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6 Download: 0

독해 선행 활동이 읽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중학생을 중심으로

Title
독해 선행 활동이 읽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중학생을 중심으로
Authors
천명옥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modern times, people are getting much information in many ways and it is necessary for them to read a lot of English materials quickly. In addition, reading seems to be a basic skill in becoming a fluent speaker. Therefore reading is identified as an important language skill. However, English reading instruction in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places focus on vocabulary and grammar and makes learners interpret words literally through their grammar knowled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reading instruction methods which help the students participate in reading activities actively.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effects of pre-reading activities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advanced middle schoo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in English short stories. Four experimental groups and one control group consisted of advanced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Four experimental groups were assigned to a picture group, a story map group, a vocabulary group and a pre-questioning group in terms of the types of pre-reading activities: picture context, story map context, vocabulary study and pre-question. The experimental groups took part in activating their schemata through the pre-reading activity, but the control group did not. During the eight-week experiment, the number of wrong answ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duced more than it of the control group.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four experimental groups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mean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when they were given pre-reading activities. This result seems to indicate the ability of using one s background knowledge which was developed through pre-reading activities has an effect on the understanding of new reading materials. Secondly, in the reading comprehension test which was used during the experiment, the activities using pictures and story maps reduced the number of wrong answers much. So, in the effects of the types of pre-reading activities on the understanding of new reading materials, the activities of using pictures were much more effective than the others. Meanwhile, the change of the number of wrong answers was least because vocabulary study by bottom-up processing is not able to predict the content of the stories easily. That is to say, vocabulary study was less effective than pictures, story map and pre-questions. Therefore, picture context, story map context, and pre-question would be better for the understanding new materials than vocabulary study. Thirdly, in the reading comprehension test which was used during the experiment, the activities using pictures and story maps reduced the number of wrong answers much and vocabulary study reduced the least number of them, regardless of learners reading ability: advanced and lower level. So, in the effects of the types of pre-reading activities according to learners reading ability, using pictures was the most effective regardless of their level. Using pictures had the most positive effect and using a story map, pre-questions, and vocabulary study had an effect, in that order, on all levels: advanced, intermediate, and lower level. Therefore activating their s schema by using pictures seems most effective on reading comprehension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e-reading activities were effective on Korean advanced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ly, activating learners schemata through pre-reading activities is desirable to make students reading activity more meaningful and easier. Thirdly, they suggest that a teacher should provide the appropriate amount of information before reading according to the background knowledge of learners. That means the teacher should give the lower readers relevant information to facilitate their understanding and help the advanced readers use information. ; 정보화 시대인 현대 사회에서는 인터넷이나 통신을 통해 영어로 쓰여진 방대한 양의 자료들을 접하게 되고, 그만큼 영어 읽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우리나라 중 · 고등학교 영어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읽기 지도는 주로 어휘와 문법 지식을 통하여 글자 그대로를 해석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진정한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읽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할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읽기 지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자신의 선험 지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읽기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독해 선행 활동이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읽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실험 연구는 선행 학습 유형별로 그림, 이야기 망, 어휘 학습, 선행 질문으로 구별된 네 개의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분리된 중학교 2학년 상위 수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8주간 실시되었다. 그림 집단, 이야기 망 집단, 어휘 학습 집단, 선행 질문 집단에게는 선행 학습을 통한 스키마 활성화 훈련을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에게는 스키마 활성화 훈련을 실시하지 않았으며, 읽기 전 지도 방법 외에 읽기 수업에 사용된 교재와 시간 등은 모두 동일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 및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 활동 훈련을 받은 실험 집단과 훈련을 받지 않은 통제 집단을 비교한 결과, 실험 기간 중에 실시된 독해 평가에서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오답 수의 감소 현상이 두드러졌고 실험 이전 · 이후 점수 향상도 면에서도 실험 집단의 점수 향상이 유의하게 높았다. 통제 집단도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실험 집단의 향상과는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선행 활동을 통한 선험 지식 활용 능력이 배양된 학습자들은 실험 후 새로운 읽기 자료에 대해서도 자신의 선험 지식을 어느 정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선행 활동의 유형별로 분류된 그림 집단, 이야기 망 집단, 어휘 학습 집단, 선행 질문 집단 모두 실험 기간 중의 독해 평가에서 오답이 감소되었으며 그 중 그림과 이야기 망 집단의 오답 수가 특히 많이 줄었다. 점수 향상도 측면에서도 각각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특히 그림 제시 활동을 통해 선험 지식 활용 능력이 생긴 학습자의 읽기 능력이 가장 많이 향상되었고, 이야기 망 제시, 선행 질문 활동의 효과가 그 다음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어휘 학습 활동은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는 상향식 과정을 적용한 어휘 학습 집단이 하향식 과정이 사용된 다른 집단에 비해 내용을 예측하기 힘들었기 때문에 실험 기간 중의 독해 평가에서 오답 수의 감소가 가장 적었으며 따라서 실험 이후 점수도 거의 향상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즉, 예측 능력을 많이 사용하지 않았던 어휘 학습 집단은 실험 이후 평가에서도 독해 능력이 가장 적게 향상된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초급 단계 학습자들의 선행 활동으로는 어휘 학습을 통한 활동보다 그림 제시, 이야기 망 제시, 그리고 선행 질문 활동이 더 권장할 만하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학습자의 읽기 능력 수준에 상관없이 각 선행 활동의 효과의 정도가 동일하게 나타났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실험 기간 중에 실시된 독해 평가에서 상위 그림 집단과 이야기 망 집단의 오답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고, 어휘 학습 집단은 오답이 감소되기는 하였으나 전반적인 사항을 묻는 문항에서는 오답의 감소 비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 실험 이후 평가에서도 그림과 이야기 망을 통한 예측 훈련이 효과가 있었으며 어휘 학습 활동은 큰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중위 집단 학습자들에게도 그림을 통한 예측 훈련, 이야기 망 제시 활동과 선행 질문 활동이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어휘 학습 활동은 중위 집단 학습자들의 읽기 이해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하위 집단 학습자들에게도 실험 기간 중의 독해 평가에서 그림 집단과 이야기 망 집단의 오답 감소율이 컸고 어휘 학습 집단은 그 변화가 뚜렷하지 않았다. 실험 이후 평가에서는 그림 제시와 이야기 망 활동, 선행 질문 활동이 크게 효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하위 수준의 학습자에게도 어휘 학습 활동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읽기 능력 수준에 상관없이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생의 독해 능력 향상에 가장 효과적인 선행 활동은 그림 제시 활동인 것으로 보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