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9 Download: 0

사회적 지지가 특수학급아동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사회적 지지가 특수학급아동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uthors
김영신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혜
Abstract
특수학급아동들은 학교생활 및 사회생활에 있어서 일반아동보다 많은 적응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특수학급아동의 부적응 문제는 개인적 특성과 함께 사회관계적인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아동들의 주요제공원인 교사, 가족, 친구에 따른 사회적 지지제공이 아동의 부적응양상을 완화시키는데 있어 중요변수임을 고려해 볼 때, 특수학급아동의 부적응상의 문제에 대하여 개입하기 위해서는 특수학급아동의 부적응 수준을 알아보고, 사회적지지 및 배경변인이 부적응 수준에 영향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아동의 부적응 수준을 알아 보고, 이에 사회적지지 및 배경변인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상대적인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지 분석하므로써, 특수학급아동의 적응행동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사회사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있어서 실증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수학급아동의 부적응수준은 우울성, 사회적 위축성, 과잉불안, 미숙/공격성, 비행성, 과잉활동성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결손여부, 형제유무의 배경변인과 교사지지, 친구지지, 가족지지등 원천에 따라 구성된 사회적 지지로 분류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특수학급아동의 부적응 및 사회적지지에 대한 전반적인 수준을 알아본다. 2. 배경변인(성별, 결손여부, 형제유무)과 사회적 지지에 따라 특수학급아동의 부적응 수준이 각각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본다. 3. 특수학급아동의 배경변인과 사회적 지지수준이 부적응수준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본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중 특수학급에 재학중인 4학년이상의 고학년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회적 지지의 전반적인 수준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의 순으로 나타나 친구지지를 가장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응수준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미숙/공격성 및 사회적 위축성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2. 배경요인중 결손여부에 따라 부적응 수준과 관련이 있었다. 즉, 결손가정아동인 경우, 양친부모가 모두 있는 가정의 아동보다 부적응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에 따라서는 사회적 지지와 부적응수준간의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특히 가족지지와 친구지지가 높을수록 부적응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배경변인 및 사회적 지지가 부적응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배경변인중에서는 결손여부가 특수학급아동의 부적응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중에서는 친구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지지의 친구지지가 특수학급아동의 부적응을 가장 잘 설명하는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제안점은 다음과 같다. 1, 특수학급아동의 부적응 수준을 감소시키고 적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임상적인 개입이나 프로그램의 실행에 있어서 결손여부와 같은 가정환경적인 부분과 친구지지의 제공과 같은 요인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2. 특수학급아동중 상당수가 결손아동임을 고려할 때, 결손가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경제적인 곤궁함, 각 가족성원간의 역할의 불균형등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가족간의 갈등의 해결과 약화된 가족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가족상담 혹은 기타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특수학급아동의 적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접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3, 사회적 지지중 친구지지가 특수학급아동의 부적응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고려할 때, 특수학급아동만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보다는 일반아동과 함께 참여하는 집단활동, 캠프등 통합프로그램을 통하여 일반아동과의 사회관계에 있어서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기회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교내에서도 의도적인 또래집단형성 혹은, 학교내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기회의 마련등으로 특수학급아동들에 대한 수용적인 분위기를 형성함으로써 친구지지를 강화,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The Children of special-care has much more difficulties than mormal children in school and social life. The maladjustment problems of the special-care classed children should be considered with not only personal trait but also social relationship, when we intervene for helping the maladjustmental problems of the social support or surrounding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actual data in developing and applying social work programs for improving their abilities of adjustmental activity through the process of notifying the degree of the maladjustment of the special-care classed children, and finding out the effects of the social support or surrounding variables to this maladjustmental problems, then analyzing the relative effectiveness. The degree of the children s maladjustment consists of the sub arias, such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high-anxietym immaturity, aggressiveness, deviation, hyper-activity. The relevant variables are sex, deficit, sivling and supports of teacher, friends, family social support The below is the concrete content of this study 1. To identifying the over all degree of the maladjustment of the special-care classed children. 2. To identifying the differences in degrees of the maladjustment surrounding variables and social support. 3. To identifying the relative effectiveness by the surrounding variables and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For this study, the survey has be done among the children over four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in special-care classes in Seoul. The results are like below. 1. The overall degree of social support is relatively high, the order starts from family support, then goes to teacher support and to friend support. The degree of maladjustment is relatively law, but the degree of immaturity agressiveness and withdrawal is high. 2. Some surrounding variables are related to the degree of maladjusment according to the deficit. It means that the child who has some deficit in family. In the aspect of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has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maladjustment. 3. By the resul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rrounding variables or social support and the degree of the maladjustment, among the surrounding variables, deficit effects on the of the maladjustment of the children, and among the social support, the friend support effects on it mostly. Especially, the support of freinds is result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maladjustment of the children in the special care cla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