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혜령-
dc.creator김혜령-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4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2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9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223-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급격한 사회환경의 변화와 정보기술의 발전은 여러 측면에서 사회적 변혁을 초래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로 각 직업의 전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이에 따라 전문화되고 있는 모든 직업에서 변화에 대처할 능력을 갖춘 우수한 인적자원을 요구하고 있다. 비서직 또한 최근 국제화, 정보화, 경영의 전문화로 그 중요성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새로워지고 있으며 전문직으로서의 고유영역이 확대외어 가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비서직이 하나의 전문직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각 분야에서 능력을 갖추고 활동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교육기관에서의 전문비서 양성이 필요하게 되었다. 전문비서의 양성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비서과의 교육과정이 필요하며 따라서 현 교육과정의 현황 파악, 비서업무의 실태분석, 미래 업무 예측 등을 통해 비서교육이 실천성과 학문성을 겸비할 수 있도록 종합적이고 조화롭게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비서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전문대학에서의 효과적인 교육과정을 구축을 위한 조사와 분석을 하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직무분석방법 중 연구의 한계와 타당성을 고려하여 최초분석법의 설문지법과 비교확인법을 동시에 사용하여 비서의 직무와 비서직 수행에 도움이 된 교과목 및 미래에 중요시 되거나 새롭게 등장할 업무를 조사하였다. 우선 설문조사는 비서직무와 비서직에 도움이 된 교과영역 및 교과목, 컴퓨터와 외국어 활용도, 대학의 교육과정에 중요시 되어야 할 분야, 미래의 비서업무에 중요시 될 분야 및 비서가 갖추어야 할 능력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내 외국인 기업에 근무하는 현직 비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1999년 4월 23일부터 5월 15일 까지 시행되었다. 설문지는 150부를 배부하여 104부를 회수하여 69.3%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자료분석은 SAS통계패기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순위분석을 실시하였다. 계량조사를 통해 누락될 수 있는 부분은 직접현장을 방문하여 현장의 비서와 면담을 실시하여 설문지의 내용을 보완하는 조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사 결과를 간략하게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비서직의 직무를 조사한 결과 대인관계업무를 49%로 가장 많이 수행하며 비서업무를 수행하는데 도움이 된 교과목의 순위를 분석한 결과 비서일반 영역이 38.5%로 가장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서일반영역 중에서도 비서실무실습 관련 교과목이 업무수행에 가장 도움이 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관리 업무 영역에서는 회계의 기초적인 개념이 비서업무수행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컴퓨터와 외국어 활용도의 조사결과 PC통신 및 인터넷의 사용이 점차로 증가하고 있었다. 미래 비서업무의 내용 중 중요시 되리라고 예상되는 분야는 문서사무, 정보관리업무로 나타나 비서의 전문적인 업무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상과 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교과과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우선 비서일반영역, 외국어 및 의사소통 영역, 문서사무 및 정보처리 영역, 관련학문 영역의 구성비율을 비슷하게 조장하고 각 영역별로 필수와 선택과정으로 나누어 필수과목을 강화하고 학습자의 요구와 시대의 변화에 적응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과목을 개설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할 것을 제안하였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첫째, 비서일반영역의 강화가 필요하다. 직무분석 결과 비서업무에서 중요한 업무는 대인관계업무와 보좌업무였으며 비서업무 수행에 도움이 된 교과영역의 분석결과에서도 비서일반영역에 대한 비중이 높았다. 특히 비서일반 영역 중에서도 비서실무의 영역에 대한 학점과 교과목의 비중을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외국어 영역에서 실천성과 학문성을 함께 추구할 것을 제안하였다. 즉, 영어회화 등의 실무적합성이 높은 과목과 외국어를 사용한 대인관계업무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관련학문 영역의 학문성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현직 비서들이 미래의 주요한 업무가 될 것임을 예측한 문서 정보처리 관련 과목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여 컴퓨터와 정보처리 영역에 대한 비중을 조정하였다. 특히 컴퓨터 활용도 조사에서 의미있는 결과를 보여준 인터넷 분야에 대해 시대적인 변화를 반영하여 인터넷 관련 과목에 대한 비중을 조정 할 것을 제안하였다. 넷째, 관련학문 영역은 경영전반에 대한 이해를 위한 경영학 관련 과목과 직무분석 조사 결과에 의하여 활용도가 비교적 높은 회계 관련 과목을 중심으로 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 외의 실천성과 학문성을 겸비한 종합과학으로서 전문비서의 자질을 함양하기 위해 행정학, 경제학, 법학, 심리학 등 인접 관련학문의 다양한 교과목을 개설하여 비서학의 학문성을 강화함으로써 비서학 전공자가 실천적인 지식과 함께 학문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종합적이고 조화로운 교육 구성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전문대학 비서과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인 방향 제시이므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조직사회에서 요구하는 비서의 전문능력과 기술을 갖출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전문대학 및 종합 대학의 비서학 교육과정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o make suggestions to improve a curriculum of Dept. of Secretarial Science in 2-year collages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present duties of the secretaries and the current curricula. The author also presents a direction on educating professional secretaries to cope with forthcoming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nd developing a curriculum in a college, which helps secretaries to be equipped with practical skills. The subject of this is as follows. Firstly, to draw up a plan to improve a curriculum in a college for education of professional secretarie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vocational training course and the secretary-education course are overviewed. Secondly, to find out the current secretarial work, the subjects helpful for the performance of duties of secretaries, and the anticipated skills required for secretaries in the future, a fact-finding is conducted on the actual duties of the secretaries. Thirdly,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survey and various references, a direction is suggested to improve a curriculum of secretary departments in junior coll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ult from the survey of the present duties of secretaries showed that the inter-personal work comprises 49% of secretarial duties. In a research on the importance of a curriculum, 38.5% of respondents have chosen a general course on the secretarial work, especially actual training course related to secretarial work, as the most helpful subject for the actual performance of secretarial duties. Also, basic knowledge of accounting was considered helpful to the performance of their duties. The research also showed that PC communication and Internet is being more and more frequently used for business. In a research on the necessary part for the secretarial work in the futur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importance of the documentation-and information gathering-skills would increase. It was found from the above results that the secretarial work will become more specialized and expanded in the future.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in this study. Firstly, more emphasis should be put on a general course on secretarial work. Especially, we should allocate more credits to actual training courses which are necessary for the performance of secretarial duties. Secondly, in courses regarding foreign languages, practicality should not be ignored as well as scholastic knowledge. Thirdly, based on the increasing needs for the courses related to the handing of documents and information, we should adjust the portion of these courses in a curriculum. Especially, the author suggests that the increasing the portion of the course related to Internet would be more important and useful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n the application of computer programs. Fourthly, the business administration and accountings courses should mainly be comprised as selective subject courses. The former was helpful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management environment, and the latter was shown to be highly applicable in a work place from the survey. In addition, opening of a variety of selective subjects regarding Political science, Economics, Law and Psychology will help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Science to gain scholastic knowledge along with practical knowled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표목차 = ⅵ 그림목차 = ⅷ 논문개요 = ix I. 서론 = 1 A. 문제의 제기 = 1 B. 연구 목적 = 2 C. 연구의 구성 = 3 II. 이론적 배경 = 4 A. 직업교육과정의 의미와 교육과정 모형 = 4 1. 직업교육에서의 교육과정 특성 = 4 2. 교육과정 개발 모형 = 6 B. 비서학 교육과정 = 12 1. 비서교육의 의미 = 12 2. 비서학 교육과정 모형 = 13 3. 비서학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직무분류 = 16 C. 전문대학 비서교육의 현황 = 22 1. 교육목표 = 22 2. 교육과정 현황 = 24 III. 실증분석의 설계 = 27 A. 연구의 설계 = 27 1. 연구방법 = 27 2. 변수의 정의 = 28 3. 연구의 대상 = 29 4. 자료수집 및 분석 = 30 B. 조사도구의 제작 = 30 1. 설문지의 구성 = 30 2. 비교확인 연구의 조사도구 = 31 IV. 실증분석 = 32 A. 설문조사 분석 = 32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 32 2. 비서의 직무조사 분석 = 35 3. 비서과 교과목에 대한 순위분석 = 40 4. 컴퓨터와 외국어 활용도에 대한 분석 = 44 5. 비서 업무의 미래예측 = 47 B. 비교확인법에 의한 분석 = 49 1. 조사방법 및 연구대상 = 49 2. 비서직무 및 업무내용 분석 = 49 3. 비서의 미래 업무 예측 = 53 V. 전문대학 비서와 교과과정 = 55 A. 기본방향 = 55 B. 교육목표 = 55 C. 교과목 선정 = 56 D. 필수·선택 결정 = 59 E. 전문대학 비서과 교과과정(안) = 60 VI. 결론 = 62 A. 연구결과 요약 = 62 B.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 = 66 참고문헌 = 68 부록 1 = 70 부록 2-1 = 75 부록 2-2 = 76 영문초록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633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전문대학 비서과 교과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비서학과-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