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성연-
dc.creator김성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9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2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0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253-
dc.description.abstract언어는 사회적 실현이자 사회 역사적 산물로서 인간의 모든 의식적 활동이라 할 수 있는 문화와 밀접한 관계에 있다. 또한 의사 소통 도구인 언어를 학습하는 경우, 의미론적인 측면 못지 않게 사회 문화적인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는 사실은 언어 학습에서 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드러낸다. 문화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려면 내용, 절차 및 방법 그리고 평가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그 중에서 특히 문화 내용에 관한 연구는 가장 시급하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프랑스어 교육의 문화 내용 선정에 초점을 두어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이론적 배경과 이에 대한 적용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는 문화의 개념 및 언어와 문화의 상관 관계, 프랑스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필요성과 문화 교육의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적용으로 외국어로서 프랑스어(FLE)교재와 현 6차 고등학교 프랑스어 교과서 각 3종을 대상으로, 그 내용을 문화적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을 통해 교사의 문화 교육에 관한 의견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 위와 같은 조사를 통해 본 연구자가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프랑스어 교과서는 FLE 교재보다 다양하고 균형있게 문화적 내용을 소개하지 못하였다. 즉 사회 영역과 지식 영역에 많은 비중을 두어 정치, 예술에 관한 내용이 아주 미흡하게 소개되었다. 둘째, 한국 고등학교 프랑스어 교과서는 수준별(프랑스어 Ⅰ·Ⅱ)로 문화적 소재가 적절히 반영되었다. 교육 과정의 지침에 의하면, 프랑스어 교재는 일상적인 생활을 소개하고, 수준이 높아감에 따라 프랑스 문화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다양한 내용을 반영해야 한다. 셋째, 한국 프랑스어 교과서의 사진 자료의 경우, 관광 관련 사진이 가장 많이 제시되었고 다음으로는 교통, 인물, 축제 및 명절, 예절 사진이 차지하였다. 넷째, 대다수의 교사들은 문화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지만, 실제 수업에서 문화 수업은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교사들은 자료의 부족 및 수업 시간의 부족을 이유로서 가장 많이 꼽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자는 보다 효과적인 프랑스어 문화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다음의 몇몇 제안을 하고자 한다. 우선 교육 과정에 문화 내용란을 상세화하고 거기에 맞추어 교과서는 보다 다양하고 균형있게 문화 소재를 반영해야 한다. 또한 교과서 내용에 맞는 보조 자료를 개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실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 기술들이 교사 연수를 통해 문화 교육 담당 교사에게 소개되고 교육되어야 하며, 교사 스스로 객관적인 시각을 가지고 프랑스어 수업에서 문화를 교육하도록 애써야 한다. ; La langue comme pratique sociale et produit socio-historique est etroitement liee a la culture qui prend pour toutes les actions conscientes faites par l homme. Puis en cas d apprentissage de la langue, instrument de communication, il faut considerer des aspects socio-culturels non moins que des aspects semantiques. Cela montre l importance de l enseignement de la culture dans celui de la langue. Pour un enseignement efficace de la culture, on doit etudier sur les contenus, la progression, les methodologies et l evaluation a fond. Parmi ceux-ci, surtout l etude sur les contenus culturels est urgente parce que jusqu a present tres peu d etudes ont ete faites sur ce sujet. C‘est pourquoi nous avons focalise l attention sur la selection des contenus culturels pour l enseignement /apprentissage du francais. Cette etude se constitue en deux grandes parties: d abord, nous avons theoriquement examine la notion de la culture, la relation entre langue et culture, la necessite de l‘enseignement de la culture et les contenus et les elements de cet enseignement. Ensuite, nous avons essaye d analyser les contenus culturels des manuels coreens et francais, nous avons lance un questionnaire aupres des enseignants du secondaire et analyse leur attitude et leurs besoins concernant l enseignement de la culture. Nous avons ainsi obtenu les resultats suivants: Premierement. en comparaison des manuels du francais comme BIENVENUE EN FRANCE, Le nouvel ESPACES et PANORAMA, les manuels coreens de francais du lycee ne presentent pas la diversite ni l equilibre des contenus culturels. C est-a-dire, les manuels coreens ont consacres plus de la moitie des contenus culturels aux items sociaux et intellectuels. Des contenus politiques et artistiques sont le moins presentes. Deuxiemement, les manuels de francais du lycee presentent les contenus culturels selon le niveau(Le FRANCAIS Ⅰ·Ⅱ). Comme le programme d enseignement demande dans ses directives, les manuels coreens de francais presentent d abord les elements de la vie courante pour arriver ainsi a la comprehention plus globale de la culture francaise. Troisiemement, l analyse des documents photographiques montre que les documents les plus nombreux sont les photos de tourisme, puis celles de transports et de personnages. Quatriemement, la plupart des enseignants sont conscients de la necessite de l‘enseignement de la culture mais n y donne tres peu de place dans la classe par manque du temps et des materiaux supplementaires. En nous basant sur ces resultas, nous avons fait pour un ensignement efficace de la culture en Coree, les propositions suivantes: D abord, il faut presenter les contenus culturels de programmes institutionels en detail et puis dans les manuels actuels de francais du lycee, on devait presenter des aspects culturels plus varies et plus equilibres, Ensuite, il est necessaire d exploiter les materiaux supplementaires(par exemple cassette, video) adaptes aux manuels de francais du lycee. Finalement, dans le stage pour les enseignants de francais, il est absolument necessaire de donner les techniques d enseignement pour les pratiquer dans la classe et il faut que les ensignants de francais doivent essayer d enseigner la culture francaise dans l enseignement du francais en ayant une vue objectiv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문화와 언어 = 5 1. 문화의 개념 = 5 2. 문화와 언어의 관계 = 8 B. 프랑스어 교육과 문화 교육 = 11 1. 문화 교육의 필요성 = 11 가. 의사 소통 능력 함양 = 11 나. 학습 동기 유발 = 14 다. 교양적 가치 = 15 2. 문화 교육 내용 = 15 가. 프랑스 학자들이 제시한 문화 교육 항목 = 15 나. 영국의 예비 프랑스어 교사를 대상으로 한 문화 교육 항목 = 20 다. 한국이 선택한 고등학교 프랑스어 문화 교육 항목 = 21 3. 문화 교육 방법 = 23 가. 교재 편성 = 23 나. 지도 방법 = 25 다. 프랑스 문화 교육 담당교사 = 28 Ⅲ. 연구 방법 및 내용 분석 = 30 A. 교재 분석 = 30 1. 교재 분석 대상 및 기준 설정 = 30 2. 교재 분석 = 34 가. FLE교재 = 34 나. 한국의 고등학교 프랑스어 교과서 분석 = 38 다. FLE교재/ 한국교과서 공통 항목별 분석 = 42 라. 교과서의 수준별 문화 항목 비교 = 49 (1) 프랑스어 Ⅰ에 나타난 문화 항목 분석 = 50 (2) 프랑스어 Ⅱ에 나타난 문화 항목 분석 = 52 마. 사진 자료 분석 = 55 B. 설문 분석 = 57 1. 교사 대상 설문 조사 방법 및 절차 = 57 2. 문화 교육에 관한 교사 설문 분석 = 57 Ⅳ. 결론 및 제언 = 69 참고문헌 = 73 부 록 = 76 불문초록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640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고등학교 프랑스어 교육의 문화 내용 선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불어교육전공-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불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