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46 Download: 0

사회적 지지가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사회적 지지가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uthors
임정기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Master
Advisors
강철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r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s social work intervention methodology on mental health disorder s empowerment. Empowerment is measured by several dimension, personal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mental health disorder s is measured in this sturdy. The definition of Empowerment is "the process of psychology and cognition that strengthen self-image such as self-esteem and self-efficacy, enable actual power and enhance social-political consciousness" To measure empowerment, It is used consumer-constructed empowerment scale by Rogers etc.(1997) It is pointed that supportive social network, mutual aid and self-help group are important for client s empowerment in social work practice principals. So social support is predictable variable that has effect on mental health disorder s empowerment in this sturdy. Social support used in this sturdy is "perceived social support" about actual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of multiple dimensional support functions. Social support is measured by sub dimensions of daily emotional support, problem-orientation emotional support, social companionship support, daily instrumental support, problem-orientation instrumental support that is developed by Suurmeijer etc.(1995) A sample of 319 mental health disorders in facilities-nursing homes, homeless facilities- and in community with their family are interviewed in this sturdy. The result was analyzed by descriptive, factor analysis, ANOVA, pearson 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PC.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re is no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between mental health disorder residents in facilities and those in community. And social support is divided into social support transactions and satisfaction, the result show that social support transactions are no difference between mental health disorder residents in facilities and those in community but satisfaction among mental health disorder residents in facilities is higher than those in community. It may be interpreted that mental health disorders need about social support in community is higher or actually they are more alienated in community than living together with same people. 2. Examined sub social support compared with residential type, only daily emotional support is different. Mental health disorders in facilities have more daily emotional support than those in community. It means mental health disorders who live together with same people give and take daily emotional support much more than those in community living. 3. Examined empowerment level compared with residential type, mental health disorder s empowerment in nursing homes is lower than those in community. But homeless mental health disorder s empowerment is not different compared with other residential type. It is one of reasons that homeless mental heath disorders are "homeless people" not "patients" in Korea. So they have less stigma and are served program for independent living than medical treatments. 4.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about empowerment, empowerment is divided into self-image factor include self esteem-efficacy and optimism and control over future, actual power factor include powerless-power and social-political consciousness factor include community activism and autonomy and righteous anger. Examined sub concept of empowerment compared with residential type, actual power among mental health disorders in facilities is lower than those in community. 5.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mental health disorder s empowerment, sex, age, education, religion, medical insurance type, income, diagnosis, prevalent duration, hospitalization or entrance to facilities times, latest 2 years hospitalization or residence in facilities duration, GAF and residential type variables are controlled and then it i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Social support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ental health disorder s empowerment(p<.001). To compared standardized coefficient of empowerment with those of control variable, social support variable has strongest effect on empowerment. 6. Exmined the effect of sub dimension of social support on empowerment, daily emotional support, problem-orientation emotional support, social companionship support, daily instrumental support, problem-orientation instrumental support hav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mpowerment(p<.001). And also it is examined the effect of sub dimension of social support on 3 sub concept of empowerment. The result is that 5 sub dimension of social support hav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elf-image such as self esteem-efficacy and optimism and control over future(p<.001). And they hav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ocio-political consciousness such as community activism and autonomy and righteous anger(minimum p<.05 level). But only daily instrumental support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ctual power(p<.05). Based on these results, social work practice is needed to validate for mental health disorder s empowerment. Above all, natural and supportive social network is very important for mental health disorder s empowerment. So social work intervention is tried to provide environment in which mental health disorders get more power through themselves.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사업적 개입방법으로 사회적 지지에 대한 영향을 탐색해보고자 함에 있다. 정신장애인에 대한 임파워먼트의 수준을 여러 영역에서 측정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수준의 심리학적 임파워먼트를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그 정의는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과 같은 자아상을 강화시키고, 실제적인 힘을 행사할 수 있게 하며, 사회-정치적 의식을 고양시키는 일련의 심리적·인지적 과정”으로 본다. 임파워먼트를 측정하는데는 Rogers(1992)등이 개발한 “소비자가 구조화한 임파워먼트 스캐일(Consumer-Constructed Empowerment Scale)”을 사용하였다. 임파워먼트를 위한 사회사업 실천원리에서는 클라이언트에게 지지적인 사회망과 상호협력 및 자조집단을 연결시켜 주는 것이라고 밝히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입방법으로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사회적 지지는 다양한 영역별 지지 기능에 대한 실제적인 상호작용과 이에 대한 만족도로 나타나는 “인지된 사회적 지지”로 개념화한다. 사회적 지지의 측정은 Suurmeijer(1995) 등이 개발한 것으로 일상의 정서적 지지, 문제중심적 정서적 지지, 사회교제, 일상의 도구적 지지, 문제중심의 도구적 지지로 나누어 측정한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정신장애인의 사회지지 교류 및 만족정도를 거주유형별-정신요양시설, 부랑인시설, 지역사회 거주-로 비교분석해 본다. 2.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지지 교류 및 만족도를 하부영역별로 비교 분석해본다. 3.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 수준을 측정한다. 4.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 수준을 하위개념별로 측정한다. 5. 정신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 거주유형을 통제한 후 사회적 지지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한다. 6. 사회적 지지의 하부영역별이 임파워먼트 및 임파워먼트의 하위개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측정한다. 7.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사업적 개입방법의 근거를 마련한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의 정신요양시설, 부랑인시설 및 주간재활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 지역사회 내 거주 정신장애인 319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설 거주자 및 지역사회 내 거주자의 사회적 지지 정도는 차이가 없었다. 사회적 지지 교류와 만족도를 나누어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사회지지 교류보다 사회지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실제적인 교류 수에 비해 만족의 정도가 높다고 볼 수 있으며, 정신장애인의 사회지지 만족욕구가 실제적 교류 수에 비해 낮다고 볼 수 있다. 거주유형별 비교에 있어서는 사회지지 교류에 있어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사회지지 만족도에 있어서는 시설 내 거주자가 지역사회 거주 정신장애인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정신장애인에 사회지지에 대한 욕구가 더 높을 수 있다는 것과 또 한편으로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이 시설내 안정된 집단에서보다 더 소외되어 있을 경우로 해석할 수 있다. 2. 정신장애인의 사회지지를 하부영역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일상의 정서적 지지만이 거주유형별 차이가 있었다. 시설내 거주하는 정신장애인이 지역사회내 거주하는 정신장애인보다 일상의 정서적 지지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는 동료끼리 함께 생활하는 것이 정서적 지지를 더 많이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3. 거주유형별 임파워먼트의 수준은 정신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이 지역사회내 거주하는 정신장애인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부랑인 시설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은 정신요양시설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 수준과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는 요양시설이 치료위주의 시설인데 반하여 부랑인시설은 정신장애인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는 시설이므로 최소한의 자율성의 보장과 혼합수용에 따른 낙인 및 편견의 부담이 적으며, 치료위주보다는 자활위주의 서비스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 4. 임파워먼트의 하부개념은 요인분석결과 자기존중감-효능감 및 미래에 대한 통제와 같은 자아개념, 무기력감-힘과 같은 실제적 힘, 지역사회 활동과 자율성 및 정당한 분노로 나누어졌다. 거주유형별 임파워먼트의 하부개념을 비교 분석한 결과 무기력감-힘과 같은 실제적인 힘에 있어 시설 내 거주자가 지역사회 거주자보다 낮게 나타나 기존의 연구결과를 입증해 주었다. 5.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지지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성별, 나이, 결혼상태, 학력, 종교, 의료보장형태, 소득, 진단유형, 유병기간, 입원횟수, 최근 2년간 입원 및 입소기간, GAF(General Assessment of Function), 거주유형을 통제하였다. p<.05수준에서 통제변수 중 임파워먼트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요양시설 거주변수로 정신장애인의 요양시설 거주가 임파워먼트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높은 학력과 남성이 임파워먼트 수준과 긍정적인 연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사회적 지지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서는 p<.001수준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는데, 통제변수와의 표준화계수를 비교해 보면 사회적 지지가 임파워먼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 사회적 지지의 하부영역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결과에서는 일상의 정서적 지지, 문제상황 정서적 지지, 사회적 교제, 일상의 도구적 지지, 문제상황 도구적 지지의 5가지 하부영역 모두 임파워먼트에 각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p<.001). 이 중 사회적 교제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하부영역이 각각 임파워먼트의 하부개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에서는 5가지 영역이 임파워먼트의 자기존중감-효능감 및 미래에 대한 통제력(p<.001)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다. 또한 지역사회 활동 및 정당한 분노의 영역에 대하여는 각기 다른 유의미한 수준이었으나 최소 p<.05수준에서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무기력감-힘의 영역에 대하여서는 사회적 교제 중 사회교제 만족도와 일상적인 도구적 지지, 일상적인 도구적 지지 중 일상의 도구적 지지 교류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정신장애인의 정상화 및 사회통합화를 위해서는 정신장애인 스스로가 힘을 얻을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2.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를 위해서는 기존의 접근방식인 온정주의적, 보호차원으로부터 장애인 권리 차원의 접근방법으로 전환될 수 있어야 할 것이며, 정신장애인을 스스로의 삶에 대한 통제력과 사회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사회구성원으로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3.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를 위해서 사회사업가는 치료자-환자라는 수직적 관계로부터 수평적 관계, 상호협력적 관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4.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사회사업적 개입방법은 그들이 스스로의 힘을 엮어 갈 수 있도록 자연적 지지망을 형성해 주어 자신의 문제에 대하여 한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임파워먼트를 위한 사회사업가의 역할은 그들을 인정해주고 정당성을 부여해주는 역할(Validator)이라고 볼 수 있다. 5.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를 위해서는 정신장애인 중심의 서비스가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며, 서비스의 계획 및 실행에 있어 정신장애인의 욕구가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그들을 참여시키는 방법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서비스의 평가에 있어서도 무엇보다도 정신장애인의 욕구 및 의견이 얼마나 충족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