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3 Download: 0

학교사회사업 서비스 수혜욕구에 대한 연구

Title
학교사회사업 서비스 수혜욕구에 대한 연구
Authors
최연선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인영
Abstract
교육부가 1998년 10월에 200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선안을 확정·발표하면서 앞으로 학생들에게는 학교교육을 포함한 교육환경에 많은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이는 현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하는 2002학년도부터 새롭게 변화되는 대학입학전형에 맞춰 학교생활을 해 나가야함을 의미한다. 새로운 대입전형은 대학의 학생선발에 있어서의 자율성을 대폭적으로 확대한 것과 초·중·고교의 입시위주 교육으로부터의 탈피로 특징지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에 맞춰 학생들이 지금까지의 암기위주의 교육·입시위주의 교육과는 다른 새로운 교육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문제가 있음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2002학년도 대학입학제도와 같은 교육개혁이 추진되고 있는 우리 상황에서 학생들의 교육권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서의 학교사회사업서비스를 적극 도입하여 활용하는 노력이 이루어져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사회사업 실천의 궁극적 대상이 되는 학생, 특히 2002학년도 대학입학제도의 변화에 맞춰 학교생활을 해나가야 하는 중학생들의 욕구에 부합하는 학교사회사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학생들이 인지하고 있는 교육환경의 변화와 그에 따라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구체적인 서비스의 욕구가 무엇인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교육환경변화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과 교육환경변화에 대한 인식정도, 인식경로, 교육환경변화에 따라 예상되는 생활영역의 변화를 파악하였고, 교육환경변화를 인식하고 있는 정도에 따른 학교사회사업서비스 욕구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학교사회사업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학교사회사업서비스에 대한 6개의 하위영역 즉, 학생문제에 대한 사정 및 치료, 자원의 활용 및 변화, 학생 인성 및 학업관련 상담, 학교교육시책 수립시 참여, 학교와 가정과의 연결, 그리고 학교와 지역사회와의 연결로 분류된 조사설문지를 근거로 하여 전체 조사대상자의 학교사회사업서비스 욕구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성별, 생활수준별, 지역별, 교육환경변화의 인식정도별 차이에 대한 학교사회사업서비스 욕구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서울시내에 있는 중학교에 재학중인 총 40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1999년 4월 15일에서 4월 23일동안 실시되었고, 최종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379부였다. 조사도구는 미국사회사업가협회(NASW)의 학교사회사업실무지침과 Costin이 개발하고 전문가(전재일 외)의 검토를 거쳐 재구성한 조사설문지(학교사회사업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사용하였으며, 분석시에는 SPSSWIN 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의 방법으로 통계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교육환경변화에 대한 인식은 전체 응답자 중 239명(64.6%)이 2개 이상의 교육환경변화에 대해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변화하게 되는 대입제도와 그에 따른 교육환경변화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사대상자가 교육환경변화를 알게된 경로는 189명(63.0%)이 TV등 매스컴을 통해 교육환경의 변화에 대해 알게 되었다고 응답하여 청소년들은 대중매체 속에서 교육환경변화와 같은 청소년 자신들과 관련된 정보를 많이 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또한 대중매체가 청소년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환경 변화내용가운데 조사대상자의 찬성 정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평균인을 양성하는 교육에서 학생 개개인의 소질을 계발하는 교육으로의 변화’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자율적인 다양화 교육으로의 변화’, ‘현장체험을 중시하는 교육으로의 변화’, ‘학생중심의 실천교육으로의 변화’의 순으로 나타났고, 전체 조사 대상자의 276명(74.2%)이 교육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앞으로 학교생활에 가장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여 응답자들은 교육환경변화가 학교생활과 관련된 영역, 즉 학교와 또래친구와의 관계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6개 영역으로 구성된 학교사회사업서비스 욕구에 대한 조사결과 전체 조사대상자들의 학교사회사업서비스에 대한 욕구는 중간점보다 높은 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장 필요로 하는 학교사회사업서비스는 ‘학생인성 및 학업관련 상담에 대한 욕구’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학교교육시책 수립시 참여’, ‘학생문제에 대한 사정 및 치료’, ‘학교와 가정과의 연계’, ‘학교와 지역사회와의 연계’, ‘자원의 활용 및 변화’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응답자들이 입시나 진학을 강조하던 기존의 교육환경에 아직 커다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해 볼 수 있으며 이것은 물론 입시위주의 현 교육체제의 개선과도 연관된다고 볼 수 있다. 3. 성별에 따른 학교사회사업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살펴보면, 남학생, 여학생 모두 학교사회사업에 대한 욕구가 있으며,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으나 성별에 따른 욕구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학교사회사업서비스에 대한 생활수준별 욕구를 살펴보면, 다른 하위영역에서와 마찬가지로 학교사회사업에 대한 욕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욕구의 정도를 보면, 하층이 학교사회사업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가장 높으며 상층이 가장 낮게 나타나 생활수준이 낮을수록 학교사회사업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욕구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One-Way ANOVA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5. 4개 지역에 따른 학교사회사업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살펴보면, 다른 하위영역에서와 마찬가지로 학교사회사업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개 지역 모두에서 ‘학생 인성 및 학업관련 상담’에 대한 욕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별 욕구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One-Way ANOVA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6. 마지막으로 교육환경의 변화에 대한 인식정도 차이에 따른 학교사회사업서비스의 욕구를 분석해 본 결과 교육환경변화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학교사회사업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인지를 검증하기 위해 One-Way ANOVA분석한 결과는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자는 학교사회사업서비스의 직접적 대상자인 학생청소년들에게 2002학년도 대학입학제도의 개선에 따른 교육환경변화속에서 학교사회사업서비스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제공하기 위한 학교사회사업가의 역할로 교육자, 사례관리자, 상담자, 중개인, 공동협력자로서의 역할을 제시해보았다. 학교사회사업가의 역할이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학교체계에 학교사회사업제도가 시급히 도입되어야 할 것이며, 학교사회사업가와 학교체계 내에서의 다양한 분야의 교육전문가들이 상호이해와 협조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 Since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nounced "New system of University entrance for year of 2002" on October, 1998, anticipated changes for students in their educational circumstances including school education. This means that current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first year should adjust to their school life for their new entrance system of University in 2002. The new system of University entrance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gave more freedom to unviersities to choose students for who they are and also escaping from old system which was just for entrance education. Meanwhile, we can not overlook that their are still problems that current high school students must adjust themselves to a new education enviornment which is totally different from old one tha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nterance examination. Also we need to adopt school social work service as a staff toward the renovation of educationl system such as new system of university entrance for year of 2002.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at student need about their desire for services to provide best of it to them, especially who is going to b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ho must to adjust their school life geared toward the new system of University entrance. To do this I researched students opinion, extent of recognition , the pathway of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 I also researched change of living province in terms of anticipating in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 Finally I analyzed the difference of need for school social work service due to students recognized education environment change. To find out need for school social work services, I researched them in 6 different areas, treatment assessment of the students problem, utilizing resources and changing service, educational counseling with students, leadership and polish-making, home-school relation and home-community relation. From each section, I could get each question sheet from all applicants then I also can get analysis about extent of need for school social service by the sex represents, by living standards. and by the regions. To do this research, I chose 400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randomly. Suvery was from April 15 to 23, 1999, 379 sheet of total papers were used for this final survey. Survey tools were used such as qusetion sheets(Desire for school social work service) which are invented by Costin in NASW and investigated by experts. Just in case of analysis I transact via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methods which were used by SPSSWIN 8.0 statistically. The result of this reserch is as follows: 1. It is reported that 239 people (64.6%) know more than 2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s. This represents that people are very interested in new system of University entranc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 due to it. It is sad that 189 people (63.0%) of applicants know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s by TV or mass media and the number of people know them by school teachers, parents, or friends. It was shown that young people get their information through Mass media and they get much effect from it as well. Survey on how people thought about changes in educational environment revealed that they ha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m in general. One that received the highest support among the list of changes was changing educational approach from raising someone who can blend in to the society to developing ability of each individual student. Other entries that received high support include change toward flexible education, change toward educationa that puts more emphasis in lcarning from actual experiences, and change toward education where students can do things that are related to their future goals. The 276 people (74.2%) thought school life would be effected the most and social life would also be effected greatly. The people who responded expected that the areas that are influenced by the change i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chool life, such as relationship among school friends and other freiends of their age group, would play the biggest role. 2. What the average about need for school social service meant all applicants have high need about school social service. And it is said that need for utilizing resources and changing service(3.59) is what school social service students needs the most. This represents that applicants are still effected from previous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emphasized the result of entrance examination or the rate of success in it and also represents that they are much interested in new system of University entrance which will be activated in the year 2002. 3. The need for school social service by the distinction of sex represents. This means both men and women have need for school social work and actually the average of women is higher than that of men. t-test was given to verify this statistical difference but thers was no difference in need. 4. Let s take a look at the living standard need for school social work service. It tells us that there is also need for school social work service in living standard desire as another low area has it. The need is getting higher in low area and getting lower in high area which means lower living standard, higher need for school social work service. After we analyze the result of ANOVA go verify whether the difference of need has meaning statistically, we can see there was slight difference. 5. The need for school social service by the distinction of region. This means 4 regions have need for school social work. Kruskal-Willis Test was given to verify whether the difference of need has meaning statistically, we can see there was slight difference. The need is getting higher in low area and getting lower in high area which means lower living standard, higher need for school social work service. 6. Lastly when the level of understanding for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 based on school social work service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as the level of recognition for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 went up, the level of realization toward the need for school social work service also went up. To see whether this difference had any significance, the date was analyzed. The result of ANOVA showed that it was significa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 would like to make suggestions to students who would be affected by the school social work service directly that the change of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modification of the college entrance process of the year 2002 to participate in the roles of teacher, counselor, and mutual helpers. In order for these school social work services role to be utilized at their full potential, current school system should embrace the school social service system as soon as possible. The mutual understanding and system of cooperation among educational specialists who play various roles in the school social worker and school system remains as a problem that needs to be solv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