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9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현방-
dc.creator홍현방-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9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1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0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133-
dc.description.abstract노인인구의 증가는 노인과 노년기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은 물론 여러 학문 분야의 주요 주제로서 연구의 대상이 되기에 충분하다. 성공적인 노화는 노년학의 주제로서 오랫동안 다양한 정의와 측정방법으로 연구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되어 온 성공적인 노화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정의하며 구성차원을 밝히려는 문헌연구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심리학적인 관점과 사회학적인 관점으로 크게 분류하였다. 심리학의 관점에서는 고전적인 발달이론과 전생애 발달의 관점인 Ryff의 모델과 Baltes의 보상을 수반한 선택적 적정화 모델을 고찰하였다. 고전적인 발달이론에서는 성공적인 노화를 위해 자아통합 혹은 지혜에 도달할 것을 요구한다. 과거의 삶을 돌아보며 이루지 못한 것에 대해 더 이상의 후회나 회한이 없이 화해를 이루고, 얼마 남지 않은 생애 동안에도 의미있는 목표를 추구하라고 말한다. Ryff(1989)는 이전 성공적인 노화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며 새로운 6차원의 성공적인 노화 개념을 제시하였다. SOC 모델은 노년기의 적응과정을 상세히 제시하고 있어 여러 면에서 감소와 쇠퇴를 경험하는 노인들이 성공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전생애 발달 관점에서 성공적인 노화를 설명한 Ryff와 Baltes의 모델은 노년기와 노인을 긍정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다음으로 사회학적 관점의 성공적인 노화 연구로서 활동이론과 노인의 삶의 질 연구를 고찰하였다. 활동이론에서는 가능하면 중년기만큼의 활동을 유지하면서 살 때 성공적으로 노화할 수 있다고 한다. 사회학에서 연구가 시작된 삶의 질은 삶의 경제적이고 물질적인 측면이 충족되고 난 후의 한 단계 높은 인간의 욕구로서, 삶의 모든 측면을 망라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성공적인 노화의 연구를 위해 삶의 질을 연구하기도 하고, 성공적인 삶은 질 높은 삶을 의미하기도 한다. 삶의 질 개념에서는 사람의 조건을 둘러싼 온갖 측면들, 즉 객관적인 측면과 주관적인 측면을 동시에 연구하는데 최근으로 올수록 주관적인 평가를 더 중시하는 경향이다. 삶의 질 연구에서는 삶의 바람직한 혹은 이상적인 상태, 즉 모든 사람들이 성공적인 삶을 살 수 있기 위한 삶의 여러 영역과 일정한 수준을 보여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정의된 성공적인 노화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공적인 노화는 개별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성공적인 노화 개념을 종합한 통합적인 개념이다. 둘째, 성공적인 노화는 계속되는 발달과정이다. 셋째, 성공적인 노화는 자신의 한계를 수용하는 성숙으로 지혜 혹은 자아통합이다. 넷째 성공적인 노화에 이르는 단일한 방법은 없고 개인의 상황에 따라 그 방법은 다양하다. 다섯째, 성공적인 노화에는 객관적인 측면과 주관적인 측면이 다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노화에는 사회적인 관계의 측면이 포함된다. 이러한 특성에 따라 구성차원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1) 심리적인 발달, 2) 사회적인 관계, 3) 신체적인 건강, 4) 정신적인 건강 부문으로 나누고, 각 부문에서 하위영역과 측정 가능한 변인들을 구성하였다. 심리적인 영역에서는 주관적 안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아개념과 통제감을, 계속되는 발달의 과정을 보여주는 자아통합 혹은 지혜를 선택하였다. 사회적인 관계 부분은 사회적인 접촉과 가족과의 접촉으로 나누어 전자에는 직업역할을 제외한 공식적인 활동을 후자는 가족과의 관계로서 배우자나 자녀들과의 관계에서 만족하는 정도를 포함했다. 가족은 강력한 지지의 원천이고 정신, 심리적 만족감, 안정의 기본이다. 신체와 정신에 있어서의 건강은 객관적이건 주관적이건 그 중요성은 더 이상 언급할 필요가 없다. 질병의 유무와 기능의 정도 그리고 자신이 보고하는 건강을 포함했다. 성공적인 노화란 과거와 현재를 수용하고 죽음을 받아들이며 동시에 삶의 의미나 목적감을 잃지 않고 정신적으로 성숙해 가는 심리적인 발달과정이며, 동시에 정신이나 신체상의 질병이 없이 기능적이며, 사회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사는 것을 말한다. 성공적인 노화의 통합적인 개념을 정의를 시도한 이 논문의 한계는 그 목적을 위해 고찰한 문헌들이 미국을 비롯한 서양의 이론과 연구들이 대부분이라는 점이다. 그러므로 초고령 사회로 향하는 한국사회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연구할 때 이 정의는 도움을 주지 못할 수도 있다. 더구나 본 연구에서 내려진 통합적인 정의가 실제로는 성공적인 노화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도달하기 어려운 또 하나의 이상적인 목표에 불과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첫째, 성공적인 노화 개념 정의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에 그치지 말고 노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삶에서 진정으로 관심있는 분야나 영역이 무엇인지를 밝혀내어 그것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그것을 토대로 개념 정의를 내려보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동시에 다른 연구자들에 의한 또 다른 이론적인 개념 정의 연구도 필요하다. 둘째, 85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더욱 증가할 것을 염두에 둔다면 노년 전기와 노년 후기를 구분해서 성공적인 노화의 차원을 달리 설정해야 하는지를 연구하는 것도 의미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노인인구의 비율에서는 여성노인이 많다는 점을 고려해 그 인구만을 대상으로 연구해서 밝혀낼 부분이 있는 지를 알아보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As the population all over the world ages, there are concerns regarding every issue of the elderly. There are indications in the literature that individuals in the oldest group experience increases in the number of limitations they face in the areas of physical functioning, cognitive skills,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why it is that some elderly age successfully and are able to remain relatively independent on the face of increasing disabilities, while others are not so successful and require extensive intervention. However, there is no consensus about which aspects of successful aging influence independence. Instead, researchers have interpreted successful aging in a variety of ways. Some of these include life satisfaction, morale, well-being, survival or physical functioning, wisdom, quality of life, and mental health. Researchers disagree on how to define successful aging. The present study will attempt to define the concept and the criteria of successful aging. Previous approaches to the study of successful aging and its related themes mentioned above are reviewed with two perspectives, such as, psychological approach and sociological approach. In psychological approach, classic developmental theories and life-span developmental perspective. According to some classic theorists, i. e., Jung, Erikson, Peck, adults need to carry out the psychological tasks of each stage of life in an emotionally healthy way. For Erikson, a sense of ego-integrity is the final achievement of late adulthood. Older adults need to evaluate, sum up, and accept their lives so as to accept the approach of death. During this stage, the wisdom may develop. It is an informed and detached concern with life itself in the face of death itself. Wisdom means accepting the life one has lived, without major regrets: without dwelling on should-have-done or might-have-been. One recent attempt to provide a theoretical model of adaptation is the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SOC) model. This model proposes that, as people age, they will select activities and/or goals which are important to them, optimize related skills, and compensate for deficits in order to remain successful in the selected areas. In sociological approach, activity theory and research on quality of life of elderly are reviewed. Activity theory, proposed in 1960 s, states that maintenance of the attitudes and activities of middle age will lead to successful aging. People worldwide are determined to achieve economic prosperity. Economic growth is a policy imperative and an important individual motive in virtually all societies. Nevertheless, it is uncertain whether economic prosperity will enhance the quality of life. Most early uses of the term quality of life refer to well-being, conceptualized as either the objective conditions of living of an individual, as the person s experience of life, or as both. Contributions from psychology, economics, and sociology have helped the paradigm of quality of life to mature and the measure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as improved. Quality of life is ultimately subjective, many believe that objective indicators are at least equally important. Through the review as above, a new definition of successful aging is made as following; continuous developmental processes to achieve wisdom or ego-integrity as task of late adulthood; without any major disabilities in both physical and mental functioning; keep psychological well-being; participate in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ignificant others; and family values, i. e., global satisfaction with family interaction. Dimensions are as follows; 1) psychological development has self-concept, locus of control, and cognitive functioning, 2) social relationships have social contacts and family contacts, 3) physical health, and 4) mental health have illness, functioning, and self rated report. This study has limitations, since all the previous researches and theories reviewed are western origin including the U. S.. Definition and dimensions here are more appropriate to the westerners, and another definition and criteria based on the broad review of Korean research will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심리학적 관점의 성공적인 노화 ------------------------------------- 4 A. 고전적 발달이론 --------------------------------------------------- 4 B. 전생애 발달이론 --------------------------------------------------- 7 1. Ryff의 통합모델 -------------------------------------------------- 8 2. Baltes의 SOC 모델 ------------------------------------------------ 11 Ⅲ. 사회학적 관점의 성공적인 노화 ------------------------------------- 17 A. 활동이론 ---------------------------------------------------------- 18 1. 등장배경과 주장 -------------------------------------------------- 18 2. 선행연구 --------------------------------------------------------- 19 B. 삶의 질 ----------------------------------------------------------- 21 1. 개념 및 정의 ----------------------------------------------------- 21 2. 노년기 삶의 질 연구 ---------------------------------------------- 23 Ⅳ. 통합적 의미에서의 성공적인 노화 ----------------------------------- 27 A. 성공적인 노화의 통합적 특성 --------------------------------------- 27 B. 구성차원 ---------------------------------------------------------- 30 1. 심리적 측면 ------------------------------------------------------ 31 2. 사회 관계 -------------------------------------------------------- 33 3. 신체 건강 -------------------------------------------------------- 33 4. 정신 건강 -------------------------------------------------------- 34 C. 조작적 정의 ------------------------------------------------------- 35 Ⅴ. 요약 및 결론 ------------------------------------------------------ 37 A. 요약 -------------------------------------------------------------- 37 B.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40 참고문헌 -------------------------------------------------------------- 42 Abstract -------------------------------------------------------------- 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594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성공적인 노화 개념정의를 위한 문헌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oward a new definition of successful aging through the critical literature review-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가정관리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