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5 Download: 0

소년소녀가장세대 청소년의 정서적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소년소녀가장세대 청소년의 정서적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uthors
이윤경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Master
Advisors
정영순
Abstract
최근 가족해체현상이 심해지면서 결손가정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중 소년소녀가장세대도 증가추세에 있다. 이들은 청소년기임에도 불구하고 한 가정의 가장 역할을 해야 하며 경제적인 어려움도 감당하는 처지에 있다. 소년소녀가장세대 청소년은 경제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불안 등의 정서적인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이들에 대한 지원은 경제적인 지원인 결원후원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정서적 불안이란 정상적인 반응이자 감정이며 그 수준이 적당할 때는 사람을 민첩하게 하고, 위기에 보다 잘 대처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불안이 심할 경우 상황지각을 객관적으로 할 수 없으며,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못하게 되고, 적응능력이 감소할 뿐 아니라 신경증의 원인이 되고 개인의 수행력이 저하된다. 더욱이 가정생활, 학교생활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년소녀가장세대 청소년의 경우 정서적인 안정의 문제가 보다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년소녀가장세대 청소년의 정서적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각 요인의 정서적 불안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고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년소녀가장세대 청소년을 위한 개입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소년소녀가장세대 청소년의 정서적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일반 청소년 및 결손가정, 소년소녀가장대상의 선행연구를 통해 연령, 성별, 가장이 된 원인, 가족구성, 자아존중감,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를 선별하였고, 각각 정서적 불안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의 소년소녀가장세대 청소년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307명에게 정서적 불안, 자아존중감,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일반적 특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총 65부(남 32, 여 33)이었으며 SPSS/WIN PC를 이용하여 Cronbach s α, 기술통계분석,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 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서적 불안을 조사한 결과, 특성 전부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여학생의 경우와 연령이 16-18세인 경우, 무교일 경우에 정서적 불안의 정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구성과 가장원인에 따른 정서적 불안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가족구성에서는 이웃과의 동거, 지정원인에서는 부모부재인 대상자의 불안수준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지지와 정서적 불안간의 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정서적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존중감,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지지에 대한 단순회귀분석을 한 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유형중 정서적지지, 친구의지지, 교사의지지, 전문가의 지지이외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연령, 성별, 가장원인, 가족구성, 자아존중감, 가정생활영역과 친구영역, 학업영역, 학교/교사영역으로 구성된 일상적 스트레스, 그리고 지지제공자(친구, 친척, 이웃, 교사, 전문가)와 지지유형(정서, 정보, 평가, 물질적 지지)으로 분류된 사회적지지 중 정서적 불안을 가장 유의미하게 예측할 수 있는 변수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지지제공자와 지지유형은 중복되므로 불가피하게 두 번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 가정생활스트레스, 성별의 순으로 정서적 불안에 대해 큰 영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소년소녀가장세대 청소년의 정서적 불안은 단순한 요인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여러 요인들의 복합적인 과정을 통해 일어나는 것이다. 특히 낮은 자아존중감, 가정생활영역스트레스, 친구영역스트레스, 학업영역스트레스, 교사/학교영역스트레스, 친척의지지, 이웃의지지, 정보적지지, 평가적지지, 물질적지지는 정서적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특히 자아존중감과 가정생활관련 스트레스, 성별이 정서적 불안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증명되었으며,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할수록 소년소녀가장세대 청소년이 정서적 불안을 경험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소년소녀가장세대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을 방해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이들의 어려움을 이해하며, 스트레스에 대처하고 극복할 수 있는 자원을 제공하고 사회적 지지망을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청소년기 발달에 중요한 자아정체감을 회복시켜 자아존중감을 형성하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또한 일반 청소년과는 달리 가정이나 친구, 학교보다 이웃과 친척의 지지가 정서적 지원과 성장, 적응에 도움이 되므로 지역사회가 지지적 환경을 조성하도록 사회적 환경을 향상시키는 일이 필요하다. ; In the aspects of the family s function, weakened family ties and family separations are becoming more and more prevalent. As one of its phenomena, a number of teenage heads of household are eminently increasing in its number. Adolescets in teenage heads of family are confronted by many difficulties and they have heavy burden that take charge of their family s lives, although they have to get emotional support. But now only economical support is being performed. Emotional anxiety is human s normal response and affection. If a level of anxiety is approxiate, he or she become clever and he ll cope with critical conditions. But If anxiety is extreme, can t recognize the reality and have goo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nxiety can reduce a capacity of adjustment, and personal management. Moreover, teenagers in haeds of family emotional problem is more important. Therfore, present study focused on selected anxiety-related factor frequently reported in literature, those variables that are prominent predictors of emotional anxiety in adolesc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nxiety and affecting factors - self-esteem, stress, and social support. Also influence of gender, sex, and characteristics of teenage heads of family was studied. A sample of 65 adolescents(32 male, 33 female) in teenager heads of housholds completed a personal information form, State-Anxiety Inventory(STAI-II), self-esteem scale, Daily Hassles Questionnaire(DHQ), and social appraisal scale. The result was analyzed by descriptives, t-test, One-way ANOVA, Pearson s correlation, Linear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PC. The result of this result are as follow: 1. There was not a significant gender and sex differences in the subjects anxiety. In females and nonschool groups reported greater anxiety. And family members and reason(that became heads of househods) variables didn 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ving with neighborhood, non-parents group had greater anxiety level. 2. Self-esteem, stress, social support were related to emotional anxiety. To investigate predictors of anxiety, simple regression analysis with anxiety as the dependant variable was performed. The analysis identified self-esteem, stress, social support is significant factors, but as component of social support, emotional support, peers support, teacher s support, professional s support was not singnificant factors. 3. The muliple regression analysis including age, sex, reason, family members was performed. The analysis identified self-esteem as the best predictor. Also high family related stress and sex emerg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anxiety. The abov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emotional anxiety is a complex function of self-esteem, stress, and social support. Specially low self-esteem, high family related stress, peer related stress, performace related stress, school related stress, relatives support, neighborhood s support, imformational, evaluational, and material support was affecting emotional anxiety. And the best predictors of anxiety was self-esteem. In order to reduce stress that interfere the emotional stability and development of adolescents in teenage heads of family, it is of utmost importance to take into account all aspects of the individual s world and to strengthen the adolescent s social support networks and resources to cope with stress and to address the significance of neighborhood, community approach. Additionaly, because teenage heads of family have more support from neighborhood and relatives than general adolescents, and its support help their development, adjustemot, and emotional support, intervention approach would be promoting community participation and improving social environ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