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0 Download: 0

대인 관계 상황에서의 죄책감, 수치감과 심리적 증상의 관계연구

Title
대인 관계 상황에서의 죄책감, 수치감과 심리적 증상의 관계연구
Authors
류설영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실지로 경험하는 수치심과 죄책감 상황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해 대인관계 정서로서의 수치심과 죄책감이 심리적 증상(분노, 우울, 불안)과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두 정서가 일반 청소년과 비행 청소년에게 있어 심리적 증상과 어떻게 다르게 관련되어 있는가를 밝힘으로써 비행 청소년 집단의 정서적인 특징과 효과적 개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서을 소재의 남녀 일반 고등학생과 경기도와 강원도에 소재한 소년원에 수용되어 있는 남녀 비행 청소년을 대상으로 수집되었다. 먼저 청소년들이 실지로 경험하는 수치심과 죄책감을 조사하기 위해 남녀 일반 고등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최종 질문지 작성을 위한 예비 조사를 위해 남녀 일반 고등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예비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본 검사시에는 남녀 일반 고등학생 200명과 경기도와 강원도에 소재한 113명의 남녀 소년원생에게 질문지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기 인식 정서로 분류되는 수치심과 죄책감에 대한 측정은 Tangney 등(1989,1990, 1991b)이 개발한 TOSCA-C, TOSCA-Adol, TOSCA를 번안, 수정하여 새로이 구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분노 측정은 김계현 등(1995)이 개발한 분노 척도 중 일부(심리적 요인)를 사용하였으며, 우을 측정을 위해서는 Beck의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1979)를, 불안 측정은 Spielberg의 STAI(State-Trait Anxiety Iventory,1978) 중 특성 불안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상관 분석, 준부분 상관 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다변량 분석, Cronbach s α계수 등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 집단과 비행 집단의 죄책감, 수치심과 심리적 증상(분노, 우울, 불안)의 상관을 알아본 결과, 일반 집단의 경우,죄책감은 심리적 증상과 어떠한 상관도 보이지 않은 반면, 수치심은 정적 상관을 가졌다. 일반 청소년의 고유한 죄책감과 고유한 수치심이 심리적 증상과 각각 어떤 상관을 가지는 알아본 준부분 상관 결과, 고유한 죄책감은 심리적 증상과 의미있는 부적 상관을, 고유한 수치심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따라서 두 정서는 구분된 정서로, 심리적인 증상인 분노, 우울, 불안과 각각 다르게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비행 청소년의 경우, 죄책감과 수치심 모두 심리적 증상과 어떠한 상관도 나타내지 않았고, 준부분 상관 결과, 죄책감과 우울의 부적 상관 외에 어떠한 상관도 보이지 않았다. 2. 개인차 변인에 따른, 죄책감, 수치심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일반 집단에서 기독교 집단이 비기독교 집단보다 죄책감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비행 여부와 성별에 따른 죄책감, 수치심, 심리적 증상의 차이를 알아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죄책감은 일반 집단에 비해 비행 집단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일반 집단에 있어서는 여학생이 더 높은 점수를, 비행 집단에 있어서는 남학생이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죄책감 점수가 가장 높은 집단은 일반 여자 청소년으로, 죄책감 점수가 가장 낮은 집단은 비행 여자 청소년으로 밝혀졌다. 수치심도 일반 집단에 비해 비행 집단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분노는 일반 집단에 비해 비행 집단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일반 집단에 있어서는 남학생이 더 높은 점수를, 비행 집단에 있어서는 여학생이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분노 점수가 가장 높은 집단은 비행 여자 청소년으로, 분노 점수가 가장 낮은 집단은 일반 여자 청소년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일반 집단에 비해 비행 집단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여학생의 경우, 일반 집단과 비행 집단의 점수차가 컸으나, 남학생의 경우, 일반 집단과 비행 집단의 점수차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은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여학생의 경우, 일반 집단이 비행 집단에 비해 불안 점수가 낮은 반면, 남학생의 경우, 일반 집단이 비행집단 보다 높은 불안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일반 집단에 비해 비행 집단이 죄책감과 수치심 점수는 낮은 반면, 분노, 우울, 불안 점수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비행 집단 중 여학생의 경우, 죄책감과 수치심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분노, 우울, 불안에서는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심리적 취약성을 가장 많이 가진 집단으로 밝혀졌다.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find out the relation of shame and guilt as interpersonal emotion to psychological symptom(anger, depression, and anxiety) and the differences of shame, guilt and psychological symptom in normal high school students and juvenile delinquents to suggest foregoing effective treatment. To find out the relation of shame and guilt to psychological symptom, correlation and semi-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and to find out the diffences of shame and guilt and psychological symptom in normal high school students and juvenile delinquents, multiple analysis of variance and analysis of variance adapted with Bonferroni, was used. Before the main study, to compose the TOSCA-Adol for Korean adolescents, the shame and guilt experiencing in Korea was investigated. 200 adolescent write their shame experience and guilt experience each three. Then, basing this information, preliminary inventory was composed and 12 best scenarios was selected. Finally 200 adolescents attending 1fs high school and 113 juvenile delinquent imprisoning in school type jail was out a set of questionnaires consisted of BDI, of STAI, Psychological Anger Inventory and TOSCA-Adol.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 1. In normal high school students, the correlation of shame and guilt to psychological symptom, was significant only on shame but, the semi partial correlation of shame and guilt correlation of shame to psychological symptom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semi partial correlation and the semi partial correlation of guilt to psychological symptom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 juvenile delinquents, the correlation of shame and guilt to psychological symptom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only on guilt and depression. 2. In the individual differences, the difference of guilt was significant only in normal high school students at religion. Christian was less guilty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an non-Christian. 3. The diffences of shame, guilt, and psychological symptom was significant at sex, juvenile and the interaction of sex and juvenile. Guilt was higher at normal group than at delinquent group and guilt was the highest at normal-woman group and the lowest at delinquent-woman group. Shame was higher at normal group. Anger was higher at delinquent group and anger was the highest at delinquent-woman group. And the lowest at normal-woman group. Depression was higher at delinquent group. The difference of score in woman was larger than man. Anxiety was higher at woman group. In woman, anxiety was higher at delinquent group than normal group, but in man, anxiety was higher at normal group than delinquent grou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