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정신-
dc.creator안정신-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1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0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0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06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18세 미만의 자녀를 둔 이혼경험 여성을 대상으로 이혼경험이 이혼여성의 발달과업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심리사회 발달적 관점과 가족발달적 관점, 생애구조적 관점과 가족스트레스 관점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이혼상황이 이혼 후 여성들의 성인기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이혼 후의 경제적, 사회적 자원들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18세 미만의 자녀를 두고 있는 이혼여성 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친밀감 및 생산감은 본 연구자가 선행이론과 연구결과를 참고로 하여 고안한 척도를 사용하여 질문지법으로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서 상관관계, t-검증,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Cronbach s Alpha로써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혼상황변인들 중 결혼지속기간과 이혼 후 경과기간은 친밀감과 생산감 발달에 유의한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혼사유로 폭력을 보고한 여성들은 그렇지 않은 여성들 보다 확대생산감이 낮게 나타나, 이혼사유 유무는 생산감 발달에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이혼 후 경제적 자원 변인들 중 객관적인 소득수준과 직업유무는 친밀감과 생산감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주관적 변인들은 친밀감 및 생산감과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자신의 생활수준을 지각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친밀감과 확대생산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혼 전과 후의 생활수준의 차이를 더 나아졌다고 생각하거나 더 나빠졌다고 생각하는 여성들보다 변화가 없다고 생각하는 이혼여성들은 침체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이혼편모가 객관적으로 어떠한 자원을 가지고 있는가보다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자원의 수준이 이혼 후의 성인기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3. 이혼 후 사회적 자원변인으로서 사회적 지지는 부모역할감과 확대생산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이러한 긍정적인 영향은 교육수준이나 이혼상황변인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여전히 유의하게 나타났다. 4. 이혼 후 경제적 자원변인들 중 주관적 생활수준은 폭력문제가 침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여, 주관적 생활수준이 폭력문제로 인한 이혼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이혼 후 경제적 자원변인들 중 생활수준변화에 대한 지각과 사회적 지지의 중재적 효과는 이혼사유에 의해 상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이혼 시 이성문제로 인한 갈등이 없었던 경우에는 생활수준이 이혼 후 더 향상되었다고 지각하는 것이 변화가 없거나 더 저하되었다고 지각하는 경우보다 이혼여성의 성인기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이성문제로 인해 갈등을 경험한 경우에는 생활수준의 변화가 확대생산감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이혼 시에 생활차이로 인한 문제나 경제문제가 제기되지 않은 경우에 사회적 지지는 성인기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반면 이러한 문제들이 제기된 경우에는 사회적 지지의 긍정적인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경제적, 사회적 자원의 중재효과와 관련하여 볼 때 다음과 같이 종합할 수 있다. 폭력문제는 그 자체가 이혼여성의 성인기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이혼 후의 자원, 특히 주관적 경제자원에 의해 그 부정적인 영향이 완화된다. 반면, 다른 이혼사유들은 오히려 이혼 후 자원의 긍정적인 효과를 상쇄시킬 정도로 이혼 후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이혼사유에 따라 이혼 후 발달이 매우 달라진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1)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vorce experiences on adaptation in terms of adult developmental tasks(Intimacy, Generativity), 2)to examine the roles of socioeconomic resources.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61 divorced women who cared choldren aged 1 to 18. Psycho-socio developmental perspective, life-structure perspective, family developmental perspective, and family stress perspective had been applied to test these developmental tasks. Intimacy and generativity(care giver role, extended generativity, stagnation) were measured with scales made by this researcher on the basis of those perspectives and ex-research results. The statistic procedure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factor analysis, t-test, Preason s correlation, one-way ANOVA, mutiple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1. The reason of divorce were related with generativity development significantly. The extended generativity of women who reported violence for the reason of divorce were lower than the women who didn t report violence. 2. The subjective economic resources were related with intimacy and generativity. The higher cognition of socioeconomic level, the higher intimacy and extened generativity. The women who thought their socioeconomic level became lower from divorce reported higher stagnation. 3, Social support had positive effect on care giver role and extended generativity even though controlled education and the period of marriage. 4, Interaction effect of socioeconomic resources was found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reason of divorce and adult developmenal tasks. The effect of the violence reason of divorce on stagnation were mediated by subjective cognition of socioeconomic level. So subjective cognition of socioeconomic level was lessen the negative effet of divorce. But the effects of the other reasons for divorce were too effective to mediated by the positive effcts of socioeconomic resources on developmental task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 ⅸ Ⅰ. 서 론 = 1 Ⅱ. 이론적 배경 = 6 A. 이혼경험과 성인기 발달의 관계를 설명하는 관점들 = 6 B. 이혼과 성인기 발달의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 12 1. 이혼과 성인기 발달 = 12 2. 이혼 후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15 ① 이혼상황특성 = 15 ② 이혼적응을 위한 대처자원 = 17 ③ 기타요인들 = 20 C. 연구문제 = 22 Ⅲ. 연구 방법 = 23 A. 연구대상 = 23 B. 측정도구 = 27 1. 성인기 발달척도 = 27 ① 친밀감 = 27 ② 생산감 = 28 2. 이혼상황특성변인 = 31 3. 이혼 후 경제적, 사회적 자원변인 = 32 C. 자료수집 = 34 D. 분석방법 = 34 Ⅳ. 연구 결과 = 35 A. 이혼상황특성에 따른 이혼여성의 친밀감과 생산감 발달 = 35 B. 이혼 후 경제적 사회적 자원변인에 따른 친밀감과 생산감 발달 = 37 C. 이혼 후 경제적, 사회적 자원변인들의 중재효과 = 42 1. 경제적 자원의 중재적 효과 = 42 2. 사회적 자원의 중재적 효과 = 47 Ⅴ. 논의 및 결론 = 51 참 고 문 헌 = 60 부 록 = 70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051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이혼경험이 이혼여성의 친밀감과 생산감 발달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가정관리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