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차현-
dc.creator차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5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7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0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760-
dc.description.abstract임신 중 규칙적인 산전관리는 임신부와 태아의 건강을 확인하며 최적의 건강상태로 새로운 모성역할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임신부가 신체적, 정신적으로 적절한 준비를 하는 것은 임신, 분만, 산욕기간에 산모와 아기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가족전체의 건강과 안녕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이 시기 임신부는 자신과 태아의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게다가 변화된 현대의 가족체계가 핵가족화가 되는 추세이기 때문에 전통사회와는 달리 가족의지지 자원이 부족하여 모성역할에 대한 교육과 훈련을 포함한 임신, 분만, 육아에 관한 산전교육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임신부를 대상으로 산전관리이행 실태를 조사하고, 일반적 특성, 산과적 특성, 건강신념, 산전교육경험유무를 파악하여 산전관리이행과의 관련된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임신부의 산전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조사 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하고 있는 5개 대학부속병원과 1개의 산부인과전문 병원에 산전진찰을 받기 위해 내원한 만 20주 이상에서 분만전까지의 임신부 204명을 대상으로 1999년 3월 30일부터 4월 17일 사이에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모두 전산부호화한 후 SPSS 통계 package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답자의 32.8%가 직업을 가졌으며, 평균연령은 29.08세로 35세 이상의 노령임신부는 6.9%이었다. 응답자의 평균임신횟수는 2.13회, 자연유산 0.31회, 인공유산 0.36회, 사산 0.02회이었다. 2. 응답자의 11.8%가 임신, 분만, 육아에 관한 산전교육을 경험하였고, 교육경험자의 70.83%가 임신, 분만, 육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응답하였다. 경험한 산전교육내용으로 1위는 분만시 통증완화를 위한 보조동작이었고, 다음으로 임신으로 인한 신체변화 및 증상, 임신중의 모체질환 및 이상임신, 임신섭생과 담배/술/약물/기호식품에 대한 주의와 산욕기 모체변화/건강관리 내용순이었다. 3. 응답자의 81.4%가 기회만 준다면 산전교육에 참여하겠다고 하였으며, 교육방법으로는 강의를, 교육희망횟수로는 월 1회를 가장 많이 희망했다. 희망하는 산전교육내용으로 1위가 태아/기형아 검사, 다음으로 신생아의 상태/성장/발육, 육아법, 분만시 통증완화 보조동작으로 태아 건강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았다. 4. 건강신념 중 인지된 민감성은 직업이 있는 경우(p<0.05), 결혼기간이 3년 이상(p<0.05), 관모와 함께 살고 있는 경우(p<0.05), 분만경험이 있는 경우(p<0.01), 자녀가 있는 경우(p<0.01) 높았다. 인지된 심각성은 직업이 있는 경우(p<0.05), 편모와 함께 살고 있는 경우(p<0.01)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했다. 산전관리에 대한 인지된 유익성은 첫 임신인 경우(p<0.01), 분만경험이 없는 경우(p<0.05), 자녀가 없을 때(p<0.05) 높았다. 인지된 장애성은 직업이 있는 경우(p<0.01), 분만경험이 있는 경우(p<0.01), 자녀가 있는 경우(p<0.001), 계획되지 않은 임신(p<0.05) 일 때 높았다. 5. 산전관리 이행은 연령이 25세에서 29세일 때(p<0.05) 높았고, 임신기간이 분만에 가까울수록(p<0.05), 분만경험이 없는 경우(p<0.05), 자녀가 없는 경우(p<0.05), 계획임신이었을 때(p<0.05) 높았다. 6. 산전교육을 경험한 임신부(p<0.05)가 경험이 없는 임신부에 비해, 그리고 산전교육에 참여를 희망한 임신부(p<0.01)가 희망하지 않은 임신부에 비해 산전관리 이행정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7. 건강신념 중 유익성(p<0.001)이 산전관리와 정적 상관관계이었으며, 장애성(p<0.001)은 부적 상관관계로 통계적으로도 유의했다. 8.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Hierachical Regression Analysis)의 결과 연령, 임신기간, 분만경험유무, 자녀유뮤, 계획임신여부를 투입한 Model 1은 산전관리 이행에 대해 8.5%의 설명력을 가졌으며(계획임신 p<0.05), Model 2는 산전교육경험유무를 추가 투입하여 설명력이 10.7%로 높아졌으며(산전교육경험유무 p<0.05), 건강신념을 추가 투입한 Model 3은 장애성(p<0.001), 유익성(p<0.01), 산전교육경험유무(p<0.05)순으로 산전관리에 영향을 미쳤고, 이들 전체에 의한 설명력은 25.3%이었다. ; Effective prenatal care during pregnancy makes sure of an pregnant women s and fetus s health and it is positive preparation for new motherhood in optimum health. Therefore, proper preparation in phys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not only directly affects the health of an pregnant women and a fetus during pregnancy, delivery and lying-in period, and also improves the whole family s health and well-being, so an pregnant women should make efforts to keep and improve her and her baby s health. Also, in the trends of nuclear family, adaptation to a new motherhood is difficult because of lack of family support, 내 prenatal education of pregnancy, delivery and child care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natal care of pregnant women and the factors which could affect them.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204 pregnant women who were from 20 weeks pregnant to near nine months pregnant and visit 5 college-attached hospital, and the research was done from Mar. 30 to Apr. 17, 1999.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mong the subject, 32.8% of pregnant women had jobs, and the average age was 29.08. Comparatively aged pregnant women over 35 occupy 6.9%. The subject had average pregnancy frequency(2.13), spontaneous abortion(0.31), artificial abortion(0.36) and stillborn(0.025). 2. 11.8% of the subject experienced prenatal education on pregnancy, delivery and child care, and 70.83% of those who experienced prenatal education thinked it will be practically helpful to pregnancy, delivery and child care. The contents of the prenatal education they experienced were first, subsidiary movement for easing delivery pain, second physical change and symptoms caused by pregnancy, third, diseases during pregnancy and abnormal pregnancy, and fourth, care against smoking/ drinking/drug/ abuse/and favorite food and pregnancy care. 3. 81.4% of the subject answered they would like to participate in prenatal education if they have an chance, and they hoped for instruction most and once a month is a most-wanted frequency. The preferred contents of prenatal education were first, inspection of fetus/deformed child, second, a fetus s state/growth/development, the third, child care, and the fourth, subsidiary movement for easing pain, which indicate their interest in a fetus s health. 4. When it comes to health beliefs, perceived susceptibility was high in case of women with job(p<0.05), more than three year s marriage(p<0.05), living with lone mother(p<0.05), pregnancy experience(p<0.01) and having a child(p<0.01). Perceived severit was high in case of women with job(p<0.05) and living with lone mother(p<0.01). Perceived benefit of prenatal care was high in case of first pregnancy(p<0.001), no delivery experience(p<0.05), and having no child yet(p<0.01). Perceived barrier was high in case of women with jobs(p<0.01), delivery experience(p<0.01), having a child already(p<0.001), and unexpected pregnancy(p<0.05). 5. Prenatal care was done best at age from 25 to 29(p<0.05), and it was better in case of women closer to delivery time(p<0.05), no delivery experience(p<0.05), having no children yet(p<0.05) and planned pregnancy(p<0.05). 6. The pregnant women who experienced prenatal education(p<0.05) compared with others who didn t, and those who expect prenatal education compared to others who don t do better prenatal care, and it was also statistically meaningful. 7. Among health beliefs, perceived benefit is positively related to prenatal care and perceived barrier is negatively related to it, and it is statistically meaningful. 8.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re below with Model 1, considering age, pregnancy period, delivery experience, having child, planning pregnancy, planning pregnancy(p<0.05) was critical variable. These variables were 8.5% effective to performance of prenatal care. With Model 2, considering experienced prenatal education together with Model 1, prenatal education experience(p<0.05) was critical variable. These variables were 10.7% effective to performance of prenatal care. With Model 3, considering health belifs together with Model 2, the effective variables seem to be perceived barrier9p<0.001), perceive benefit(p<0.01) and prenatal education experience(p<0.05). These variables can explane one s performance of prenatal care at 25.3% of decision coefficient in this analysi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 = 4 C. 용어의 정의 = 5 D. 연구의 제한점 = 7 Ⅱ. 이론적 배경 = 8 A. 산전관리의 중요성 = 8 B. 산전교육 = 10 C. 건강신념 = 14 Ⅲ. 연구방법 = 17 A.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 17 B. 조사도구 = 18 C. 자료의 분석방법 = 21 Ⅳ. 연구결과 및 고찰 = 22 A. 연구대상자의 특성 = 22 B. 산전교육 경험 및 요구도 = 26 C. 임신부의 건강신념 = 33 D. 산전관리이행 = 41 E. 임신부의 산전관리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50 Ⅴ. 결론 및 제언 = 52 참고문헌 = 54 <부록-1> = 63 <부록-2> = 70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217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임신부의 산전관리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보건교육학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