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6 Download: 0

청음능력과 음악성적 및 음악환경의 관계연구 : 중학교 2학년 여학생을 대상으로

Title
청음능력과 음악성적 및 음악환경의 관계연구 : 중학교 2학년 여학생을 대상으로
Authors
조정미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Music education must be based on bellow tone teaching method and perceive music as an element to recognize. It is treated as an important part in a basic goal in music. On the contrary, it s hard to find out the students response to the music from a teacher s point of view. However, it is difficult for teachers to acknowledge students process of listening experience because the sense of talent is not tangible. The lesson will be too passive for the students when the teacher keeps on teaching without realizing the students listening ability. It may not be a problem for the ordinary people without any special music lessons to just listen and enjoy music for themselves; this act of getting a simple satisfaction through music can t be identified as the true musical activity. from an educational view. Consequently, this research will be going through following processes. First, we should realize the necessary of development in listening ability as the base of music education. We will be creating a problem solving method and a test to examine 420 8th graders in a girls middle school from this factors following of an investigation of the importance of listening ability. Finally, we will study the relativeness of students with good listening music ability who will also be good at receiving better music grades at schoo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ill help us to find various problems in which caused by inaccurate results of relativeness in topic of music education.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process of analysis and the objects of the research written above. 1. We investigated the score on ability to discriminate the absolute and relative pitches which help people to listen more effectively. Then, we compared this measurement with the total score of ability to understand Tonality, Melodic Sequence pattern, Rhythmic sequence pattern, and phrase. Through these investigation and measurement, the listening ability in different required factors was relative to ability to discriminate every sense of sound. Especially, the ability to discriminate the relative pitch was showing higher relativeness than the ability to discriminate the absolute pitch. However, it was not clear enough to define the differences in relativeness. Also, the score of the relative pitch came out higher than the score of the absolute pitch when these scores were converted at a fraction of one hundred points. 2. After conducting an investigation on finding the background of the subject of research, even though there is not much correlation, most of the students who have good sense on discriminating absolute pitch also have good sense on discriminating relative pitch as well. And from this result, the fact that abilities to discriminate pitches is not necessary hereditary if the discipline can be known. 3. By conducting the research, I have learned that the students with better understanding of discriminating both the absolute and relative pitches have higher academic standings in school as well; school grades in the subject of music had higher relativeness with the absolute pitch than with the relative pitch. 4. The students with higher qualitative skills in singing, playing instruments, listening, and theory showed to have higher academic grades in studying music in school as well. Especially, listening ability was most relative to the grades in playing instruments; in oder of theory, singing and listening showed the following relativeness in terms of extensiveness. They showed almost no relativeness of getting emotional feeling through music with the listening ability. This concluded that it is not necessary to require a highly qualitative listening ability to appreciate music. Although the primary factors of the theory should be the base of appreciating music, other as such as emotional factors, background, and methode in listening may come additional affects. In conclusion, it is possible for students to appreciate music without complete understanding and qualitative listening ability. However, ones with better understanding of contents in listening seem to do better in both the theory and the practical talent. Therefore, the listening ability should be a method to grasp the music itself in every music education; it is the base in which we understand music, too. Consequently, it would become a helpful tool for the music educators if there can be more effective methods to improve the listening ability in all of us. ; 음악교육의 기본 교육목표 중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영역 중의 하나는 학생들이 소리를 듣고, 지각함으로써 자신이 듣는 음을 총체적인 음악의 한 요소로서 인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교사의 입장에서 보면 학생들이음이나 음악을 듣는 과정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수업을 실시함에 있어서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평가하기 어렵다. 따라서 교사가 학생들의 청음능력 수준을 파악하지 못하고 수업을 계속 진행시킨다면 교사의 입장에서는 일방적이고, 학생의 입장에서는 소극적인 수업이 될 수밖에 없다. 또한, 특별한 음악교육을 받지 않은 일반적인 감상자들은 음악에 대한 올바른 이해 없이도 나름대로 음악을 듣고 즐기는 데에는 큰 문제를 느끼지 않으나, 교육적인 견지에서 볼 때 이들은 진정한 의미에서의 음악활동을 향유한다고 말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음악교육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인 준비과정인 청음 능력 향상의 필요성을 깨닫고, 청음능력의 중요성을 살펴본 후, 청음능력의 측정을 위한 문제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1998년 3월 둘째주부터 셋째주 사이에 여자중학교 2학년 학생 420명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그들의 음악적 환경을 조사하였고, 4월 첫째 주부터 넷째 주까지 4주에 걸쳐 청음능력에 관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절차에 따른 설문조사와 테스트의 결과를 통해 학생들의 음악적 환경과 청음능력을 파악하고, 1998학년도 영역별 음악성적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둔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도출된 결론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청음능력 개발에 필요한 음악적 요소중의 하나인 절대음감 및 상대음감의 식별능력점수를 측정하여 이 결과를 가지고 조성, 선율 반복진행의 유형, 리듬 반복진행의 유형, 프레이즈 구분 이해능력의 측정을 통해 얻은 결과의 총점과 비교하여 보았다. 이에 따른 결론으로 요소별 청음능력들은 모든 음감의 식별능력과 상관을 보이고 있었다. 특히, 상대음감 식별능력이 절대음감 식별능력 보다 조금 더 높은 상관을 보였으나, 그 차이가 의미있게 뚜렷하지는 않았다. 또한, 절대음감과 상대음감의 점수를 백분위 점수로 환산하여 비교해 본 결과 상대음감 점수가 높게 나왔다. 2. 연구대상의 음악적 배경을 알아보고자 설문지 조사를 한 결과, 청음능력이 좋은 학생일수록 음악적 환경이나 취미 및 특기 그리고, 교과목에 관해서 음악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청음능력도 후천적인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절대음감이나 상대음감 모두 식별을 잘하는 학생이 음악성적도 좋았음이 조사 결과 나타났고, 상대음감 보다 절대음감과의 상관관계가 조금 더 높다는 결과를 보였다. 4. 청음능력이 좋은 학생일수록 가창, 기악, 감상, 이론평가 면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보여 음악성적과 관계가 있음을 나타냈다. 특히 청음능력과 기악실기 성적과의 관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이론평가, 가창평가, 감상평가 순으로 관계가 있음을 나타냈는데, 그 중 음악 학습활동에서 감정적인 영역인 감상평가와는 거의 상관이 없음을 보여 감상을 하는데 있어서 보다 발달된 청음능력을 반드시 요구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러므로, 청음능력이 뛰어나지 않아도 감상은 가능하나 본 연구의 테스트 결과로 볼 때 음악을 들었을 때 음악의 구성요소에 대한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는 학생일수록 즉, 청음능력이 좋은 학생일수록 실기성적이나 이론성적 면에서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음악교육에 있어서 청음능력은 음악 자체를 파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필요한 것이며, 음악을 이해하는 첫걸음이고 가장 근본적인 문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를 바탕으로 청음능력 향상을 위한 보다 효율적인 방법을 개발한다면 음악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