지 효과 -----------------------------------111 Ⅴ. 논의 및 제언 ------------------------------------------------------114 A. 논의 --------------------------------------------------------------114 1. 정서 및 믿음이해 과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논의 -------------115 2. 중재 프로그램이 심리적 상태 어휘 능력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논의 -----------------------------------------------123 3. 중재의 유지 효과에 관한 논의 -------------------------------------132 B. 연구의 제한점 -----------------------------------------------------134 C. 제언 --------------------------------------------------------------135 참고문헌 --------------------------------------------------------------139 부록 ------------------------------------------------------------------1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6972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생각의 원리를 적용한 중재 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정서-믿음 이해 과제 수행 및 심리적 상태에 관련한 표현 어휘와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