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노성은-
dc.creator노성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1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0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0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05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성(性) 및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감정이입 능력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를 밝혀 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만 36±1개월의 남·여아와 그의 어머니 98명이었다. 유아의 감정이입 능력과 행동 억제 성향은 실험 상황에서의 유아의 행동을 관찰하면서 비디오 녹화한 후, 추후에 점수화하였다. 한편, 어머니의 과보호, 지시/통제, 합리적 지도, 거부/적대, 방임/지나친 허용의 양육행동 측정은 유아를 대상으로 한 문제해결 상황에서 어머니가 나타내는 행동을 관찰 평가하였다. 또한 유아의 기질 특성은 유아가 6∼12개월일 때 보였던 정서성에 대해 어머니가 회고하여 응답한 질문지를 통해 평가하도록 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상관관계, t-검증, 이원 변량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s α와 Cohen s Standard Kappa 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감정이입 능력에서 성차가 나타나 여아가 남아보다 더 감정이입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은 감정이입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부정적 정서성이 높을수록 감정이입 능력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감정이입에 대해 부정적 정서성과 긍정적 정서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즉, 부정적 정서성이 높고 긍정적 정서성이 낮을 때 감정이입 능력이 높은 반면, 두 정서성이 모두 낮을 때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감정이입 능력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의 관계가 나타나 어머니가 지시/통제적일수록, 방임/지나치게 허용적일수록 감정이입 능력이 낮게 나타났다. 반면, 어머니가 합리적인 지도를 보일수록 더 감정이입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감정이입 능력은 행동 억제 성향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행동 억제 성향이 높을수록 감정이입 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내적 특성인 기질과 외적 특성인 어머니의 양육행동 모두가 유아의 감정이입 능력과 관련됨을 입증함으로서 유아의 긍정적인 행동 발달 및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이입 능력발달에서 아동의 개인 내적 요인과 환경의 상대적 영향력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child s gender, temperament, parenting and 3-year-old child s empathy capac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8 36±1 month-old children(51 boys and 47 girls) and their mother in Seoul and Keoung-ki-do. Data were gathered using behavior observation and questionnaires. In order to assess the child s empathy and maternal parenting (overprotection, direction/control, reasonable guidance, rejection/ hostility, non-interference/excessive permission), each child-mother dyad behavior was videotaped. Child s infant emotionality(negative/positive emotion) and behavioral inhibition data were from Lee(1998).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were Cronbach s alpha, t-test, two-way ANOV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ender differences in empathy capacity were found, that is girls empathy capacit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boys. 2. Infant negative emotionality significantly affected to 3-year chid s empathy capacity.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ality to empathy significantly showed. 3. Child s behavioral inhibi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empathy capacity. 4. Mother s direction/control behavior and non-interference/ excessive permission behavior were negatively related to 3-year child s empathy capacity. In contrast, mother s reasonable guidance behavior was positively related to 3-year child s empathy capacity. This study showed that both child s temperament and parenting are important in development of child s empathy capac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 vii Ⅰ. 서 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감정이입 능력의 개념 및 발달 단계 = 4 1. 감정이입 능력의 개념 및 구성요소 = 4 2. 감정이입 능력의 발달 단계 = 7 B. 아동의 감정이입 능력에 관련된 변인 = 8 1. 감정이입에 있어서의 성(性)차 = 8 2. 아동의 기질과 감정이입 = 10 1) 아동의 초기 정서성에 따른 감정이입 = 10 2) 아동의 행동억제 성향과 감정이입 = 13 3.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른 아동의 감정이입 = 14 Ⅲ. 연구문제 = 18 A. 연구모형과 연구문제 = 18 B. 용어의 정의 = 20 Ⅳ. 연구방법 = 22 A. 연구대상 및 표집 절차 = 22 B. 측정방법 및 절차 = 25 1. 아동의 감정이입 능력 = 25 1) 실험 상황 = 25 2) 예비 실험 = 27 3) 본 실험 = 28 4) 감정이입 능력에 대한 점수화 = 28 2. 아동의 초기 정서성에 대한 질문지 = 31 3. 아동의 행동억제 성향 = 32 1) 실험 상황 = 32 2) 점수화 방법 = 32 4. 어머니의 양육행동 = 35 1) 실험 상황 = 35 2) 점수화 방법 = 37 C. 자료분석 = 39 Ⅴ. 연구결과 및 해석 = 41 A. 아동의 성에 따른 감정이입 = 41 B. 아동의 초기 정서성과 감정이입 = 43 C. 아동의 행동억제와 감정이입 = 47 D.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감정이입 = 48 Ⅵ. 논의 및 결론 = 50 참고문헌 = 57 부 록 = 66 영문초록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462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3세 유아의 감정이입 능력에 관련된 변인들 : 유아의 성(性),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가정관리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