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0 Download: 0

조직 문화의 유형과 비서직 종사자의 조직 성과에 관한 연구

Title
조직 문화의 유형과 비서직 종사자의 조직 성과에 관한 연구
Authors
이현주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비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조직마다 각각 다른 환경이나 형태, 업종, 가치, 신념, 전통 등이 어우러진 고유의 문화를 가지고 있다. 조직의 문화는 구성원들에게 일체감을 부여하고 조직의 상위 목표에 몰입하도록 돕는다. 따라서 비서는 자신이 근무하고 있는 조직의 문화를 보다 잘 이해하고 조직과 일체감을 공유함으로써 자신의 상사와 조직에 보다 기여하게 된다. 결과로 조직에서 보다 인정받게 되며 자신의 직무에 대한 만족감을 높일 수 있을 것이며 스스로 더 나은 방향으로 업무를 추진해 보려는 노력을 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 문화에 대한 전반적 이론 고찰과 조직 문화와 비서직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대한 관계를 실증 분석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직 문화에 대한 개념, 원천, 형성 과정, 접근 방법, 구성요소, 유형 등을 고찰하였다. 또한 조직문화의 유형과 비서직의 조직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조직의 구성요소인 조직특성, 리더쉽스타일, 조직분위기, 응집력, 관리스타일, 성공의 기준 등으로 문화의 유형을 4가지로 나눈 퀸(R.E.Quinn)의 모형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모형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간관계문화유형, 개방체계문화유형, 위계서열문화유형, 생산중심문화유형 등으로 조직의 문화를 분류하여 현직 비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방식을 통한 실증 분석을 하였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조사한 150부의 설문지를 SPSS 통계 패키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가설 검증시 사용된 통계 기법으로는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등이 사용되었고 실증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유형이 비서직의 조직성과인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인간관계문화유형과 개방체계문화유형은 비서직의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계서열문화유형과 생산중심문화유형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문화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조직문화유형을 독립변수로 조직몰입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인간관계문화유형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개방체계문화유형은 조직몰입에 낮은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생산중심문화유형과 위계서열문화유형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실증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살펴보면 비서직의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관리자는 조직문화유형을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으며, 또한 조직 구성원으로서 비서는 이미 소속되어 있는 조직문화유형에서 요구되는 특성에 맞추어 업무를 처리할 때 보다 높은 업무성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organizational culture for enhancing secretarial job performance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cretarial job performance in organization. This study was administered in two research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oretical background on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culture was examined. The type of the Quinn s organizational culture model was selected to provide a multilevel view of organizational culture. That type was divided by four different models, such as, human relations model of culture, open systems model of culture, internal process model of culture, and rational goal model of culture. The concept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focused on personal and psychological aspects in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selected. In the second stage, as the part of the empirical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and data was collected from a sample of 150 secretar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e following tendencies. First, human relations model of culture and open systems model of culture were highly cor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rom correlation analysis. Second, human relations model of culture and open systems model of cultur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in improving job satisfaction from regression analysis. Third, human relations model of cultur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in improv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from regression analysis. And open systems model of culture was found to be a little significant factors in improv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onclusion, as was seen from the research finding, this study indicated organizational culture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secretary s job performance in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suggested Quinn s guideline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type, secretary is able to increase her job performance in human relations model of culture and open systems model of cultur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d that a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a culture type to increase secretarial job performance in organiz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