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6 Download: 0

고등학교 성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인문계 여자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Title
고등학교 성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인문계 여자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Authors
김성애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들어 성교육의 중요성이 사회적으로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특히 학교에서 담당해야 하는 성교육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서울시 교육청에서 제작한 성과 행복 교과서가 나와 있기는 하지만 교사들은 지도할 내용과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부족으로 성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에서의 성교육은 학생들의 97.0%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그 내용은 충분하지 않다가 96.6%로 학교에서의 성교육을 대부분의 학생이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신남옥, 199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청소년들에게 학교현장에서 실시 할 수 있는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는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직접 실시하여 성교육 후의 태도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에 소재하는 J여자고등학교 2학년 6학급(266명)으로 1999년 1학기 4월에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연구자가 제작한 성교육프로그램을 가지고 6개월간 교련 단체 수업시간에 30시간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교육 실시 직후인 1999년 10월에 사후 성태도 검사와 성교육 수업 후 의견조사를 실시하여 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발된 30시간용 성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생리적 영역이 3시간, 심리적 영역이 8시간, 사회적 영역이 14시간, 가치관 영역이 5시간이며, 성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청소년 각 개인에게 성적 주체성을 확립시켜주어,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고 책임 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2. 성태도 전체점수는 성교육 후에 유의하게 높아졌다. 영역별로는 자위, 혼전성관계, 피임, 음란물, 성행위, 임신, 성폭력 등 모든 영역에서 성교육 후에 유의한 성태도 점수의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증가를 보였다. 3. 성태도의 영역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자위와 성폭력간의 관계만을 제외하고는 모두 의미 있는 상관을 보였다. 자위행위에 개방적인 청소년들은 미혼성관계는 가능하며, 음란물을 많이 보거나 접촉량이 높아 음란물에 대해 비판적이지 않은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성행위에 대하여도 왜곡된 사고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다. 피임에 대해 긍정적 사고를 할수록 미혼성관계에 대해 더 개방적인 사고를 하는 경향이 있었다. 자위와 미혼 성관계가 다른 성태도와 많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성교육에 있어 이 영역에 대한 태도 정립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4. 실시한 성교육에 대한 만족정도는 만족스럽다(48.1%), 보통이다(46.2%), 매우 만족스럽다(4.9%)으로 나타나 성교육에 대해 53%가 만족스럽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도움이 된 영역순서는 사회적 영역(32.5%,), 가치관 영역(31.7%), 심리적 영역(21.1%), 생리적 영역 (14.7%) 이었으며, 부족한 영역순서는 심리적 영역(29.4%), 사회적 영역 (26.8%), 생리적 영역(23.8%), 가치관 영역(17.4%)이었다. 성교육 수업 방법 중 선호하는 것은 사례분석(55.1%)과 비디오 (38.1%)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성교육은 청소년의 성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청소년 발달단계에 맞는 체계적인 성교육 프로그램이 많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지도하기 위한 자질있는 지도자와 풍부한 자료가 필수적으로 뒤따라야 하며 성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성교육의 효과를 측정해 볼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검사가 다양하게 만들어져야 하며 이를 총괄 할 수 있는 기구가 마련되어야 하겠다. ; Sinc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sex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in this society recently, the responsibility for promoting a sex educational program should fall on the school system. Although the textbook called "Sexuality and Happiness" is distributed by the Educational Department of Seoul City, it is very difficult for many teachers to teach about sex education in schools because there is little study material available on the teaching methods and about the systemic contents of sex education. According to a student survey, 97.0% of the students agreed that sex education is necessary in schools, however, 96.6% among them said that the available contents of sex educational programs were not appropriate. So the result was that most students wanted and needed sex education in the school(Namok shin, 1992).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carry out a sex educational program to apply in schools including various contents, with a follow up analysis of students attitude on sex-before and after-- the study. There were 266 students that participated in the study; six classes of the second grade level at J High School for girls, located in Seoul City. Thes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which commenced in April 1999. At that time, a sex educational program that researchers developed, was administered to each group for a 30-hour term. These lessons, making use of military drills and group teaching techniques, extended over a 6-month period. In October 1999, just after the trial-course completion, we investigated the sex attitudes and opinions of the participants, and then analyzed the data. The results were compiled and formally presented. Course contents and Findings: 1. The developed sex educational program for 30 hours was composed of 3 hours in the area of physiology, 8 hours in the area of psychology, 14 hours of social content and 5 hours considering the sense of value issues. The goal of this research program was to allow the juveniles to establish their sexual subject hood, so that they, themselves, could decide on a sexual life, or a life having a sense of responsibility. 2. The new recorded scores (among the group) on sex attitude were much higher after the trial class on sex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us that all scores increased among the sexual orientation areas such as masturbation, premarital sexual intercourse, contraception, lasciviousness, pregnancy and sexual abuse. 3. The correlation of sex attitudes among each area of orientations showed something meaningfull, excep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asturbation and sexual intercourse. In the case of adolescents who are open to masturbation, it showed that premarital sexual intercourse was available to them, but they seemed more critical for something lascivious because they had a lot of opportunities to see it being performed, and thus thought negatively toward this sexual act. The results further showed a tendency that the persons who think of contraception positively were more open to premarital sexual intercourse. With masturbation and premarital sexual intercourse having a closer correlation than to the other sexual orientations, we feel that this point must be emphasized through sex education classes in the future. 4. The percentage levels of acceptance for the course in general were: 4.9%, very satisfied, 48.1% satisfied, with 46.2% only feeling good about the course. Course contents in order that were beneficial to the group were: a) social area, 32.5%, b) sense of value area, 31.7%, c) psychological area, 21.1%, and d) physiological area, 14.7%. Course contents in order that were least beneficial to the group were: a) psychological area, 29.4%, b) social area, 26.8%, c) physiological area, 23.8%, and d) sense of value area, 17.4%. The teaching method favored by 55.1% of the students in the sex educational course was the discussions in case analysis with the use of video presentations. In conclusion, the author recommends, while realizing sex education influences the sex attitudes of juveniles, that a special format for systematical, sex educational programs be developed, and especially applied during the development years of the juvenile. It is essential that teachers are properly trained and are supplied with adequate materials.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and reliable testing be administered in the early years of juvenile development, with proper measuring tools in the hands of a responsible and influential organiz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